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가톨릭대사전
(총 57개 검색)
성세성사
(聖洗聖事) [라]Baptismus, Baptisma [영]Baptism
(가톨릭대사전)
성세 또는 세례([그] baptiama). 물로 씻는 예식으로 이루어지는 세례, 즉 수세는 가톨릭 교회의 성사이며 가견적(可見的) 교회 즉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의 단체에 입적(入籍)하는 입문성사(入門聖事, 성세 · 견진 · 성체) 중 최초로 받는 성사이다. 따라서 이 성세를 받아야만 비로소 교회의 기타 성사들을 받을 자격...
교회사
(敎會史) [라]historia Ecclesiae [영]history of Church
(가톨릭대사전)
가톨릭 교회의 역사는 30년경 유태교의 축제일인 오순절에 성령을 받은 사도들이 베드로를 중심으로 군중 앞에 나아가 예수의 부활을 증언하면서 구약의 메시아(구세주)에 대한 예언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되었다는 복음을 선포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러한 복음 선포를 경청하여 받아들인 이들이 사도들을 중심으로 사랑과 일치의 공...
혼배미사
(婚配∼) [라]Missa nuptialis [영]nuptial Mass
(가톨릭대사전)
[관련] : 혼인성사미사 중에 혼인성사를 집전할 때의 미사. “일반적으로 혼인성사는 미사 중에, 즉 복음 봉독과 설교 후, ‘신자들의 기도’ 전에 집전되어야 한다”(전례헌장 78). 혼인성사 예식의 핵심은 혼인성사의 당사자들이 신랑 · 신부가 구두로 주고받는 혼인 동의이다. 그러므로 지역교회 당국이 그 지방과 민족에 알맞은 고유한 혼인예식을...
모세 오경
(∼五經) [라]Pentateuchus
(가톨릭대사전)
1. 이름 : 오경이란 그리스어로 (he) pentatemchos(biblos), 이에 따른 라틴어 pentateuchus를 번역한 것이다. 어원을 정확히 밝히면 pente(=5)와 teuchos(=그릇, 항아리)의 합성어로 사실은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를 각각 5개의 두루말이로 나누어서 5개의 항아...
전례사전
(총 40개 검색)
미사 전례 성서
(~典禮 聖書) [영]Lectionary
(전례사전)
...진다. 선포된 말씀과 받은 말씀 사이에는 성령의 역동성이 있다. 성령은 말씀 전례 안에서 변화시키는 동인(動因)이다. 말씀이 회중에게 선포되면 성령의 역할로써 교회의 본성이 분명히 드러난다. 모든 이가 하느님의 말씀을 들으며 어떤 이들은 읽고 또 어떤 이들은 해설한다. 그들은 가르침의 직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회중의 ...
가정 기도
(家庭 祈禱) [영]Family Prayer
(전례사전)
...수업이며 무한한 가치를 갖는 경신례이다. 집 축성이나 자동차 축성 등 준성사들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도 부모로서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다.가정 기도와 전례가정 교회의 이러한 기도 생활은 자녀들을 자연스럽게 전체 교회의 전례 기도 속으로 인도한다. 어떤 의미에서 가정의 기도 생활은 자녀들에게 전례 기도를 준비시키고 개인과 ...
예수 부활 대축일
(~復活 大祝日) [영]Easter
(전례사전)
...부활 대축일은 그리스도교의 파스카가 되었다.교회력의 다른 축제들은 부활 대축일의 날짜에 의존한다. 부활 대축일은 춘분이 지난 뒤 첫 만월 바로 다음 주일이다. 교회의 눈으로 볼 때 그 해의 모든 주일은 부활 대축일의 연장으로 여겨진다. 주일(라틴어로 Dominica)이라는 명칭은 ‘주님’을 뜻하는 Dominus에서 유래한...
복되신 동정 마리아 - 공경
[영]Mary, Blessed Virgin - Cult
(전례사전)
...한 전례에 관한 헌장」(103, 104, 108, 111항)에 따르면 복되신 동정 마리아 공경을 위한 항구하고 완전한 자리가 있다. 복되신 동정 마리아께 대한 교회의 신심은 그리스도교 경배의 내재적 요소이다. 마리아 공경은 계시된 말씀 안에 확고히 뿌리를 박고 있으며 견고한 교의적 기반을 갖고 있다.마리아 신심의 기반은 ...
용어사전
(총 7개 검색)
혼인 성사
(婚姻聖事)
(용어사전)
[참조] : 관면 혼종혼
1. 의의 : 이는 남편과 아내의 유일하고 영원한 관계를 성화(聖化)하기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설정한 일곱 성사 중의 하나이다. 하느님은 당신의 모습대로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둘이 한 몸이 되게 하셨고(창세 2,23-24), 영구적으로 결합하여(不可解消), 새로운 생명체를 출산하고, 부부 서로 하느님의 도구로서 고상...
교회사
(敎會史)
(용어사전)
[참조] : 한국 교회사
...스도께서 사도들을 통하여 교회를 창설하였다(마르 3,13-19; 마태 10장; 16장; 루가 8장; 10장). 그리고 베드로를 으뜸으로 정하셨다.
2. 초대 교회의 특징 : 초대 교회는 네 가지의 본질적인 의미를 갖는다. 첫째는 교회의 지일성(至一性)이다. 동일한 계시의 교리를 믿으며 동일한 베드로와 그 후계자 교황에게...
전례서
(典禮書)
(용어사전)
[참조] : 예식서
이는 공적 예배를 드리는 데 무엇을 어떻게 하는가를 교회가 공인한 책이다. 미사 경본, 성무 일도서, 성사 전례서 등이 그것이다. 여기에는 교회에서 신자와 성직자가 함께 드리는 공식적인 의식 전부가 수록되어 있다.
그런데 이 전례를 절기별로 나누어 놓은 달력을 전례력(典禮曆)이라 한다. 2차 바티칸 공의회는 시대에 부응...
보편되다
(普遍~)
(용어사전)
[참조] : 가톨릭
이는 사사(私私)롭지 않고 정당하고 공평하게 모든 사람에게 해당됨을 말한다. 여기서는 가톨릭(Catholic, 보편적) 교회의 한 특성을 말하는데, 시대, 장소, 인종, 남녀 노소, 지식이나 재산의 유무, 지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누구든지 다 믿을 수 있는 종교라는 말이다. 이유는 그리스도께서 세상 모든 사람을 구원하러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