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제 2 편 그리스도 신비의 기념

교회 교리서
제 2 부 교회의 일곱 성사 제 4 장 그 밖의 전례 거행 제1절 준성사(sacramentalia)
교회 교리서

제1절 준성사(sacramentalia)

1667 “어머니인 교회준성사(準聖事)들을 제정하였다. 준성사는 어느 정도 성사들을 모방하여 특히 영적 효력을 교회의 간청으로 얻고 이를 표시하는 거룩한 표징들이다. 이를 통하여 사람들은 성사들의 뛰어난 효과를 받도록 준비되고, 생활의 여러 환경성화된다.”(1)

준성사의 특징

1668 교회는 특정 직무와 신분, 신자 생활의 매우 다양한 상황과, 사람들에게 유익한 물건 등을 성화하고자 준성사를 제정했다. 준성사주교들의 사목적 결정에 따라 한 지방이나 한 시대의 그리스도인들에게 고유한 필요와 문화, 역사에도 부응할 수 있다. 준성사에는 언제나 기도가 포함되며, 흔히 안수, 십자 성호, (세례를 상기시키는) 성수 뿌림 같은 일정한 표징이 따른다.
1669 준성사의 거행은 세례로 받은 보편 사제직에 속한다. 세례 받은 사람은 모두 그 자신이 ‘복’이 되어야 하며(2) 남을 축복해야 한다.(3) 그러므로 평신도들이 집전할 수 있는 축복 예식들도 있다.(4) 그러나 교회 생활과 성사 생활에 더 밀접한 관계를 가진 축복서품 성직자들(주교, 사제, 부제)만 할 수 있다.(5)
1670 준성사는 성사가 베푸는 것과 같은 성령은총을 주지는 못한다. 그러나 교회기도를 통하여 은총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고 은총에 협력하도록 결심하게 한다. “성사와 준성사전례는 잘 준비된 신자들에게 생활의 거의 모든 사건이 그리스도수난죽음부활파스카 신비에서 흘러나오는 하느님은총으로 성화되게 한다. 이 신비에서 모든 성사준성사가 그 효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또한 거의 모든 사물을 목적에 맞게 올바로 사용하면 인간 성화를 이루고 하느님을 찬양하게 되어 있다.”(6)

준성사의 여러 형태

1671 준성사 중에는 우선 (사람, 음식, 물건, 장소 등에 대한) 축복이 있다. 모든 축복은 하느님을 찬미하는 것이며 하느님의 선물을 청하는 기도이다.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 아버지께 “온갖 영적인 복”(에페 1,3)을 받는다. 그러므로 교회예수님의 이름을 부르며, 또 보통은 그리스도의 십자 성호를 그어 축복한다.
1672 어떤 축복들은 지속적인 효력을 가진다. 그 축복들은 사람들을 하느님봉헌(축성)하고, 물건과 장소를 전례적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사람들에게 주는 축복 중에는 ─ 이것을 성사서품과 혼동하면 안 된다 ─ 수도원장이나 수녀원장의 축복, 동정녀들과 과부들의 봉헌, 수도 서원 예식, 그리고 교회 직무(독서직, 시종직, 교리 교사 등)를 위한 축복이 있다. 물건에 대한 축복의 예로는 성당이나 제대봉헌 또는 축복, 성유와 제기와 제의와 종 등의 축복을 들 수 있다.
1673 교회가 어떤 사람이나 물건이 마귀의 세력으로부터 보호되고 마귀의 지배력에서 벗어나도록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공적인 권위를 가지고 청하는 것을 구마(驅魔)라고 한다. 예수님께서 이를 행하셨으며(7) 교회는 마귀를 쫓아내는 권능과 의무를 예수님께 받았다.(8) 세례를 거행할 때 간단한 형식의 구마를 행한다. ‘장엄 구마’(magnus exorcismus)라고 하는 마귀 쫓는 예식은 주교의 허가를 받아서 사제만이 행할 수 있으며, 교회에서 정한 규칙을 정확하게 지키면서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9) 구마는 마귀를 쫓아내거나 마귀의 지배력에서 구해 내는 것이 목적이며, 예수님께서 교회에 주신 영적 권한으로 행하는 것이다. 질병, 특히 정신 질환은 마귀 들린 것과는 전혀 다르며, 의학이 치료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마를 행하기 전에 질병이 아니라 마귀 들린 것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중 신심

1674 교리 교육에서는 성사 전례준성사 외에도 신자들의 신심 형태와 대중 신심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스도인 대중의 신앙심은 언제나 유해 공경, 성당 방문, 순례, 행렬, 십자가의 길, 종교 무용, 묵주 기도, 메달 등과 같은 교회성사 생활을 둘러싼 다양한 형태의 신심 행위로 표현되어 왔다.(10)
1675 이러한 표현들이 교회 전례 생활의 연장이기는 하지만 그것을 대체하지는 못한다. “전례는 그 본질상 이러한 신심 행위를 훨씬 앞서 가는 것이므로, 전례 시기를 고려하여, 그러한 행위들은 어느 모로든 전례에서 이끌어 내고 백성을 이끌어 들여 전례와 조화를 이루도록 마련되어야 한다.”(11)
1676 대중 신심을 지키고 후원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 신심의 기초가 되는 신앙심을 정화하고 바로잡아 그리스도신비를 더 잘 깨닫게 하기 위하여 사목적인 식별이 필요하다. 이러한 행사는 주교들의 감독과 판단, 그리고 교회의 일반적 규범을 따라야 한다.(12)
대중 신심은 본질적으로, 삶의 중요한 물음들에 대해 그리스도교적 지혜로 대응하는 가치들의 총화이다. 가톨릭 대중의 지혜는 삶의 통합 역량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신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 그리스도와 마리아, 정신과 육체, 친교와 제도, 개인과 공동체, 신앙과 조국, 지성과 감성을 창조적으로 조화시킨다. 이 지혜는 그리스도교 인본주의로서, 모든 인간하느님의 자녀로서 존엄성을 지녔음을 근본적으로 확언하고, 기초적인 형제애를 건설하며, 자연만나고 노동을 이해하도록 가르치며, 어려운 삶에서도 기쁘고 유쾌하게 살아가기 위한 동기들을 부여한다. 이 지혜는 대중에게 식별의 원칙과 복음적 직관이 되기도 한다. 이 복음적 직관은 복음이 과연 교회에서 가장 우선적인 위치에 서게 되는지, 아니면 어떤 이해관계 때문에 복음의 내용이 사라지고 질식하게 되는지를 식별하게 해 준다.(13)

간추림

1677 준성사는 성사들의 효과를 받도록 사람을 준비시키고, 삶의 여러 상황을 성화하고자 교회가 제정한 거룩한 표징이다.
1678 준성사 중에서도 축복(benedictio)은 중요한 것이다. 축복하느님의 업적과 선물에 대한 찬미와, 사람들이 하느님의 선물을 복음 정신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드리는 교회전구를 포함한다.
1679 전례 이외에도 그리스도인의 삶은 여러 가지 문화에 뿌리박은 다양한 형태의 대중 신심 행위로 길러진다. 교회신심 행위의 여러 형태들을 신앙의 빛으로 주의깊게 밝혀 주면서, 복음적 직관과 인간의 지혜를 드러내고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대중 신심의 형태들을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