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선행◆ 인쇄

한자 善行
라틴어 opera bona
영어 good works

   일반적으로 착하고 어진 행실을 가리킨다. '선행' 말고도 '선업'(善業) 또는 '가행'(嘉行)이라는 용어가 쓰이는데 모두 마찬가지 뜻이다. 다만 '선업'은 좋은 과보(果報)를 받을 수 있는 착한 일을 가리키는 불교용어다. ≪한불자전≫(韓佛字典, 1880)에는 '션행후언'(선행후언, 善行厚言)이라는 단어가 수록되어 있는데, 정숙한 행동과 너그러운 말을 의미하는 숙어이다. 여기서 '선행'이라고 함은 '어진 행동'(action vertueuse)을 지칭한다.

   인간적 행위 또는 인간행위(human act)는 도덕의 규범으로 되는 표준에 부합되고 있느냐 아니냐의 여부에 따라서 선 또는 악이 될 뿐이다. 도덕적으로 중립적인 행위란 순전한 이론상의 것이지, 현실에서는 모든 의식적인 행동은 도덕적으로 선 또는 악의 그 어느 쪽이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도덕적으로 착한 행위 즉 '선행'은, 은혜의 상태에서 해해졌을 때 초자연(超自然)의 상(賞)을 받음에 합당한 것이다. 이 때문에 초자연적인 선행은 초자연적인 목적 즉 의화(義化), 완덕(完德), 진복팔단(眞福八端)을 위하여 행해지는 것이므로 '구령적(救靈的)인 행위'(actus salutaris)라고 부른다. 이 '선행'이라는 용어는 종교개혁 시대에 격렬한 논쟁의 초점이 되기도 하였다. 당시 프로테스탄트주의의 지도자들, 특히 루터는, '선행'이 아니라 '신앙'만이 사람을 의화한다고 주장하였다.

   '선행'에 관한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 가운데에는, 인간본성아담의 타락에 의해 전면적으로 부패되어 버린 것은 아니라는 신앙이 포함되어 있다. 인간자유의지를 갖고서 신의 은혜와 협력하여 선행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인간의 자유는 죄에 의하여 전면적으로 예속상태에 빠져 있는 것이 아니다. 성서는 선행의 필요를 강조하며, 이를 구령상 필수적인 것으로 삼고 있으며(마태 2:34, 7:21, 16:27, 19:17, 갈라 6:9, 1디모 6:18, 아가 2:13), 하느님영광인간구원을 선행의 목표로 하고 있다(마태 5:16, 요한 15:8, 필립 1:10).

   [참고문헌] J. Mausbach, Katholische Moraltheologie I, Aufl. 7, 1936 / O. Schilling, Apologie der christlichen Moral, 1936 / C. Journet, The Meaning of Grace, tr. A. V. Littledale, New York 1960 / John A. Hardon, S.J., Modern Catholic Dictionary, New York 1980.
출처 : [가톨릭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