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6.26)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6.26)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Josemaria Escriva)
축일 6월 26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설립자, 신부
활동지역
활동연도 1902-1975년
같은이름 발라게르, 에스끄리바, 요셉마리아
성인 기본정보

   성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는 1902년 1월 9일 에스파냐의 바르바스트로(Barbastro)에서 호세 에스크리바(Jose Escriva)와 마리아 돌로레스 알바스(Maria Dolores Albas) 부부의 여섯 자녀 중 둘째로 태어나 그해 1월 13일 세례성사를 받았다. 그의 부모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서 굳건한 신앙과 그리스도인다운 덕행, 잦은 고해성사와 영성체, 기도를 향한 굳은 의지, 동정 마리아에 대한 신심에 기초한 삶의 모범을 통해 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활기차고 건강하며 정직한 소년으로 성장했다. 그의 아버지는 언제든 마음을 열고 모든 근심 걱정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성 호세마리아를 격려해 주었고, 항상 그의 질문에 애정을 갖고 다정하게 응답해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행복은 그리 오래 가지 못했는데, 1910년에서 1913년 사이에 그는 세 명의 누이동생이 사망하는 슬픔을 겪었고, 소규모 사업을 하던 아버지의 사업 실패에 따른 재정적인 문제로 1915년 그의 가족은 인근 마을인 로그로뇨(Logrono)로 이주하였다.

   1917~1918년 겨울에 성 호세마리아는 자신의 미래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 어떤 일을 경험했다. 그해 성탄절에 로그로뇨에 많은 눈이 내렸는데, 어느 날 그는 눈 위에 얼어붙은 발자국을 보았다. 그것은 맨발의 카르멜회 수도자들이 남긴 것이었는데, 그것을 보고 성 호세마리아는 자신이 하느님과 이웃을 위해 어떻게 희생해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되었다. 이는 하느님께서 그의 마음에 말씀하시기 시작한 것으로, 그는 어렴풋이나마 가장 위대한 사랑을 갈구하게 되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그는 하느님께서 자신에게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히 알지 못했으나 사제가 되고자 결심했고, 그러면 하느님의 뜻을 더 쉽게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로그로뇨의 신학교에서 사제직을 위한 과정을 시작했고, 1920년 사라고사(Saragossa)에 있는 교황청립 신학대학에 들어가 사제품을 위한 준비를 마무리했다. 동시에 그는 아버지의 제의와 장상의 허락을 받아 사라고사의 대학에서 시민법도 함께 전공하였다. 그의 관대하고 활기 있는 성품과 모든 일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정직하고 침착한 성격은 많은 친구를 사귈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그의 경건한 생활은 동료들에게조차 존경의 대상이 되었고, 학문적 열정 또한 동료 신학생들에게 모범이 되었다. 그래서 그는 1922년, 20살의 나이에 사라고사의 대주교에 의해 신학교의 감독 또는 학사장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이 시기에 그는 많은 시간을 성체 앞에서 기도하며 보냈고, 이는 그의 영성 생활이 성체성사에 깊이 뿌리내리도록 만들었다. 또한 그는 매일같이 기둥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Cathedral-Basilica of Our Lady of the Pillar)을 찾아 하느님께서 자신에게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려달라고 성모님께 전구를 청했다.

   1924년 11월 27일 그는 갑작스러운 아버지의 죽음을 접했고, 그해 12월 부제품을 받고 이듬해 3월 28일 사라고사의 성 가롤로 신학교 성당에서 디아스 고마라(Diaz Gomara) 주교로부터 사제품을 받았다. 이틀 후 그는 기둥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의 한 경당에서 첫 번째 장엄미사를 집전하였다. 그리고 3월 31일에 보좌신부로 발령받은 교구의 작은 시골 마을인 페르디게라(Perdiguera)로 이동하였다. 1927년 4월 그의 대주교의 승인을 받고 시민법 박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마드리드(Madrid)로 자리를 옮겼다. 당시 이 학위는 에스파냐 수도에 있는 중앙 대학에 의해서만 주어졌었다. 마드리드에서 그의 사도적 열정은 그를 다양한 계층의 학생, 예술가, 노동자, 학자, 사제들과의 만남으로 인도했고, 많은 시간을 어린이들과 도시 외곽의 병들고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보내도록 했다. 동시에 그는 가장으로서 가족의 생계를 위해 법률을 가르치며 여러 어려움을 헤쳐나가기도 했다.

   하느님께서는 그에게 일상적이거나 비범한 분야 모두에서 풍부한 은총을 주셨다. 그는 하느님의 은총 안에서 교회와 신자들에 대한 봉사를 통해 많은 열매를 거두었다. 1928년 10월 2일 마드리드에서 피정을 하던 성 호세마리아 신부는 지난 몇 해 동안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내적인 움직임을 기록했고, 그러면서 어렴풋이 알던 자신의 소명을 더 분명히 깨닫게 되었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오푸스 데이’(Opus Dei, 하느님의 사업이란 뜻)라는 재속 수도회이다. 그는 하느님께서 자신에게 교회 안에서 새로운 소명의 길을 열어주셨고, 그것은 세상 한가운데서 자신에게 주어진 일상의 노동을 성화함으로써 사도직의 거룩함과 실천에 응답하도록 전파하는 것임을 깨달았다. 몇 달 후인 1930년 2월 14일 하느님께서는 또한 오푸스 데이가 여성들 안에서도 전파될 수 있도록 그를 일깨워주셨다.

