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교적 대화 (23) 교회분열 (1) 천주교에 대하여 비판적 시각에 젖어 있는 타 종교인들과의 대화를 위하여 가상 대화 형식으로 꾸몄으며, 주로 서한규의 “가톨릭교회!와 개신교?”(서울, 게쎄마니, 2012)를 참고하였다. 비신자 : 개신교가 어떻게 갈라져 나가게 되었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개신교에서는 종교개혁이라고 하는데요. 천주교인 : 개신교에서는 종교개혁이라고 정당화하려고 하겠지요? 그러나 내가 보기에는 전혀 개혁이 아니에요. 무엇을 개혁하겠다는 것이었을까요? 비신자 : 교회 내의 기율이 헤이해진 것에 대한 개혁이 아닐까요? 천주교인 : 당시 유행하던 인문주의 영향으로 세속적인 요소들이 끼어들긴 하였지만, 개혁을 외친 이들이 진정 교회의 기율을 개혁하려고 했었는가는 의문이에요. 비신자 : 교회 내 세속화가 문제라면 세속화를 벗어나는 것이 개혁이었겠네요. 천주교인 : 그렇지요. 특히 북유럽 일대에 거듭 악폐가 쌓였다고 해요. 고위성직자 선정에 있어서 권력이다 보니 직접 간접으로 속권의 간섭이 있어서 부적격자도 당연히 생겨났지요. 성직의 엄숙성이 손상되는 사례들도 있었고, 빈부의 격차가 심하게 생겨나기도 했어요. 이런 여파가 성청까지 미치기도 하였어요. 당시까지는 성직자가 결혼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다른 여러 문제들도 있지 않았겠어요. 이런 것들만 개혁하라면 문제가 없었을 것이고, 자신들도 그렇게 개혁가답게 살았으면 그들의 진정성을 알아주었을 거예요. 비신자 : 이런 사태에 천주교에서는 어떤 개혁적인 조치가 있었나요? 천주교인 : 좀 늦긴 했지만 트리엔트 공의회를 열어서 세속화의 요소들을 가능한대로 정리했어요. 특히 성직자들의 독신을 교회법으로 의무화했어요. 그때부터 지금까지 천주교 성직자들은 의무적으로 독신생활을 하는데, 반면에 개신교에는 그런 의무가 없지요. 비신자 : 그러면 개혁자라는 이들은 개혁가답게 살았나요? 천주교인 : 참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루터는 일생을 독신으로 지낼 동정 서원을 한 가톨릭의 수사 신부였어요. 그런데 42세 나이로 하느님께 드린 정결서원을 깨뜨리고 26세의 젊은 수녀인 가타리나 폰 보라와 결혼생활을 시작했어요. 루터와 동지였던 에라스무스까지 이것을 조롱했어요. 비신자 : 하느님께 바친 동정 서원을 파기했군요. 다른 것은 또 없나요? 천주교인 : 수도자는 3대 서원을 해요. 청빈, 정결, 순명이지요. 루터는 또 로마교황의 교서를 대중들 앞에서 불사르는 반역을 저지르지요. 반평생을 장상으로 섬기던 분을 대한 극도의 모욕을 개혁자로 자처하는 그가 어떻게 그럴 수가 있을까요? 순명 서원에 대한 파기에요. 비신자 : 불가능한 이혼과 재혼을 허락해 주기도 했다던데요. 천주교인 : 루터는 정치가의 보호가 아니었으면 당시로서는 살 수 없었지요. 자기를 보호해 주던 헤센의 백작 필립의 이혼을 허락해 준 겁니다. 필립은 일곱 남매를 낳아준 조강지처를 버리고, 열일곱 살 난 처녀와 결혼할 것을 마음먹고 루터와 멜란히톤에게 승낙을 요구합니다. 필립의 후원이 절대로 필요했던 그들은 옳지 않은 것을 알면서도 비밀 조건으로 허락해 줍니다. 그러나 필립은 드러내놓고 목사의 주례로 결혼식을 올립니다. 교황이 헨리 8세의 이혼을 허락하지 않아서 영국 국교인 성공회가 갈라진 사실을 상기해 보세요. 있을 수 있는 일입니까? 그러니 교회 기율을 개혁하기는커녕 자신들의 교파에도 기율이 서지 않는 것입니다. 신앙의 기율에 있어서 본인들이 개혁 대상이 되었으니 말입니다. [2025년 2월 9일(다해) 연중 제5주일 청주주보 3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