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을묘박해◆ 인쇄

한자 乙卯迫害
[관련단어] 을묘실포사건 

   을묘년(1795년)에 중국인 주문모(周文謨) 신부를 체포하려다 놓친 이른바 을묘실포사건(乙卯失捕事件)을 계기로 야기된 박해. 진산(珍山)의 천주교윤지충(尹持忠)의 조상 제사 문제로 인해 일어난 1791년 신해(辛亥)박해가 가라앉자, 최창현(崔昌顯), 최인길(崔仁吉) 등 중인계급의 지도자들이 주동이 되어 전개한 끈질긴 선교사 영입 운동으로 마침내 1794년 말에는 주문모 신부가 서울에 무사히 들어올 수 있었다. 그러나 배교자 한영익(韓永益)의 밀고로 주 신부의 입국사실과 그의 거처가 관가에 알려지자, 1795년 6월 27일(음 5월 11일) 포장 조규진(趙圭鎭)은 포졸을 거느리고 그의 거처인 최인길의 집을 덮쳤다. 그러나 주 신부는 이 사실을 미리 통고받고 다른 곳으로 피신하였으므로, 포졸들은 최인길을 주 신부로 오인하고 체포하였다. 그러나 주 신부가 아님을 뒤늦게 안 관가에서는 주 신부를 중국으로부터 인도해 온 지황(池璜), 윤유일(尹有一)을 잡아들였다. 이들을 판관 앞에서 한결같이 용감하게 신앙고백하였고 주 신부의 도피처에 대한 심한 고문에도 일절 함구하고 입을 열지 않았다. 결국 그들은 혹독한 형벌을 받아, 맞은 매로 그 이튿날 숨을 거두어 순교하였다.

   이들 세 사람을 타살한 사건은 곧 물의를 일으켜, 이가환(李家煥), 정약용(丁若鏞), 이승훈(李承薰) 등 세 사람이 이 사건으로 연유해서 좌천 또는 유배되어, 그들을 배교케 하는 계기가 되게 하였다. 그 밖에도 을묘박해로 최인길 등과 함께 잡힌 교우가 5명이 더 있었다고 하는데, 그 중 한 사람은 홍낙민(洪樂敏)으로, 그는 초기 교회 창설에도 참여했던 인물이었으나 이미 신해박해 때 배교했고, 이번에도 또 다시 배교하였다.

   주 신부로 인해 발달된 을묘박해는 서울에서 일단락되었으나, 지방에서는 도리박해가 더욱 심해져 갔다. 이리하여 경신년(1800년)의 박해를 유발했고, 그 이듬해인 신유년(1801년)에는 대박해로 수많은 순교자를 배출케 되었다. (⇒) 을묘실포사건

   [참고문헌] Ch. Dallet, Histoire de l'Eglise de Coree, Paris 1874 / 黃嗣永帛書.
출처 : [가톨릭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