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묻고답하기

제목 사목국성서사목부에 제안드립니다. 카테고리 | 성경
작성자이삼용 쪽지 캡슐 작성일2014-04-02 조회수1,300 추천수0 신고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넓고 깊지 못한 "단편적인" 지식만을 가진 저로서는 기존의 자료들을 믿을 수밖에는 다른 도리가 없습니다.

본건과 유사한 혼란스런 논쟁은 2012년 7월 글번호 6225에서도 있었으며,

최근에는 "천주교묻고답하기" 글번호 10296 (2014.3.28.)로 "배열순서가 마태오복음가 집필순서가 제일 먼저이기 때문"이라는 뉘앙스의 글을 올려져 있는 것을 오늘 보게되었습니다.

"사목국성서사목부" 담당 성직자께서는 소순태 형제의 자료와 주장이 새로운 것인가?, 그래서 기존의

공관복음서 집필시기를 수정해야될 정도의 의미를 갖는 것인가 ?를 판단해주시기를 제안합니다.

이곳은 성경에 관한 올바른 지식을 얻는 곳인데, 정말로 많이 혼돈스럽습니다.


어느 자료에는 마태오복음서 저자가 마태오라는 것에 대해서 확실하지 않다라고 되어 있는데, 아래 자료에는

"마태오"가 "아람어"로 쓴 것으로 되어 있기는 합니다.

그러나 이것이 누군가에 의해서 "편집"이 되었다면, 그 "저자"(paternity)가 "마태오"라 하더라도

지금의 마태오복음서의 "집필시기"는 "편집시기"로 보기 때문에

기존의 자료와 가르침이 이를 근거로 하고 있다고 알고 있는데요 ~~~


무엇이 잘못되었다는 것인지 알 수가 없으니 답답하기만 합니다.

"개인들" 간에 다툴 문제는 전혀 아니라고 봅니다.


정돈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이하 인용)

마태오 사도가 히브리인들의 고유한 언어(아람어)로 복음서를 썼지만 후대의 어느 누군가 그것을 지금 전해지는 바와 같이 그리스어로 번역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복음서는 어떤 사람들을 위해서 썼을까요? 마태오 복음서는 유다교에서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유다인들을 위해 썼습니다. 이 복음서는 팔레스티나1)의 복음서로 간주될 만큼 팔레스티나적인 색채를 강하
게 띠고 있습니다. 복음서 안에서 고대 팔레스티나의 문화적종교적 세계의 고유한 표현과 용어가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그 세계의 관습과 풍속이 아주 명료하게, 또 아무런 해설 없이 수록되어 있기도 합니다.

서기 70년에 로마에 의해 예루살렘 성이 함락되는 사건이 있었는데, 마태오 복음서는 이후 10여 년이 지난 80~85년 무렵에 편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신약] 마태오 복음1
작성자   주호식(jpatrick)  쪽지 번  호   1759
작성일   2011-11-07 오전 11:18:31 조회수   1465 추천수   0
파일정보
다운로드
[도란도란 성경이야기] 마태오 복음 (1)
 
사목국 성서사목부
 

< 이번 호부터 ‘도란도란 성경이야기’에서는 성서못자리 나눔터 교재를 참고문헌으로 하여 복음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쉽게 풀이하고 설명하겠습니다.>
 
 
신약성경의 가장 처음에 나오는 책은 마태오 복음입니다. 마태오 복음서는 ‘교회의 복음서’로 불릴 만큼 교회 문제에 관심이 많고 교회의 전통을 많이 전해줍니다. 그런데 이 마태오 복음서는 누가 썼을까요? 교회는 초대교회 시절부터 첫 번째 복음서의 저자를 열두 사도 가운데 하나인 마태오라고 전해왔습니다. 특히 소아시아 히에라폴리스의 주교였던 파피아스(60~130년 무렵 생존)와 프랑스 리옹의 주교였던 이레네오(130~200년 무렵 생존)는 마태오 사도가 마태오 복음서의 저자라고 증언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마태오 복음서를 자세히 살펴보면, 마태오 사도가 히브리인들의 고유한 언어(아람어)로 복음서를 썼지만 후대의 어느 누군가 그것을 지금 전해지는 바와 같이 그리스어로 번역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복음서는 어떤 사람들을 위해서 썼을까요? 마태오 복음서는 유다교에서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유다인들을 위해 썼습니다. 이 복음서는 팔레스티나1)의 복음서로 간주될 만큼 팔레스티나적인 색채를 강하
게 띠고 있습니다. 복음서 안에서 고대 팔레스티나의 문화적종교적 세계의 고유한 표현과 용어가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그 세계의 관습과 풍속이 아주 명료하게, 또 아무런 해설 없이 수록되어 있기도 합니다.

