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뉴스
서울대교구
가톨릭정보
뉴스
가톨릭갤러리
자료실
게시판
클럽
메일
로그인
미니캡슐
성경쓰기
쪽 지
전용게시판
메 일
MyGoodnews
클 럽
성경
BIBLE
성경읽기
구약성경
신약성경
NAB
구약성서
신약성서
200주년기념성서
성경쓰기
매일성경쓰기
개인성경쓰기
NAB쓰기
클럽성경쓰기
함께성경쓰기
통계보기
성경정보
성경 검색
성경-성서-NAB 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커뮤니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성경 묻고답하기
성경 자료실
My 성경 책갈피
성인
SAINT
성인소개
오늘의 성인
내일의 성인
103위 성인
복자 124위
성인정보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HOLYPLACE
성지소개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지순례
천주교 서울 순례길 안내
기도문
성가
CHANT
가톨릭 성가음악
성가 정의
교회음악사
전례속의 성가
반주악기
성가대운영
성가마당
링크사이트
성가음원
가톨릭 성가 검색
시편 성가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기타
성가자료
악보
전례음악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대 영상 모음
성가게시판
공지사항
게시판
가톨릭길라잡이
DICTIONARY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본
교리자료실
교회법
교회법전
교회법자료실
문헌
바티칸 공의회 문헌
소리광장
GOODNEWS AUDIO
플레이리스트
매일미사
성무일도
주보
성경
기도문
성가
소리도서
MY
담기리스트
미사/기도서
MASS / PRAYER
매일미사
오늘의 미사
오늘의 강론
전례력으로 찾기
미사통상문
우리들의 묵상 | 체험
전례 | 미사
소리매일미사
성무일도
성무일도
기도서
주요기도
성월기도
호칭기도
여러가지기도
고해성사
묵주기도
십자가의 길
위령기도
공소예절
성무예절서
가정기도 길잡이(new)
7성사
성사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혼인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준성사
FAQ
묻고답하기
주보
WEEKLY
주보 안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검색
통합 검색
성경
성경읽기
성경검색
성경비교
4대복음서 대조
성서해설(공동번역)
성경 자료실
성경 묻고답하기
말씀나누기
성경쓰기 느낌나누기
My 성경 책갈피
성경쓰기
성인
오늘의 성인
성인 목록
성인 앨범
성인 자료실
성지
성지/사적지 목록
성지/사적지 앨범
성지/사적지 자료실
성지/사적지 게시판
성가
가톨릭 성가음악
가톨릭 성가 검색
악보감상실
전례음악자료실
CCM 생활성가
그레고리안 성가
기타 성가
공지사항
화답송/복음환호송
성가 게시판
시편 성가
가톨릭길라잡이
가톨릭대사전(NEW)
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가톨릭 교리서
가톨릭 교리서 요약
교회법
바티칸공의회문헌
소리광장
플레이리스트
소리도서
담기
미사/기도서
매일미사
성무일도
가톨릭기도서
7성사
주보
전국 주보
전례 주일별 주보
교구별 주보
주보 통합검색
가톨릭사전
모든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천주교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검색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전체]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혼인장애◆
인쇄
한자
婚姻障碍
라틴어
impedimenta matrimonialia
1. 의의 : 법률에 의하여 금지되지 않는 자는 누구나 혼인할 수 있다(교회법 1058조). 법이 혼인을 금지한다고 함은 혼인의 본질이나 실정적 신법(實定的 神法) 또는 교회의 법규를 거슬리는 중대한 사유의 특수한 경우에 혼인할 수 있는
자연
적 권리가 제한됨을 말한다. 광의(廣義)의 혼인장애는, 혼인 당사자의 적격(適格)이나 혼인동의 성립요건(婚姻同意 成立要件) 또는 법이 정하는 형식적 요건(形式的 要件)에 있어 혼인의 성립을 방해하는, 즉 혼인을 불법 또는 무효로 하는 일체의 사정을 말한다. 그리고 협의(狹義)의 혼인장애는, 혼인당사자의 신체적, 심리적 혹은
종교
적 조건 등의 적격에 있어서 혼인을 불법 또는 무효로 만드는 흠결(欠缺)의 사유를 말한다.
