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말이 궁금해요] 판공
박해 시대 직후부터 유래, 공들여 성탄 · 부활 준비 의미 판공(辦功 혹은 判功)[판공] - 주님 부활 대축일과 주님 성탄 대축일을 앞두고 의무적으로 고해성사를 하는 일. 해마다 사순 시기와 대림 시기면 ‘판공성사표’를 받는다. 칠성사 중 ‘판공성사’가 있는 것은 아니다. 판공성사에서 성사는 바로 고해성사를 의미한다. 사제의 수가 극도로 적었던 박해 시기와 박해 직후, 공소의 신자들은 1년 중 단 2번만 사제를 만날 수 있었다. 바로 봄과 가을에 사제들이 공소를 방문하는 ‘판공’때다. 이때 사제들은 신자들이 그동안 신앙생활을 잘 지켜왔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일종의 교리시험을 실시했다. 시험을 본 신자들은 고해성사를 받고 사제가 집전하는 미사에 참례할 수 있었다. 그래서 판공은 ‘힘써 노력하여 공을 세운다’(辦功)와 ‘공로를 헤아려 판단한다’(判功)는 의미를 모두 사용한다. 신자들의 입장에서는 앞의 뜻으로, 성사를 집전하는 사목자 입장에서는 뒤의 뜻으로 쓴 것이다. 신자들이 해마다 이 날을 간절히 기다려 준비했기에 공소의 판공은 마치 축제와 같았다고 한다. 이런 판공의 전통은 시간이 흐르면서 신자들의 신앙생활을 돕는 제도로 자리 잡았다. 부활과 성탄을 거룩하게 보낼 수 있도록 돕는 제도가 된 것이다. 또 ‘판공’은 신자들의 신앙생활을 파악하는 척도도 된다. 통계상 3년 이상 판공성사를 받지 않은 신자들을 ‘냉담 교우’로 분류하기 때문이다. 판공을 의무적 혹은 부담으로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주교회의는 2015년 가을 정기총회에서 “부활 판공성사를 받지 못한 신자가 성탄 판공이나 일 년 중 어느 때라도 고해성사를 받았다면 판공성사를 받은 것으로 인정한다”고 발표했다. 본당에서 정한 판공성사 기간에 성사를 받지 못하는 상황과 맞닥뜨릴 때 큰 부담감을 갖지 않도록 배려한 것이다. 그럼에도 교회력 상 가장 큰 대축일인 부활을 앞두고 고해성사를 할 수 있다면 그처럼 좋은 준비도 없을 것이다. 이번 사순 시기 아직 판공을 하기 전이라면 오늘이라도 고해소를 찾아보면 어떨까. [가톨릭신문, 2019년 3월 24일, 이승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