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속의 여인들] 한나 ‘은총(기쁨)’이란 뜻을 지닌 이름 한나, 기쁠 일도 복된 일도 없이 슬픔에 젖은 모습으로 성경 안에 등장하는 여인. 그에게서 사무엘이 태어났고, 사무엘로부터 이스라엘에는 하느님께서 뽑아 세운 임금의 시대가 열린다. 한나는 아이를 가지지 못했다. 하느님께서 태를 닫아 놓으셨기 때문이고, 그로 인해 남편의 또 다른 아내 프닌나로부터 괴롭힘을 당한다(1사무 1,5-6). 한나의 남편 엘카나는 실로에서의 축제를 즐기지 못하는 한나를 다그친다. “한나, 왜 울기만 하오? 왜 먹지도 않고 그렇게 슬퍼만 하오? 당신에게는 내가 아들 열보다 더 낫지 않소?(1사무 1,8)” 언뜻 보기에 아내에 대한 남편의 걱정과 애정을 엿볼 수 있을 듯 하나, 그 방식이 날카롭고 독하다. 아이를 갖지 못하는 여인의 아픔을 다시 한번 후벼파기 때문이다. ‘아들보다 내가 더 낫지 않나’라는 말은 ‘아들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 엘카나에겐 이제 당연시 여겨졌고, 그 당연함으로 괴로운 것이 또한 당연한 것이 되었고, 그리하여 한나에게 슬픔은 운명이어야 한다는 억압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한나는 억압의 일상을 거부한다. 주님께 간청한다. “만군의 주님, 이 여종의 가련한 모습을 눈여겨보시고…”. 아들을 달라고, 그 아들을 주님께 바치겠노라 다짐하며 간청한다(1사무 1,11). 한나의 청원은 이집트의 종살이에서 신음하던 이스라엘의 것과 그 이스라엘 안에서 억압받던 여인들의 그것들과 많이 닮았다. 한나의 청원은 고통받는 이들이 마지막 기댈 수 있는 자리를 하느님의 자리로 각인시킨다. 한나의 하느님은 ‘만군의 주님’이시다. 구약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만군의 주님’이란 호칭은, 그 어디에도 기댈 곳 없는 고통 속 여인만이 부를 수 있는 유일한 호칭인 것이다. 고통 속에 고통을 아는 자에게만 하느님은 만군을 호령하시는 절대적인 권능을 지닌 분이 되신다. 아니, 그러셔야만 한다! 기도하는 한나는 입술만 겨우 달싹거린다(1사무 1,13). 술에 취한 듯 중얼거리며 기도하는 한나를 실로의 사제 엘리는 꾸짖는다. 나는 여기서 사회의 관습과 당위가 또 한 번 한 여인을 억압하는 기제로 사용되고 있음을 목도한다. 당시의 기도는 크고 높은 목소리로 울려 퍼져야 했다(시편 3,5;4,2;6,9; 다니 6,10-11 참조). 하느님을 찾는 이에게 인간의 방식과 태도를 문제 삼는 건, 고통을 겪는 이에게 ‘이젠 슬퍼하지 마세요’, ‘모든 게 잘 될 거에요’, ‘이 또한 지나갈 거에요.’라는 방관자의 태도만큼이나 모질다. 한나의 청원은 당연시 여겨졌던 이 세상의 인식과 관습을 무색게 한다. 사무엘의 탄생으로 답을 얻은 한나는 그녀의 다짐대로 사무엘을 성전에 봉헌한다(1사무 1,27-28). 그리고 곧장 들려지는 한나의 노래. “제 마음이 주님 안에서 기뻐 뛰고 제 이마가 주님 안에서 높이 들립니다(1사무 2,1).” 그 기쁨의 이유는 오직 하나다. “당신 말고는 아무도 없습니다(1사무 2,2).” 어설픈 위로와 핏기 없이 메마른 사회적 관습을 이겨낸 한나의 기쁨은 오직 하느님을 향해있다.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의 기쁨 역시 그러했다(루카 1,46-55). 고통을 아는 만큼 하느님을 알게 된다. 슬픔을 겪는 만큼 기쁨을 노래한다. [2021년 11월 28일 대림 제1주일 대구주보 4면, 박병규 요한보스코 신부(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