2. 구분 : 혼인장애는
법원
(法源)에 따라 신법 장애와 인정법(人定法) 장애로 나뉘며, 효과에 따라 혼인 체결을 금지하는 금지장애와 무효케 하는 무효장애로 구분된다. 범위에 따라 어떤 사람과도 혼인할 수 없는 절대장애와 일정한 사람과의 혼인만을 체결하지 못하게 하는 상대장애로 나뉘며, 존속기간에 따라 영구장애(永久障碍)와 기한부장애로 나뉜다. 그리고 확실성에 따라 확실장애와
의심
장애로 나뉘며,
의심
장애는 법률상의
의심
장애와 사실상의
의심
장애로 세분된다.
관면
가능성에 따라 가관면장애(可寬免障碍)와 불가관면장애(不可寬免障碍)로 구분된다. 증명가능성에 따라 외정(外廷)으로 증명이 가능한 공개장애(公開障碍)와 그렇지 않은 비밀장애로 나뉜다. 끝으로 장애가 일방(一方)에만 있느냐 쌍방(雙方)에 있느냐에 따라서 일방장애와 쌍방장애로 구분된다.
3. 성립과 주체(主體) : 신정법(神定法)이 혼인을 어떠한 경우에 금지하고 무효로 하는가는 교회의 최상권자만이 유권적(有權的)으로 선언할 수 있다. 그리고
영세
자의 혼인에 있어서 금지 또는 무효장애를 제정하는 것도 교회의 최상권자의 권리에 속한다(교회법 1075조). 그러나 비영세자(非領洗者)는 그들간의 혼인에 있어서는
교회법
적 장애만큼은
구속
되지 않는다. 비영세자가
영세
자와 혼인하는 경우에 있어서 비영세자는
영세
자가 장애의 주체가 되는 모든 금지장애와 무효장애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된다(교회법 1059조 참조). 그러므로 비영세자는 상대방인
영세
자가 적령미달이거나 강요된 외부로부터의
폭력
이나 큰 공포의 주체 등인 때 그와 유효하게 혼인할 수 없는 것이다. 교구직권자는 자기의 관할지역 내에 실제로 체재하고 있는 사람과 타 관할지역에 체류하고 있는 타교구신자(他敎區信者)에 대하여 특별한 경우 일정한 기간에 한하여
정당
한 이유가 있고 그 이유가 존속하는 동안 혼인을 금지할 수 있는
권한
을 가진다. 그러나 그 금지의 효과를 무효로 할 것이냐에 관하여는 홀로 교회의 최상권위자만이 결정할 수 있다(교회법 1077조 2항). 그러므로 교구직권자가 일정기간
정당
한 이유가 있을 때 혼인을 금한다 하더라도 그 금지는 불법의 효과가 있을 뿐 혼인의 효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무효장애 :
교회법
은 15개의 무효장애를 규정하고 있는데 그 중 12개는 혼인법 3절 무효장애 종류편에, 나머지 3개는 4절 혼인동의편 및 5절 혼인거행의 형식편 등에 기술되어 있다. 이를 상론(詳論)하면 다음과 같다.
①
연령
장애 :
교회법
1083조 1항은 남자 만 16세, 여자 만 14세 이상을 혼인적령(婚姻適齡)으로 정하고, 이에 미달하는 사람의 혼인은 무효로 한다. 우리나라 민법 807조는 남자는 만 18세, 여자는 만 16세 이상을 혼인적령으로 정하고, 미성년자는
부모
등의
동의
를 얻어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교회가 국법상의
연령
장애는
관면
할 수 없으므로, 예컨대 비영세자인 18세 미만의 남자와의 혼인을 주례할 수 없다. 특별한 경우(교회법 1079조∼1080조)를 제외하고
교황청
의
관면
을 필요로 한다. 나이가 1년 정도 부족한 경우에는 교구장
주교
(主敎)가
관면
할 수 있다(De Episcoporum Muneribus IV, II). 전에는 이 장애를 연기조당(年期阻擋)이라고도 불렀다.
② 불능장애(不能障碍) : 혼인 전의 영구적 성교불능은 남녀를 불문하고 또 절대적이든 상대적이든 혼인 자체의 성질상 혼인을 무효케 한다. 불능장애인지
의심
이 있다면 법률의
의심
이든 사실의
의심
이든 혼인이 금지되지 않으며, 또한
의심
이 지속하는 한 무효혼(無效婚)으로 선고되지 않는다. 또한 불임은 특별한 경우(교회법 1098조)를 제외하고는 혼인을 금지하지도 무효케 하지도 않는다(교회법 1084조 3항). ‘불능조당’이라고도 불린 이 장애는, 신법상(神法上)의 장애로서
관면
되지 않는다.
