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천주교용어자료집 (총 7개 검색)

안식일 (安息日) [라]sabbatum [영]sabbath
...며, 안식일의 유래에 관해서는 태초에 하느님께서 6일 동안 창조 사업을 마치시고 제7일에 쉬신 것과 이스라엘 민족이 이집트에서 해방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라는 전승이 있다. 안식일의 의의는 단순히 일을 쉬거나 금지하는 데 있지 않다. 그보다는 하느님께 바쳐진 거룩한 날, 하느님의 모습대로 창조된 인간이 하느님께서 선물하... 동방 가톨릭 교회 (東方-敎會) [라]Ecclesiae orientales catholicae [영]Eastern Catholic Churches
고대 동로마 제국의 영토 안에 자리한 모든 교회를 동방교회라고 하는데, 이들은 현재까지 각 지역교회마다 고유하게 전승된 비잔틴 전례(슬라브 교회, 러시아 교회 등), 아르메니아 전례, 서시리아 전례(시리아 교회, 시로 말란카르 교회, 마론파 교회), 동시리아 전례(칼데아 교회, 시로 말라바르 교회), 콥트 전례, 에티오피... 동방 교회 (東方敎會) [라]Ecclesiae orientales [영]Eastern Churches
...로는 1054년의 그리스도교 대분열(Great Schism), 외적으로는 이슬람의 발흥과 확산 등으로 역사적 격변을 거쳤다. 현재까지 각 지역교회마다 고유하게 전승된 비잔틴 전례(슬라브 교회, 러시아 교회 등), 아르메니아 전례, 서시리아 전례(시리아 교회, 시로 말란카르 교회, 마론파 교회), 동시리아 전례(칼데아 교회... 유다교 [라]Iudaismus [영]Judaism
...로 재건된 제2성전 시대의 유다교와 성전 파괴 이후의 랍비 유다교로 나눌 수 있는데, 유배 이후로는 율법의 준수와 회당이 점점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예수 시대의 유다교에는 여러 파들이 있었으나 70년의 성전 파괴 이후로는 바리사이파가 중심이 되었고, 랍비 유다교에서 미쉬나, 탈무드 등의 전승들을 발전시켰다. 동방 정교회 [라]Ecclesia Orthodoxa [영]Orthodox Church
...자적으로 각각의 총대주교(Patriarch)의 관할 아래 남아 있는 교회들을 동방 정교회라고 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그리스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 이집트 정교회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각 교회별로 독자적으로 전승된 전례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동방 교회”라고 일컫는 것은, 이 동방 정교회를 가리킨다. 성가 (聖歌) [라]cantus religiosus [영]chant
가톨릭에서 미사나 그 밖의 예식 때 부르는 노래. 넓은 의미에서 가톨릭 음악(musica catholica)을 뜻한다. 그레고리오 성가로 전승된 로마 성가와 동방에서 전승된 비잔틴 성가가 있다. 성전2 (聖傳) [라]traditio [영]tradition
 [참조] : 성경
성경과 함께 ‘교회에 맡겨진 하느님 말씀의 유일하고 거룩한 유산’을 이루는 전통. 성전은 성경과 함께 쓰지 않을 때에는 ‘전통’과 ‘전승’이라는 말로도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