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20 11 12 (목) 평화방송 미사 부비동 나비 굴과 연결한 위치에 머물러 다스려 산소를 귀 혈관 안으로 보내고 밀폐된 조직 안으로도 보내어 고막 소리 없음
작성자한영구 쪽지 캡슐 작성일2021-01-17 조회수1,420 추천수0 반대(2) 신고

20 11 12 (목) 평화방송 미사 부비동 나비 굴과 연결한 위치에 머물러 다스려 산소를 귀 혈관 안으로 보내고 밀폐된 조직 안으로도 보내어 고막 소리 없음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님,

오늘 11월 12일 목요일 성 요사팟 주교 순교자 기념일 평화방송 낮 12시 15분을 선택하여 미사에 참례하였습니다. 미사 전에 저의 블로그에 올릴 글을 타자한 것을 수정을 끝내려고 시간에 쫓기었습니다. 아랫배에 힘을 주어 가스를 토해내자 가스가 나옵니다. 대장의 상처가 있어 컴퓨터 마우스로 글을 수정할 때 전자파가 영향을 주어 상처에서 가스가 많이 발생하므로 가스를 토해내게 다스려주십니다. 하품은 하지 않고 입안의 침샘에서 침이 많이 솟아올라 삼키게 하여주십니다.

미사가 시작되자 저의 두 눈 사이 콧날 양쪽 경사 끝 약간 아래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두정엽 정수리 가운데에 머물러 빛의 생명을 주십니다. 두 눈 사이에 머물러주시던 위치가 저의 물렁뼈 콧날 약간 아래 양쪽 경사 끝 뼈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저의 왼쪽 귀 안에서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큰 소리로 움직이는 소리가 들립니다.

그러자 저의 오른쪽은 물렁 코뼈 오른쪽 야간 위 경사 끝 뼈에 머물러주시고, 앞이마 가운데에서 아래 끝의 좁은 뼈끝에서 왼쪽으로 옮긴, 왼쪽 눈썹의 오른쪽 끝 아래 뼈의 위치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오른쪽과 왼쪽이 다른 위치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왼쪽 귀 안에서만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활발하게 움직이는 소리가 들립니다. 왼쪽에 머물러 만져주시는 곳은 부비동의 나비 굴과 연결이 이루어지는 위치입니다. 그러므로 나비 굴과 연결하여 공기의 물질대사인 산소를 저의 귀 안에 혈관 속으로 보내어 그 산소가 활발하게 작용하여 소리가 크게 들린다고 상상합니다. 오랫동안 계속 반복하여 귀 안에서 소리가 들리게 하여주시었습니다.

그러자 이번에는 오른쪽 눈썹 아래 역시 나비 굴과 연결되는 위치 뼈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다스려주십니다. 그리고 오른쪽 눈썹 아래 눈알 위 눈꺼풀에 머물러 오른쪽으로 옮겨가시면서 만져주십니다. 오른쪽 눈썹 아래 끝에는 눈물샘이 있는 곳입니다. 그리고 저의 오른쪽 앞이마 살갗 오른쪽 아래 끝부분에 머물러 움직이면서 만져주십니다.

그러자 저의 오른쪽 눈 오른쪽 끝 위아래에 세로로 약간 둥그런 타원형으로 머물러 만져주십니다이어서 저의 입안에서 침이 솟아올라 침을 삼킵니다. 침의 분비는 항상 부족한 편이고 눈물은 여유가 있으므로 눈물을 침샘으로도 직접 보내주실 수 있다는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그래서 침을 삼키게 하여주시었다고 상상하였습니다. 그러자 저의 오른쪽 귀 안에서 왼쪽 귀 안에서 보다 고막 안쪽을 울리는 소리가 좀 작게 들립니다. 나비 굴을 연결하여 공기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시어 산소를 시신경과 신경계에 있는 혈관 안으로 흘러들게 하여 다스려주신다고 상상합니다. 오른쪽 귀 안에서의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왼쪽보다 좀 약하게 움직이어 소리가 부드럽게 들리는 것은, 이처럼 산소도 귀 안의 혈관 속으로 들어오고, 침도 유스타키오관 안으로 소량이 흘러들어와, 약하고 부드럽게 소리가 들린다고 상상하였습니다. 왼쪽 귀에서는 귀 안에서 움직이는 소리가 들리지 않습니다.