③ 혼인인연장애(婚姻因緣障碍) : 전(前)의 혼인이 완결(完結)되지 않은 경우에라도, 전의 혼인인연에 매여 있는 사람은 다른 혼인을 시도해도 무효이다. 전의 혼인이 무효 되었거나 혹은 어떤 이유에서 해소되었을지라도, 전 혼인의 무효나 해소가 합법적으로 확실하게 성립되기 전까지는 다른 혼인을 맺을 수 없다(교회법 1085조 2항). 이 장애는 신법에 의한 것이므로
신앙
의
특전
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관면
되지 않는다. 비신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장애를 전에는 ‘결배조당(結配阻擋)’이라고 불렀다.
④ 타종교장애(他宗敎障碍) : ‘외교조당’(外敎阻擋)이라고 불린 이 장애는
가톨릭 교회
에서 세례를 받았거나 혹은
가톨릭교회
에 받아들여지고 요식행위(要式行爲)로써 교회에서 이탈하지 않은 사람과 세례받지 않은 사람사이의 혼인에서 발생한다(교회법 제1086조 제1항). 이 장애는
교회법
1125조나 1126조의 조건들이 채워지면
관면
될 수 있다(동, 2항).
⑤ 성품장애(聖品障碍) : 거룩한 품(品)을 받은
성직자
가 불법으로 체결하는 혼인은 무효이다(교회법 1087조).
성직자
라 함은
부제
(副祭)와
사제
(司祭) 및
주교
(主敎)만을 말한다. ‘신품조당’이라고도 불린 이 장애는
교회법
에 의한 것이며
사도좌
(使徒座)에
관면
이 유보(留保)되어 있다(교회법 1078조 2항 1호).
⑥ 수도서원장애(修道誓願障碍) : 성별(聖別)된 생활의
수도회
에서
정결
(貞潔)의 종신공개서원(終身公開誓願)을 한 사람은 혼인을 시도하더라도 그 혼인은 무효이다(교회법 1088조). 전에 성식서원(votum solemne) 또는 성청의 특별 조치로 혼인무효의 효력을 부가한 단순서원(votum simplex)을 한 사람이 불법체결한 혼인에서 발생한 장애이었는데, 이제는 이러한 구별이 없이 모든
수도회
의
정결
의 종신공개서원에서 이 장애가 발생한다. 성청 설립
수도회
서원
장애의
관면
은
사도좌
에 유보되어 있으나(교회법 1078조 2항 1호),
죽음
의 위험이 긴박한 경우에 교구직권자가
관면
할 수 있다(교회법 1079조 1항).
⑦
유괴
장애(誘拐障碍) : 혼인을 목적으로 여자를
유괴
한 경우에는 그 여자가 남자의 실력하(實力下)에 있는 한 혼인이 성립하지 않는다. 그러나 후에
유괴
한 남자에게서 여자가 풀려나 안전하고
자유
로운 장소에서 여자가 자원해서 혼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다(교회법 1089조). 교구직권자는 일반적
권한
으로 이 장애를
관면
할 수 있다(교회법 1078조 1항). 이 장애를 전에는 ‘강탈조당’(强奪阻擋)이라고 불렀다.
⑧ 범죄장애(犯罪障碍) : 어느 특정인과 혼인할
의도
하에 직접적으로 그 사람의 배우자나 또는 자기의 배우자를 죽인 사람, 또한 서로 물리적으로나 윤리적으로 협력하여 배우자를 죽인 사람들 사이의 혼인은 무효이다(교회법 1090조). ‘간악조당’(姦惡阻擋)이라고 불린 이 장애는, 간통(姦通)의 사실이 없어도 혼인인연에 있는 배우자를 죽인 경우에서 발생한다. 이 장애의
관면
은
사도좌
에 유보되어 있지만 죽을 위험이 긴박한 경우에 교구직권자는 이 장애를
관면
할 수 있다(교회법 1078조 2항 2호 및 1079조 1항).
