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성공회◆ 인쇄

한자 聖公會
[참조단어] 수장령

   1. 의의와 분리 : 성공회(Anglican Communion)라는 명칭은 사도 신경 “거룩하고 보편된 교회”라는 구절을 한자화(漢字化)한 것이다. 16세기 소위 종교 개혁 당시 영국 교회신학적, 정치적으로 로마 교황의 수위권을 거부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1533년에는 캔터베리와 요크 두 개의 관구 회의에서 공히 영국헨리 8세를 교회의 우두머리로 결의하였다.

   1536년 로마감독권을 폐지하자, 1570년 교황 비오 5세영국의 왕 엘리자베스를 파문하였다. 이로써 영국 교회는 가톨릭과 분리되었다. 그러나 영국 왕은 헌법상 교회의 관할자일 뿐, 실제는 주교가 관할하는 교구의 독립성이 인정되었으며, 대표 주교 캔터베리 대주교관구 관할하에 있거나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나 아직 독립되지 못한 관구를 제외한 절대 다수의 관구에 있어서 캔터베리 대주교는 정신적인 지도자일 뿐이다. 한편 성공회에는 지금도 성 아우구스티노영국에 가톨릭 교회를 시작할 때(6~7세기)의 전통이 내려오고 있다. 그리고 성공회가 영국의 국교로 되어 있기는 하나, 다른 교파자유로이 활동할 수 있다.

   2. 교리와 한국 선교 : 성공회는 삼위 일체 교리를 근본으로 하여 66권의 성경을 기본으로 하고, 신앙의 모범으로 외경(外經)을 택하며, 사도 신경, 니케아 신경을 믿는다. 그리고 성직의 사도 전승을 인정하여 주교, 사제, 부제교계를 갖고 칠성사를 통하여 성령은총을 입으며, 보편된 하나의 교회임을 근본 교리로 한다.

   한국 성공회는 1889년 코프(Corfe, 고 요한) 신부가 한국 선교를 위해 주교로 서품된 후 파견되면서 시작되었다. 1910년 신자 5,000명으로 교세가 확장되었으나, 해방과 6 · 25로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그러나 1965년에는 서울과 대전 2개 교구가, 1974년에는 부산 교구가 설립되었다. 여기에는 데일리(J. Daly)와 이천환 주교의 노력이 컸다.
출처 : [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