산소를 귀 안의 혈관 안으로 흘러들게 하여주시고 산소를 밀폐된 귀 안으로도 보내주실 때는, 산소의 압력- 기압(氣壓)-을 다스려주지 않아도 되므로, 기압으로 고막의 안쪽을 울리지 않아 소리가 안 들린다고 상상합니다. 그러나 침과 눈물을 유스타키오 관을 열어서 귀 안으로 보내어 치유할 때는 압력 – 기압 – 이 옮겨 주어야 하므로 고막의 안쪽을 울리는 소리가 들린다고 상상합니다.

 

오늘 이처럼 단순하게 다스려주시었습니다. 그러나 미사 중에 입안의 침샘에서 침이 솟아올라 침을 삼키게 하여주시었습니다. 오른쪽 귀 안으로는 침도 보내주시고 산소도 보내주고, 산소도 혈관 안으로 흘러들게 하여주신다고 상상합니다. 왼쪽 귀 안에는 귀 안의 조직의 기관에 혈관 안으로 산소만 흘러들게 다스려주신다고 상상합니다. 오늘 끝날 때까지 저의 양쪽 나비 굴과 연결되는 위치에 머물러 다스려주시었습니다. 오른쪽 귀 안에서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약하고 부드럽게 고막 안쪽을 울리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님,

오늘도 이처럼 미사 중에 30분 동안 빛의 생명을 주시어 나비 굴 양쪽 위치에 머물러 연결하여 다스려주시어, 성장하고 발전한 저의 영혼과 몸과 새롭게 다스려주시어 제가 조금이라도 얻은 그 생명 지식과 이 모두를 주님께 바칩니다. 주님 감사합니다. 이 못난 작은 이를 배려하여 오늘은 이처럼 짧은 시간 동안 단순하게 다스려주시니, 그 하느님의 배려가 넘치는 사랑으로 하느님을 더욱더 사랑합니다. 아멘.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 와 항상 영원히 아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사람 달팽이관   출처  Facebook

 

인간 달팽이관의 면역 세포의 연령 관련 변화

출처 Frontiers in Neurology

 

Kenyaria V. Noble 1 , Ting Liu 1 , Lois J. Matthews 2 , Bradley A. Schulte 1,2 및 Hainan Lang 1 *

1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 찰스턴 의과 대학 병리학 및 검사 의학과

2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 찰스턴 소재 사우스 캐롤라이나 의과 대학 이비인후과-두경부 외과

 

원래 연구 기사

앞. Neurol., 2019 년 8 월 16 일 | https://doi.org/10.3389/fneur.2019.00895

 

KV Noble 저술 · ‎2019 · ‎3회 인용 · ‎관련 학술자료

 

연령 관련 청력 손실은 75 세 이상인 두 명 중 한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만성 퇴행성 장애입니다. 현재 인구 예측은이 장애를 예방하거나 되돌릴 수있는 개입을 모색하는 노인의 수가 꾸준히 증가 할 것으로 예측합니다. 대 식세포와 같은 상주 또는 침윤성 면역 세포의 비정상적인 활동이 노화 관련 퇴행성 질환의 발병 및 진행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이라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 달팽이관에서 대 식세포 개체군과 기능적으로 구동되는 형태 학적 특성이 나이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공 초점 및 초 고해상도 이미징, 3 차원 재구성, 인간 달팽이관의 청신경 및 측벽의 다른 세포 유형 및 구조와의 상호 작용뿐만 아니라 대 식세포 수 및 형태의 연령 관련 변화를 결정하기위한 정량 분석. 청각 신경에있는 인간 귀의 달팽이관에서 청각 신경의 대 식세포는 나선 인대에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벌레와 같은 구조를 가정하거나 매우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선조 혈관의 조밀 한 미세 혈관 네트워크와 관련이 있습니다. 청신경과 달팽이관 측벽의 대 식세포는 나이에 따라 형태 학적 변화를 보였다. 청각 신경의 활성화 된 대 식세포 집단은 고령 기증자로부터 얻은 달팽이관에서 증가했습니다. 대 식세포, 미엘린, 이중 면역 조직 화학 염색 그리고 신경 마커는 노화 된 청각 신경의 신경교 및 신경 구성 요소와 대 식세포의 증가 된 상호 작용을 나타냈다. 이러한 발견은 인간 달팽이관의 연령 관련 생리 학적 및 병리학 적 변화에서 비정상적인 대 식세포-아교 세포 상호 작용의 관련을 의미합니다. 인간 노안에서 대 식세포 관련 염증 조절 장애의 기여를 추가로 조사 할 필요가 분명히 있습니다.