⑨ 친족장애(親族障碍) : 직계친족 내에서는 적출자(嫡出者)이건 비적출자(非嫡出者)이건 모든 존비속(尊卑屬) 사이의 혼인은 무효이다(교회법 1091조 1항). 방계(傍系)에 있어서는 4친등 이내의 혼인은 무효이다(동 2항). 직계친족의 친등 또는 방계 2친등에 대한
의심
이 있을 때에는 혼인을 허락하지 않는다(동 4항). 직계의 친족장애나 방계 2친등의 친족장애는 전연
관면
되지 않는다(교회법 1078조 3항). 전에는 이 장애를 ‘지친조당’(至親阻擋)이라고 불렀고, 한국촌수로 두루 6촌까지 서로 혼인을 금지하였다(가톨릭지도서 P.116 참조). 우리나라 민법 815조 2호는 혼인당사자 사이의 직계친족 8촌 이내의 방계친족 및 그 배우자의 친족관계가 있거나 있었던 경우는 혼인의 무효원인(無效原因)으로 규정하고 있다. 동성동본(同姓同本)인 동족(同族)사이의 혼인은 금하고 있으나(민법, 816조 1항, 6조 1항), 혼인무효가 되는 경우 즉 815조를 제외하고는 취소할 수 있다. 그러나 당사자 사이에 혼인 중 자녀를 출생할 때에는 취소청구권(取消請求權)이 소멸된다(민법, 820조).
⑩ 인척장애(姻戚障碍) : 직계의 인척은 어떠한 친등에 있어서도 혼인을 무효로 한다(교회법 1092조). 전에는 이 장애를 ‘사친조당’(査親阻擋)이라 불렀고, 직계인척뿐 아니라 방계인척 2촌까지 혼인을 무효케 하였다. 교구직권자는 일반적
권한
으로 이 장애를
관면
할 수 있다(교회법 1078조 1항 참조). 우리나라 민법에 의하면, 당사자간에 직계 인척, 부(夫)의 8촌 이내의 혈족인 인척관계가 있거나 또는 있었던 때에 혼인을 무효로 한다(815조 3호).
⑪ 내연관계장애(內緣關係障碍) : 이 장애는 ‘가혼조당’(假婚阻擋)이라고도 불렀으며, 이미 동거생활을 한 무효혼에서나 혹은 알려졌거나 공개적인 축첩관계에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남자와 여자의 직계혈족 1친등 사이의 혼인은 무효이다(교회법 1093조). 이 장애는 다만
교회법
상의 장애이므로 비영세자 사이의 관계는
구속
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방 또는 쌍방이
영세
한 후 무효한 혼인 또는 알려진 축첩생활을 하면 이 장애가 발생한다. 교구직권자는 일반적
권한
으로 이 장애를
관면
할 수 있다.
⑫ 법정친족장애(法定親族障碍) : 전에는 이 장애를 ‘법친조당’(法親阻擋)이라고 불렀으며, 양자결연(養子結緣)에서 발생하는데 직계 내에서는 촌수에 관계없이, 방계에서는 2친등 이내의 혼인을 무효케한다(교회법 1094조). 우리나라 민법은 혼인에 있어서 혈족의 개념을 혈통에서 구하지 않으므로 당사자 사이에 법정친족관계가 있을 때에도 직계혈족, 8촌 이내의 혈족일 때에는 혼인무효가 된다(815조 2호).
⑬ 착오장애(錯誤障碍) : ‘착위조당’(錯位阻擋)이라고 불린 이 장애는 당사자가 바뀜으로써 발생한다. 즉 사람에 대한 착오는 혼인을 무효로 만든다(교회법 1097조 1항). 사람의 품성(品性)에 대한 착오는 그것이 혼인
계약
의 조당 이유가 되었을지라도 이 품성이 직접적으로 주요하게
의도
되지 않은 한 혼인을 무효로 하지 않는다(동 2항).
⑭ 협박장애(脅迫障碍) : 전에 ‘협박조당’이라고 불린 이 장애는
의도
적이 아닐지라도 외부로부터의
폭력
이나 큰 공포에서 발생한다(교회법 1103조). 신랑이나
신부
가
부모
나 다른 이로부터 부당하게 협박을 당하여 두려움을 이기지 못하고 억지로 혼인하였으면 무효이다.
⑮ 혼인형식장애(婚姻形式障碍) :
교회법
이 정한 혼인형식을 따르지 않은 혼인은 무효이며, 이를 혼인형식장애라 한다.