   그 순간 이후 성 호세마리아는 자신의 모든 힘을 쏟아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개인적으로 그리스도를 따르는 모든 남녀가 자신의 사명을 완성하도록 양육하는데 헌신하였다. 그는 자신을 혁신가나 개혁가로 생각하지 않았다. 다만 예수 그리스도에게 압도되고 교회에 지속적인 활력을 주시는 성령에 의해 쇄신되어 이웃을 사랑하고 일상생활 안에서 거룩함을 찾도록 도와주는 것이 오푸스 데이의 존재 이유라고 보았다.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그의 뜻을 따르기 시작했는데, 특별히 대학교의 학생들과 교수들이 그러했다. 그는 그들의 마음 안에 모든 이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진정한 결심을 굳히도록 도와주었다. 이 세상의 지식과 문화가 사회 전체를 복음화하기 위한 열쇠가 됨을 깨달은 그는 1933년 대학 안에 ‘DYA 아카데미’라는 센터를 열고 이듬해 사회 복음화를 위해 ‘영성적 고려’라는 책을 처음 발간했으며, 그 이후 372권의 책을 더 출판하였다.

   이렇게 오푸스 데이가 그 첫걸음을 내디디는 동안 1936년에 에스파냐 내전이 발발했다. 마드리드에서도 심각한 종교 박해가 일어났으나 성 호세마리아는 기도와 인내 그리고 사도적 열정으로 이에 맞서 나갔다. 이 시기는 교회에 큰 고통의 시간이었지만 동시에 영성과 사도직이 성장하고 희망이 빛을 발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1939년 내전이 끝나자 그는 에스파냐 반도 전역에서 사도직 활동에 대한 새로운 활력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그는 많은 대학생과 함께 사회의 모든 영역으로 그리스도를 모셔다드리고, 그리스도인의 소명이 얼마나 위대한지 깨닫도록 해주었다. 특히 내전으로 인해 야기된 에스파냐 사회의 분열을 치유하기 위해 용서와 사랑, 평화의 정신을 강조했다. 그의 명성이 높아지면서 많은 주교들이 교구의 성직자와 평신도를 위한 강의를 청했고, 수도회 장상들 역시 그러했다. 그는 1941년 에스파냐 동북부 레리다(Lerida)에서 사제들을 위한 피정 강의를 하던 도중 오푸스 데이의 사도직 안에서 그에게 큰 도움을 주었던 어머니의 선종 소식을 듣기도 했다.

   1943년 그는 미사를 집전하면서 오푸스 데이의 정신을 교구 사제들의 삶에 육화하기 위해 ‘성 십자가 사제회’(Priestly Society of the Holy Cross)를 오푸스 데이 안에 설립할 필요성을 느꼈다. 1944년 6월 25일 세 명의 기술자가 사제품을 받았는데, 그들 중 한 명인 알바로 델 포르틸로(Alvaro del Portillo)는 설립자를 계승하여 오푸스 데이의 대표가 되었다. 성 십자가 사제회는 교구사제와 사제직을 준비하는 이들의 영성적 형성과 활동에 있어서 지역교회의 사목자들과 조화를 이루었고, 교구사제로 머물며 오푸스 데이의 정신을 실천하는 성 십자가 사제회에 참여하려는 교구 사제들은 더욱 많아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성 호세마리아는 오푸스 데이의 정신을 보편교회 전역에 전파하기 위해 다른 나라에서의 사도직 활동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1946년 그는 오푸스 데이에 대한 교황청의 승인을 얻기 위해 로마로 본부를 옮겼고, 1947년 2월 24일 교황 비오 12세(Pius XII)로부터 ‘데크레툼 라우디스’(decretum laudis, 특별법)에 의거해 가승인을 받았으며, 3년 후인 1950년 6월 16일 교회의 최종 승인을 받아 교황청 직속 재속 수도회가 되었다. 이로써 자신의 노동과 자선 그리고 기도로써 오푸스 데이의 사도적 활동에 동참할 마음을 가진 모든 사람, 비가톨릭 신자와 심지어 비그리스도인까지도 오푸스 데이의 협력자로 참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성 호세마리아 신부는 오푸스 데이 본부를 로마에 안착시킨 후 교회가 원하는 곳에서 봉사하며 사도좌와 교계제도에 더욱 일치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는 건강상의 어려움에 직면해서도 전 세계로 사도직 활동을 확장했고, 이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미소를 잃지 않았다. 하느님의 뜻을 이루기 위한 무조건적인 사랑의 증인으로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즐거운 마음으로 기꺼이 행하는 것이 참된 덕목임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사랑이 위대할수록 세상은 작아지기 마련이다. 세상 모든 곳에서 주교의 부르심에 따라 자신의 사도직 안에서 복음화를 위한 사명을 수행하고, 이 세상에 그리스도의 빛이 흘러넘치도록 하려는 그의 소망은 더욱 커졌다. 그래서 매우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시행되었다.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대학, 농업 종사자를 위한 학교, 대학교,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병원과 의료센터 등 그의 활동은 종종 끝도 없는 바다와도 비교되었다.