 

소개

연령 관련 청력 손실 (ARHL) 또는 노안은 미국에서 노인 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흔한 만성 질환 중 하나이며, 60 세 이상 3 명 중 1 명, 75 세 이상 2 명 중 1 명을보고합니다. 중등도에서 중증의 청력 손실 ( 1 ). ARHL은 특히 시끄러운 환경에서 종종 음성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는 개인과 함께 순수한 톤 임계 값으로 측정 된 청각 감도 감소가 특징입니다 ( 2 ). 이러한 청력 감소는 사회적 고립 및 우울증과 같은 삶의 질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 3 )

 

ARHL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치료 권장 사항은 보청기입니다. 더 이상 보청기의 혜택을받지 못하는 중등도에서 심도의 청력 손실이있는 사람들에게는 인공 와우 이식이 권장 될 수 있습니다. 인공 와우는 내이의 신경을 직접 전기적으로 자극하는 외과 적으로 배치되는 장치입니다. 인공 이식 모두 면역 및 비 면역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이에 의해 (이러한 치료 적 접근법의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왔다 4). 마우스 모델의 이식에 대한 달팽이관 염증 반응에 대한 조사를 통해 IL-1β와 같은 전 염증성 사이토 카인의 발현에서 상당한 상향 조절이 확인되었습니다. ARHL과 관련된 특정 세포 및 분자 메커니즘, 특히 면역 체계의 역할에 대한 더 나은 이해는 새롭고 새로운 치료 접근법의 개발을위한 표적 가능한 세포 및 경로를 식별하는 데 필요합니다.

 

이상 면역 세포 활동이 노화 관련 퇴행성 질환의 발병 및 진행에 기여하는 요인이라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5 , 6 ). 여기에는 고령자 사이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ARHL과 함께 병적 인 심혈관 질환과 같은 장애가 포함됩니다 ( 7 ). 심혈관 질환 병리학에서 면역 세포 활동의 특성화는 죽상 경화성 플라크 형성이 대 식세포에 의한 지질 입자의 식세포 흡수와 관련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 6 , 8 ). ARHL과 강한 상관 관계를 보이는 또 다른 만성 질환 인 치매 ( 9), 면역 세포 활동의 조절 장애가 유망한 치료 표적이되는 신경 퇴행이 특징입니다 ( 5 ). 예를 들어, 알츠하이머 병에서 미세 아교 세포에 의한 감소 된 분해 활성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및 신경원 섬유 엉킴 ( 10 ) 의 축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 이는 어린 미세 아교 세포의 존재로 개선 될 수 있습니다 ( 11 ).

 

(ARHL에 기여하는 세포 및 분자 프로세스에 대한 이전의 연구는 주로 감각 유모 세포 퇴행성 변화에 집중 한 12 - 14 ) 및 청신경 ( 15 , 16 ). 마우스와 인간 달팽이관의 면역 세포 분포에 대한 면역 조직 화학적 분석은 대 식세포가 내부 및 외부 유모 세포를 수용하는 달팽이관 영역 인 Corti의 건강한 성인 기관에서 크게 제외되었음을 나타냅니다 ( 17 ). 다른 연구에서는 달팽이관 측벽과 청각 신경에 상주 대 식세포가 존재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간 귀에있는 선조 미세 혈관 및 나선 신경절 뉴런과의 직접적인 상호 작용을 보여주는 증거를 제공했습니다 ( 18 –20 ).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활성화 된 미세 아교 세포는 중추 신경계의 혈액 뇌 장벽 파괴와 탈수 초화에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 21 , 22 ).