교회법
은 교구직권자나
본당
주임사제 또는 이들로부터 위임받은
사제
나
부제
가 주례하고 또한 두
증인
앞에서의 혼인을 유효한 혼인으로 인정한다(1108조 1항). 그러나 특별한 경우에는 두
증인
앞에서의 혼인도 가(可)하다(1106조). 이 장애를 전에는 ‘비밀조당’(秘密阻擋)이라고 불렀다.
5. 금지장애 : 이 장애는 혼인의 체결을 엄히 금지하되, 혼인당사자들이 이를 어기고 혼인한 경우에 그 혼인은 불법이지만 무효한 혼인은 아니다.
① 금령장애(禁令障碍) : 교구직권자는 특별한 경우에 중대한 사유가 있어 그것이 지속되는 동안, 자기의 교구신자들과 또한 자기의 관할 지역내에 실제로 체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혼인을 잠정적으로만 금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회법
1071조 1항에 의하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본당
주임사제는 교구직권자의 허락없이 아래의 7가지 혼인을 주례할 수 없다. 즉 ㉮ 주소 부정자의 혼인, ㉯ 국법의 규정에 따라 인정되지 않거나 거행될 수 없는 혼인, ㉰ 전의 배우자나 전의 결합에서 출생한 자녀들에 대한
자연
적인 의무를 지고 있는 사람의 혼인, ㉱ 가톨릭
신앙
을 공개적으로 배척한 사람의 혼인, ㉲
교회법
상의 벌을 받고 있는 사람의 혼인, ㉳
부모
몰래 또는
부모
의 합당한 원의에 거슬러 하려는 미성년자들의 혼인, ㉴ 대리인을 통하여 맺는 혼인, 이 장애를 전에는 ‘금령조당’(禁令阻擋)이라고 불렀다.
②
교파
장애(敎派障碍) : 이 장애에 관해서는
교회법
1124∼1129조에서 다루고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어는
혼종혼
(混宗婚, matrimonia mixta)이며, 그 내용은
교파
장애(mixta religio)를 지닌 혼인이란 의미를 뜻하고 있다. 세례를 받은 두 사람 중에 한쪽은
가톨릭 교회
에서 세례를 받았거나, 혹은
영세
후에
가톨릭 교회
에 받아들여지고 요식행위로 교회에서 이탈하지 않은 사람이고, 다른 쪽은
가톨릭 교회
와 온전한 유대를 이루고 있지 않은 교회나
교파
에 속한 사람일 때 이 두 사람의 혼인은 먼저
관할권
자의 허가 없이는 금지된다(1124조). 교구직권자는
정당
하고 합리적인 사유가 있을 때는 허가할 수 있다(제1125조). 다만, 아래의 세 가지 조건이 채워져야 한다. 즉 ㉮ 가톨릭
신자
의 선언과
서약
- 가톨릭
신자
는
신앙
의 위험을 극복할 각오가 되어 있음을 선언하고, 모든 자녀들을
가톨릭 교회
에서 세례받게 하고 교육하기 위하여 힘껏 노력하겠다는 성실한
약속
을 하여야 한다. ㉯ 가톨릭
신자
의 선언과
서약
에 관한 비가톨릭
신자
에게
서약
한 내용을 알리고 비가톨릭 당사자가 이를 인지했음이 분명해야 한다. ㉰ 혼인교육에 대한
본당
주임사제의 의무 -
본당
주임사제는 혼인당사자들에게
혼인성사
의 목적과 본질적인 특성, 부부상호간의 권리와 의무 및 자녀에 대한
부모
의 의무 등을 가르쳐 주어야 한다. 전에는 이 장애를 ‘열교조당’(裂敎阻擋)이라고 불렀다.
③ 사적
서원
장애(私的誓願障碍) : ‘예사허원조당’(例事許願阻擋)이라고 불린 이 장애는, ㉮ 육체적으로 어떠한 성행위도 하지 않겠다고 발원(發願)한
동정
서원(童貞誓願), ㉯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완전한 순결을 지키겠다고 발원한 완전정결서원, ㉰ 혼인을 하지 않겠다고 발원한 독신서원, ㉱
신품성사
를 받아
성직자
가 되겠다고 발원한
성직자
신분서원 및 ㉲ 독신의 의무를 지키는
수도자
가 되겠다고 발원한
수도자
신분서원에서 발생한다.
