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연중 제23주간 목요일: 사랑의 의무 / 조욱현 토마스 신부
작성자강헌모 쪽지 캡슐 작성일2018-09-13 조회수1,373 추천수0 반대(0) 신고

 

연중 제23주 목요일

 

복음: 루카 6,27-38: 원수를 사랑하여라.

오늘 주님의 말씀은 신앙인들에게 있어서 대인관계 속에서 자신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자세를 일러주시는 말씀이며, 우리 믿음의 황금률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신다. “그러나 내 말을 듣고 있는 너희에게 내가 말한다. 너희는 원수를 사랑하여라. 너희를 미워하는 자들에게 잘해 주고, 너희를 저주하는 자들에게 축복하며, 너희를 학대하는 자들을 위하여 기도하여라.”(27-28)

 

친구를 사랑하는 것은 모든 사람이 그렇게 하는 관습이다. 그러나 원수를 사랑하는 것은 우리 신앙인들만의 관습이다. 주님의 말씀은 적의를 품은 사람에게 사랑을, 미워하는 사람에게 자비를, 저주하는 사람에게 축복을, 박해하는 사람에게 도움을 주라고 가르친다. 그리고 굶주리는 사람에겐 참을성을 주고 은총의 상을 주신다. 예수님께서는 하신 말씀을 몸으로 실천하셨다.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 주십시오. 저들은 자기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고 있습니다.”(루카 23,34)라고 기도하셨다.

 

눈에는 눈.” 이것은 정의의 실현이다. 그러나 이 뺨을 때리는 자에게 다른 뺨을 내밀고.”(29) 이것은 자비의 극치를 말한다. 그래서 주님께서는 네 겉옷을 가져가는 자는 속옷도 가져가게 내버려 두어라.”(29)고 말씀하시는 것이다. 이 자비를 우리는 스테파노에게서 볼 수 있다. 돌에 맞아 죽어가면서도 그는 주님, 이 죄를 저 사람들에게 돌리지 마십시오.”(사도 7,60)라며 용서를 청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첫 번째 순교자는 그리스도를 닮았음을 알 수 있다.

 

모든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을 하면서 신앙인인 우리가 그들과 다르다고 할 수가 없다. 주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신다. “달라고 하면 누구에게나 주고, 네 것을 가져가는 이에게서 되찾으려고 하지 마라.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30-31) 우리 인간의 자비는 하느님의 모습을 갖고 있다. 이 자비는 더없이 훌륭한 덕으로 하느님을 기쁘게 해 드리며, 우리 신앙인들에게 매우 잘 어울리는 덕목이다. 그래서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36)고 말씀하신다.

 

이 자비를 실천할 때, 우리는 복수심을 없애고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남을 심판하지 마라. 그러면 너희도 심판받지 않을 것이다. 남을 단죄하지 마라. 그러면 너희도 단죄 받지 않을 것이다. 용서하여라. 그러면 너희도 용서받을 것이다. 주어라. 그러면 너희도 받을 것이다.”(37-38)라는 말씀이다.

 

용서하여라. 그러면 너희도 용서받을 것이다.”(37) “주어라. 그러면 너희도 받을 것이다.” 이 말씀은 기도를 싣고 하느님께로 날아가는 두 날개라고 아우구스티노는 말하였다. 우리는 이 두 자선을 행하여야 한다. 베풀고 용서하여야 한다. 우리도 주님께 좋은 것을 주시고 우리 악행을 되갚지 말아달라고 기도하기 때문이다.

 

 

 

 
                                           - 출처 :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구유 -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