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악행◆ 인쇄

한자 惡行
영어 evil deed, wrong doing
독일어 Untat

   일반적으로 흉악한 행실 또는 나쁜 행위를 가리킨다. 불교 용어로는 전세(前世)의 나쁜 행위를 ‘악업’(惡業, wrong doing)이라고 하며, 이것은 일반용어로 쓰이게 되어 ‘좋지 못한 짓’을 의미한다. ≪한불자전≫(韓佛字典, 1880)에 따르면, ‘악행하다’의 뜻은 나쁜 행동을 한다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악행’에는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할 수가 있다. 즉 당연히 있어야 할 선의 부재(不在), 행위의 선악을 뚜렷이 검토하지 않는 상태의 악의(惡意, bad faith)적인 인간행위를 자행하는 경우가 그것이고, 또 하나는 인간행위에 적용할 때, 당연히 나아가야 할 길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악을 바라는 의미에서의 악의(malevolence)적인 못된 짓을 행하는 경우이다. 그리스도교의 입장에서 ‘악’은 실재하지 않는 것이며, 성서에서는 어떤 인간이나 행위 또는 사물을 그 외관이나 결과로 보아 무가치하거나 부패한 것, 즉 흉악하고 근심되는 것, 고통스럽고 해하는 것 등을 악으로 보고 있다. ‘부패’하는 의미를 확대시켜 생각할 때, ‘악’이란 인류 특히 이스라엘이 견디어야 하는 재앙, 화(禍), 위험 등을 뜻하며, 따라서 ‘악’은 종종 하느님께서 주시는 벌이나 응징을 의미하고 있다. 하느님께서는 그의 섭리로서, 엄하지만 분별있는 목적을 위해 ‘악’을 사용하므로, 악의 주관자로 묘사되고 있다(욥기 2:10, 판관 45:7, 아모 3:6). 특히 신약성서에 ‘악’은 도덕적 영적인 의미를 함축하여, 인간이 서로에게 행하는 잘못을 의미하게 되었다. 또한 도덕적인 잘못, 악의, 죄있는 마음의 사악함 등도 의미하였다. 그러므로 ‘행악자’(行惡者)란 사악한 자를 지칭하였다. 인간의지에서 생겨나는 모든 의식적 행위 즉 인간적 행위 또는 인간행위(human act)가 도덕의 규범이 되는 표준에 상반되는 행위였을 때 바로 ‘악행’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G. Mensching, Gut und Bose im Glauben der Volker, 1950 / L. Lavelle, Le Mal et la souffrance, Paris 1951 / P. Siw다, The Philosophy of Evil, New York 1951 / J. Nabert, Essai sur le mal, Paris 1955 / F. Petit, The Problem of Evil, tr. C. Williams, New York 1959 / C. Journet, The Meaning of Evil, tr. M. Barry, New York 1963 / John A. Hardon, S.J., Modern Catholic Dictionary, New York 1980.
출처 : [가톨릭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