서원이 장애를 구성하므로
서원
이 중지되는 원인에 따라서 장애도 중지된다. 교구직권자는 일반적
권한
으로 이 장애를
관면
할 수 있다.
6.
관면
(寬免) ① 일반원칙 : ㉮ 혼인장애가 공개적인 때는 외정에서
관면
되며, 비밀인 때는 내정(內廷)에서
관면
된다. ㉯
교회법
은
관면
준거법률(寬免準據法律)의 중대성에 상응하는 타당하고 합법적인 이유없이
관면
을 인정하지 않으며, 그에 반(反)하여 행해진
관면
은 불법이며 무효이다(90조 1항). ㉰ 사유가 필요 · 충분한가에 대한
의심
이 있을 때에는
관면
의 신청이
정당
하며, 이에 대하여 적법유효한
관면
을 허락할 수 있다(동 2항). ㉱ 교구직권자는
관면
이 특별히
사도좌
나 다른
권한
자에게 유보된 경우를 제외하고
관면
권의 성격이 일반적이든 특별적이든 관할 교구신자들에 대하여는 자기 교구내의 어디서나 이를 행사할 수 있다(87조 1항).
② 정상적 상황에서의
관면
: 교구직권자는
사도좌
에 유보되어 있는 장애, 즉 성품장애, 성청 설립
수도회
의 수도서원장애, 범죄장애와 신법에 근거한 직계의 친족장애나 방계 2친등의 친족장애를 제외하고, 어디에 거주하고 있든지 자기의 모든 종속자들과 자기의 관할 구역내에 실제로 체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교회법
상 모든 장애를
관면
할 수 있다(교회법 1078조).
③ 죽을 위험이 있을 때의
관면
: ㉮ 교구직권자는 신품장애를 제외하고는 혼인형식장애와 공개장애이든 비밀장애이든,
교회법
상 모든 혼인장애들에 대하여 자기 교구의
신자
는 어디에서든지 자기 관할지역 내에 체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관면
을 줄 수 있다(1079조 1항). ㉯
본당
주임사제나 정식으로 위임받은
성직자
는 교구직권자에게까지 연락이 불가능한 경우에 교구직권자와 동일한
관면
권한을 가진다(동 2항). 교구직권자에게의
청원
이 전보나 전화에 의해서만 가능하다면, 이때는 교구직권자에게 연락이 불가능한 것으로 여긴다(동 4항). ㉰
고해사제
(告解司祭)는
고해성사
의 행위 안에든 밖에든 내정에서 비밀장애에 대하여
관면
할
권한
을 가진다(동 3항).
④ 긴급한 경우의
관면
: 혼례준비가 이미 모두 끝난 후 혼인장애가 드러났을 때는,
관할권
자로부터
관면
을 얻을 때까지 기다리리면 중대한 손해가 생길 위험을 무릅쓰지 않고는 혼인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언제든지 교구직권자는
사도좌
에 유보된 장애들, 즉 ㉮ 성품장애, ㉯ 성청 설립
수도회
의 수도서원장애, ㉰ 범죄장애, ㉱직계친족장애, ㉲방계 2친등 친족장애는 제외하고 모든 장애를
관면
할
권한
을 가진다. 그러나 범죄장애, 직계친족장애 및 방계 2친 등 친족장애도 비밀스러울 때에는
관면
할 수 있다(1080조 1항). (金正男)
[참고문헌] Codex Juris Canonici, Vatican City 1983 / M. Kuppens, Definission des empechements de mariage, REcl 45 C, 1958 / J.O, Rourke, The Scriptural Background of Marriage Impediments, Jurist 20, 1960 / K. Morsdorf, Matrimonia mixta, A Kath KR 39, 1970 / Silvestrelli, A Circa l'impoteniae l'inconsumazione nella giurisprudenza canonica anche del S. Ufficio, ME 98, 1973 / A. Arena, L'impedimento di "publica honestas", Apoll, 46, 1973 / M. Wojnar, Legal relationship and guardianship as matrimonial impediments, Jurist 30, 1970 / J. F. Castano, De potestate dispensandi super impedimentis matrimonialibus et super forma canonica..., Ang. 50, 1973 / U. Mosiek, Kirchliecher Eherecht, Freiburg 1976.
출처 : [가톨릭대사전]
목록
(구)성경쓰기
미사/기도서
글자크기조절
말씀나누기
성경책갈피
내 교구
주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