   교황 성 요한 23세(Joannes XXIII)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소집을 발표했을 때 성 호세마리아는 이 공의회가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기도하기 시작했다. 공의회의 심의 결과로서 교회의 교도권은 거룩함에로의 보편적 부르심, 거룩함과 사도직을 위한 방법으로서의 전문적인 일, 현세의 노동 안에서 그리스도인의 자유의 가치와 합당한 제한, 내적 생활의 중심이자 기초로서의 거룩한 미사 등 오푸스 데이 정신의 기초적 측면들을 확인했다. 성 호세마리아는 공의회의 자문위원으로서 수많은 교부와 전문가들과의 만남을 가졌다. 그는 새로운 시대를 위한 공의회에서 선구자적인 면모를 보였으며, 오푸스 데이의 활동을 통해 공의회의 가르침과 일치하여 공의회의 정신을 촉진하도록 부지런히 일했다. 하지만 그는 조직적인 활동도 중요하지만 내적인 생활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계속해서 가르쳤다.

   그는 일상생활을 통해 성성(聖性)을 얻을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을 갖고 있었다. 필요한 것은 기도하기 위해서 그리고 더 깊은 내면의 생활을 위해 투쟁하는 것뿐이었다. 우리가 이렇게 살 때 모든 것은 기도가 되고 또한 모든 것은 우리를 하느님께로 이끌기 때문이다. 즉 모든 종류의 일이 기도가 될 수 있고, 또 실제로 기도가 되고 사도직으로 이어진다. 이렇듯 성 호세마리아가 생각한 사도직의 기초는 세상 한가운데서 얻은 그의 내적인 체험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는 기도와 성사로써 자라나고 성체성사를 위한 강렬한 사랑으로 표현되었다.

   그는 생애의 마지막 몇 해 동안 유럽과 라틴 아메리카에서 많은 일정을 수행했다. 그는 수많은 사람들 앞에서 항상 단순하고 친밀한 목소리로 하느님과 성사, 그리스도인의 헌신, 노동의 신성함, 그리고 교회와 교황에 대한 사랑을 강조했다. 1975년 6월 26일 정오 성 호세마리아는 작업실에서 심장 발작으로 선종했다. 그 당시 오푸스 데이는 이미 모든 대륙에 전파되었고, 80개 나라에서 6만여 명이 넘게 활동하고 있었다. 그의 선종 이후 많은 사람이 교황에게 그의 시복시성을 청원했고, 1981년 그에 대한 심사가 시작되었다. 1992년 5월 17일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는 수많은 순례자 앞에서 그의 시복식을 거행했고, 2002년 10월 6일 바티칸의 성 베드로 광장에서 그를 성인품에 올렸다. 교황은 30만 명이 운집한 시성식에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가 일상생활의 중심이자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역설한 새 성인의 가르침을 가슴에 새겨야 한다.”라고 말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6월 26일 목록에서 오푸스데이와 성 십자가 사제회를 설립한 성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의 이름을 기록하였다. 그는 성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데 발라게르 이 알바스(Josemaria Escriva de Balaguer y Albas)로도 불린다.♣

참고자료

  • 성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저, 홍지영 역, 이 세상을 열정적으로 사랑하며, 북랩(서울), 2019년.
  • 최익철 저, 우표로 보는 교회를 빛낸 분들 - '에스크리바', 서울(으뜸사랑), 2014년, 292-296쪽.
  •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제9권 - '오푸스 데이',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2002년, 6476-6477쪽.
  • 한국교회사연구소 엮음, 송영웅 옮김, 오늘 성인(성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시성한 성인들) - ‘성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데 발라게르 이 알바스’,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2014년, 192-196쪽.
  •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저, 최효선 역, 사랑의 담금질, 서울(기쁜소식), 2021년.

사진/그림

자료실

성인 게시판
번호 성인명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12 [호세마리아 에스 ...] 우리 시대의 성인들: 성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신부 주호식 2023/06/12 97 0
11 [호세마리아 에스 ...] 사랑의 담금질 - 호세마리아 성인의 금언집 주호식 2022/02/23 104 0
10 [호세마리아 에스 ...] 오푸스 데이 설립자 에스크리바 몬시뇰 강론 모음집 주호식 2016/08/29 317 1
9 [호세마리아 에스 ...] 오푸스데이 창립자 다룬 영화 호세마리아 신부의 길 한국 개봉 주호식 2013/11/05 518 0
검색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