 

위의 관찰을 바탕으로, 우리는 달팽이관의 대 식세포 기능과 활동이 나이에 따라 변하고 이러한 변화가 ARHL에서 달팽이관 구조의 병태 생리 학적 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활성화 된 대 식세포와 다른 달팽이관 세포 유형 및 구조 사이의 상호 작용 관찰과 함께 대 식세포의 수와 형태의 변화를 평가함으로써이 가설을 다루었습니다.

 

재료 및 방법

달팽이관 조직의 수집 및 준비

인간 측두골 샘플은 두 가지 출처에서 얻었습니다. (1) 사우스 캐롤라이나 의과 대학 (MUSC) 청력 연구 프로그램의 ARHL 종단 연구에서 생성 된 측두골 수집 및 (2) MUSC Carroll A. Campbell, Jr. 신경 병리학 연구소 뇌 은행. HTB 수집의 모든 경우, 사우스 캐롤라이나 법률 및 규정에 따라 친척으로부터 서면 및 사전 동의를 얻었습니다. 측두골 연구는 MUSC Institutional Review Board에서 인간 대상 연구가 아닌 것으로 승인되었습니다 (Pro0030845). 표 1 은이 연구에 사용 된 12 개의 인간 측두골에 대한 기증자의 연령, 성별 및 사망과 고정 사이의 시간을 나열합니다. 표본 제거 후 ( 23), 스칼라 관류는 앞서 설명한 파라 포름 알데히드의 4 % 용액 ( 24 , 25 )으로 수행되었고 고정은 48-72 시간 동안 침지하여 계속되었습니다. 그런 다음 뼈를 인산염 완충 식염수 (PBS)로 헹구고 이전에 설명한대로 4-6 주 동안 EDTA에서 석회를 제거했습니다 ( 26 , 27 ). 이 기간 동안, 내이의 달팽이관과 전정기구를 덮고있는 단단한 뼈를 제거하기 위해 표본을 다듬 었습니다. 손질 된 측두골의 내이 부분은 앞서 설명한대로 냉동 절편 및 전체 마운트 준비를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 25 , 28 , 29 ).

 

1 번 테이블

www.frontiersin.org

표 1 . 인간 측두골 기증자 메트릭.

 

모든 분석에서 인간 달팽이관 샘플은 두 그룹으로 나뉘 었습니다. 20 세에서 65 세 사이의 젊은 그룹과 68 세에서> 89 세 (연령)의 나이가 많은 그룹입니다.

 

ORIGINAL RESEARCH ARTICLE

Front. Neurol., 16 August 2019 | https://doi.org/10.3389/fneur.2019.00895

Age-Related Changes in Immune Cells of the Human Cochlea

Kenyaria V. Noble1, Ting Liu1, Lois J. Matthews2, Bradley A. Schulte1,2 and Hainan Lang1*

1Department of Pathology and Laboratory Medicine, Medical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Charleston, SC, United States

2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Medical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Charleston, SC, United States

 

Age-related hearing loss is a chronic degenerative disorder affecting one in two individuals above the age of 75. Current population projections predict a steady climb in the number of older individuals making the search for interventions to prevent or reverse this disorder even more critical. There is growing acceptance that aberrant activity of resident or infiltrating immune cells, such as macrophages, is a major factor contributing to the onset and progression of age-related degenerative diseases. However, how macrophage populations and their functionally-driv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hange with age in the human cochlea remains largely unknown. In this study, we employed immunohistochemical approaches along with confocal and super-resolution imaging,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s, and quantitative analysis to determine age-related changes in macrophage numbers and morphology as well as interactions with other cell-types and structures of the auditory nerve and lateral wall in the human cochlea. In the cochlea of human ears from young and middle aged adults those macrophages in the auditory nerve assumed a worm-like structure in contrast to those in the spiral ligament or associated with the dense microvascular network in the stria vascularis which exhibited a highly ramified morphology. Macrophages in both the auditory nerve and cochlear lateral wall showed morphological alterations with age. The population of activated macrophages in the auditory nerve increased in cochleas obtained from older donors. Dual-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macrophage, myelin, and neuronal markers revealed increased interactions of macrophages with the glial and neuronal components of the aged auditory nerve. These findings implicate the involvement of abnormal macrophage-glia interactions in age-related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alterations in the human cochlea. There is clearly a need to further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macrophage-associated inflammatory dysregulation in human presbyacusis.