서기 70년에 로마에 의해 예루살렘 성이 함락되는 사건이 있었는데, 마태오 복음서는 이후 10여 년이 지난 80~85년 무렵에 편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집필 장소는 이스라엘에 가까이 붙어 있는 시리아의 안티오키아에서 집필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마태오 복음서의 내용들을 살펴보면 마태오 복음서를 쓴 배경이 된 공동체(이하 ‘마태오 공동체’) 안에서 전통적인 유다이즘2)과 갓 탄생한 그리스도교가 얼마나 심각하게 대립했는지를 알게 됩니다. 마태오 공동체
에는 내부적·외부적 문제들이 있었습니다.

우선 마태오 공동체는 유다이즘에서 탄생한 공동체입니다. 마태오 공동체가 유다이즘에서 탄생했다는 사실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것은 마태오가 자기 복음서에서 구약 성경을 사용하고 있는 빈도입니다(130여개 구절의 구약 성경을 참조, 43개 구절 인용). 구약성경은 유다인들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던 성경으로, 마태오는 구약 성경을 참조하게 하여 하느님의 계획이 예수님 안에서 완성되었다는 것을 보여 주고자 합니다.

한편 마태오 공동체의 유다인들은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기는 했지만 아직까지 유다교에서의 생활방식이 남아 있었습니다. 특히 모세의 율법을 지키는 것에 있어서 상반되는 두 풍조가 나타났습니다. 일부는 지나치게 세심할 정도로 율법주의 태도를 나타내면서 과거 유다교에서의 모습대로 고대 모세 율법을 의무적으로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다른 이들은 이제는 유다교가 아니고 그리스도교이므로 자기들은 법률적인 의무를 지킬 필요가 전혀 없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복음서 저자는 옛 율법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합니다. “하늘과 땅이 없어지기 전에는, 모든 것이 이루어질 때까지 율법에서 한 자 한 획도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5,18).”

마태오 공동체에게는 외부적 문제도 있었습니다. 그들 주변에는 그리스도인들을 박해하는 유다인 공동체들이 있었습니다. 70년에 예루살렘이 함락당한 이후, 바리사이들은 지중해 연안에 있는 얌니아라는 곳에 모여 유다이즘을 다시 조직하기에 이릅니다. 다시 생겨나게 된 이 유다이즘은 내부적으로 더 긴밀하게 단결했으며 외부 세력, 특히 당시 중요하게 부각되기 시작한 그리스도교와도 맞섰습니다. 따라서 마태오 공동체 역시 유다이즘과의 분쟁과 마찰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태오 공동체는 이방인들에게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였습니다. 마태오 복음서와 비슷하게 루카 복음서에서도 이방인들에게 개방된 공동체의 모습이 드러납니다. 그런데 마태오 공동체에서 관심을 보인 이방인들은 루카 공동체의 이방인들과는 조금 다릅니다. 루카 공동체의 보편성의 대상은 이방인 세계에서 온 그리스도교 신자들이었습니다. 그런데 마태오의 공동체는 아직 그리스도교 신자가 아니어도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따르고자 하는 확신이 있으면 되었습니다. 그래서 예수를 경배하러 왔던 첫 사람들은 동방 박사들이었고, ‘만나는 사람 아무나(22,9)’와 ‘모든 민족들(24,14;26,13)’이 마태오 공동체에 초대를 받았습니다.
 
* 참고문헌 : 성서못자리 그룹공부교재 「마태오 복음」, 2010, 기쁜소식, 9~48쪽.

1) 유다인이 살았던 지역 전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요르단과 이스라엘 두 나라에 걸쳐 있는 지방으로 이스라엘을 중심으로 한 지중해의 동해안 일대의 지역입니다.
2) 유다인들의 종교인 ‘유다교’와 같은 의미의 단어입니다. ‘유다인’은 유다교를 믿는 사람으로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 중 하나였던 ‘유다지파’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소공동체모임길잡이, 2011년 5월호]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