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준성사◆ 인쇄

한자 準聖事
영어 Sacramentals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성사들과 달리 준성사들은 교회가 도입한 전례 행위, 거룩한 표지들, 사물들을 가리키며 교회전구로 얻어지는 영적 효험을 의미한다. 그리스도에 의해 제정된 성사는 거행된 의식에 의해 그 효과가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준성사는 열심한 탄원 기도, 수혜자의 영적 준비 상태, 교역자의 신앙사랑전구를 통해 준성사를 인준하는 교회에 달려 있다. 가시적이고 손으로 느낄 수 있는 상징이나 표지들은 사용자의 신심신앙사랑의 정도에 따라 삶의 다양한 상황을 성화시키지만, 성사성사를 받는 사람에게 자동적으로 은총의 통로가 된다.

  그러므로 준성사들을 사용하여 받을 수 있는 중요한 효험은 다음과 같다. (1) 실제적 은총. (2) 가벼운 죄의 용서. (3) 죄로 인한 잠정적 벌의 사함. (4) 신체적 건강과 물질 축복. (5) 악령으로부터 보호. 준성사는 시간과 공간, 말과 행위 그리고 성수, 초, 집과 병자와 메달 축복 등과 같은 대상과 동작, 성사들과 미사와 연결된 축복이나 행위, 기도구마식 등 모든 것에 미친다. 악령 들린 사람에게 하는 구마식직권자에게 명시적 허락을 받은 사제만이 합법적으로 거행할 수 있다. 필요한 능력을 가진 성직자들, 법으로 명백히 허가된 축복들만 줄 수 있는 부제들이 준성사를 거행할 수 있는 교역자들이다. 적절한 자격을 갖춘 평신도들이 집전할 수 있는 준성사들도 있다. 가톨릭 신도들을 위한 축복예비신자들에게도 줄 수 있다. 교회에서 금지하지 않는 이상 비가톨릭인들에게도 준성사를 줄 수 있다.

  성사의 연장과 방사

  준성사들은 성사들에서 연장되고 방사된 것이며 그리스도수난죽음부활이라는 동일한 근거에서 유래한다. 준성사들은 성사들의 효력을 계속하거나 그 효력을 받을 준비를 갖추게 한다.

  그래서 세례성사 뒤에 성수의 준성사를 거행할 수 있고, 주일 미사 시작 때 성수를 뿌리는 성수 예식, 유아들과 어린이들의 축복과 같은 준성사들을 집전할 수 있다.

  견진성사는 학교, 도서관, 문서고 또는 컴퓨터 축복으로 연장된다.

  성체성사는 성체 강복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성품성사는 동정녀 축성 내지 축복으로 이어진다.

  혼인성사는 신혼 침실, 임신부, 집과 가정에서 사용되는 물건들의 여러 가지 축복으로 연결된다.

  고해성사는 꼰피떼오르, 사죄경, 임종 때의 교황 축복, 구마식으로 연장된다.

  병자성사는 병자 축복, 성유와 약과 아마포 축복, 무덤에서 시신 축복으로 연결된다.

  주교회의는 새로운 준성사들을 도입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기존 예식들을 변경할 수도 있다. 준성사가 잘 준비된 신도들에게 주는 성화 행위에 신도들이 이성적이고 능동적으로, 또 쉽게 참여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성유(聖油 Holy Oils), 엑스 오뻬레 오뻬라또(Ex Opere Operato), 엑스 오뻬레 오뻬란띠스(Ex Opere Operantis), 축복(祝福 Blessing) 참조.
출처 : [전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