 

Introduction

Age-related hearing loss (ARHL), or presbyacusis,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chronic disorders affecting the older adult population in the US, with one in three individuals over the age of 60 and one in two individuals over the age of 75 reporting moderate-to-severe hearing loss (1). ARHL is characterized by reduced hearing sensitivity as measured by pure-tone thresholds with individuals often complaining of difficulties understanding speech, especially in noisy environments (2). This reduction in hearing may lead to quality of life changes such as social isolation and depression (3).

 

The most common treatment recommendation for ARHL is hearing aids. For those with moderate-to-profound hearing loss who no longer receive benefit from hearing aids, cochlear implants may be recommended. Cochlear implants are surgically placed devices which electrically stimulate the nerves of the inner ear directly. It has been shown that cochlear implantation may induce activation of both immune and non-immune cells, and thereb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outcome of this therapeutic approach (4). Interrogation of the cochlear inflammatory response to implantation in a mouse model identified a significant up-regulation i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β.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associated with ARHL, in particular the role of the immune system, is necessary to identify targetable cells and pathways for the development of new and novel approaches of remediation.

 

There is now growing acceptance that aberrant immune cell activity is a contributive factor in the onset and progression of age-related degenerative diseases (5, 6). This includes disorder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 which has high prevalence among older individuals and is co-morbid with ARHL (7). Characterization of immune cell activity in cardiovascular disease pathology indicates atherosclerotic plaque formation is associated with the phagocytic uptake of lipid particles by macrophages (6, 8). Dementia, another chronic disorder which shows strong correlation with ARHL (9), is characterized by neurodegeneration in which the dysregulation of immune cell activity is a promising therapeutic target (5). For example, in Alzheimer's disease, reduced degradation activity by microglia has been shown to contribute to the accumulation of amyloid-beta plaques and neurofibrillary tangles (10), which can be ameliorated by the presence of young microglial cells (11).

 

Previous studies on the cellular and molecular processes which contribute to ARHL have focused primarily on degenerative changes in sensory hair cells (12–14) and the auditory nerve (15, 16).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immune cell distribution in the mouse and human cochlea, indicates that macrophages are largely excluded from the healthy adult organ of Corti, the cochlear region housing the inner and outer hair cells (17). Other studies have provided evidence demonstrating not only the presence of resident macrophages in the cochlear lateral wall and auditory nerve but also their direct interaction with the strial microvessels and spiral ganglion neurons in the human ear (18–20). Furthermore,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activated microglia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isruption of the blood-brain barrier and demyelina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21, 22).

 

Based on the above observations, we hypothesized that macrophage function and activity in the cochlea changes with age and these changes may be a contributive factor to pathophysiological alterations of cochlear structures in ARHL. Here we have addressed this hypothesis by evaluating changes in the number and morphology of macrophages, together with observations of interactions between activated macrophages and other cochlear cell types and structures in the lateral wall and auditory nerve in an age-graded series of human inner ears.

 

Materials and Methods

Collection and Preparation of Cochlear Tissues

Human temporal bone samples were obtained from two sources; (1) the Medical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MUSC) Hearing Research Program's temporal bone collection generated from a longitudinal study of ARHL and (2) the MUSC Carroll A. Campbell, Jr. Neuropathology Laboratory Brain Bank. In all cases of HTB collection, written and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the next-of-kin in accordance with South Carolina laws and regulations. Temporal bone research was approved by the MUSC Institutional Review Board as not human subject research (Pro0030845). Table 1 lists the donors' age, sex, and the time between death and fixation for the 12 human temporal bones used in this study. After removal of the specimen (23), scalar perfusion was performed with a 4% solution of paraformaldehyde as previously described (24, 25) and fixation was continued by immersion for 48–72 h. The bones were then rinsed with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and decalcified in EDTA, for a period of 4–6 weeks as previously described (26, 27). Over this period, the specimens were trimmed to remove the hard bone covering the cochlea and vestibular apparatus of the inner ear. The inner ear portion of the trimmed temporal bones was processed for frozen sectioning and whole mount preparations as described previously (25, 28, 29).

 

TABLE 1

www.frontiersin.org

Table 1. Human temporal bone donor metrics.

 

For all analyses, the human cochlea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younger group ranging in age from 20 to 65 years and older group ranging in age from 68 to >89 years (older).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