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안드레아 신부님복음묵상(세례의 완성은?)
작성자김중애 쪽지 캡슐 작성일2019-01-14 조회수1,722 추천수1 반대(0) 신고

 


안드레아 신부님복음묵상

세례의 완성은?

찬미 예수님!

사랑하올 형제 자매님,

지난 한 주간 동안 행복하게

잘 지내셨습니까?

이번 겨울은 날씨가 참 이상해서

생활하시기 힘드시죠?

추운 날은 추워서 몸이 웅크러들고,

춥지 않은 날은 미세먼지가

나쁨 수준이 되어 활동하기 힘들고...

이래 저래 힘든 날들이

계속되는 것 같습니다.

차라리 좀 춥더라도

미세먼지가 없는 날이

더 지내기가 좋으시죠?

오늘 비가 오는데도 미세먼지는

씻어내지를 못하네요.

앞으로 이런 악순환이

점점 더 심해질 것 같습니다.

형제 자매님,

오늘은 예수님께서

공생활을 시작하시기 전에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셨음을 기념하면서

우리가 받은 세례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는

주님 세례축일입니다.

오늘 제1독서는

이사야 예언서의 주님의 종의 노래

네 개 중에서 첫 번째 것입니다.

이 노래에서 주님의 종은,

하느님께서 당신 마음에 드는

아들로 선택하시고

당신의 영을 주셔서

세워주신 인물로,

그는 하느님의 뜻에 따라

세상 모든 민족들에게

성실하게 공평한 정치를

펼쳐나갈 것이라고 합니다.

그는 성령의 도우심으로

세상 민족들의 빛이 되어,

보지 못하는 눈을 뜨게 하고

갇힌 이들을 감옥에서,

어둠 속에 앉아 있는 이들을

감방에서 풀어 줄 것이라고 합니다.

형제 자매님,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사야가

노래한 그 메시아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예수님이

세상에 오셨을 때

그들은 예수님을 메시아로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을 메시아로 받아들인

소수의 사람들이

그리스도인들입니다.

그런데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셨다고 합니다.

세례자 요한은 회개를

설교하면서 죄 사함을 위한

세례를 베풀었는데,

죄도 없으신 예수님께서

왜 세례를 받으셨을까 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예수님이 메시아라고 믿었던

당시의 사람들도 그런

의문을 가졌을 것입니다.

그래서 세례자 요한은 예수님이

자신에게 세례를 받았지만

자신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위대하신 분이라고 증언합니다.

그리고 성경 저자들은

예수님이 세례를 받으실 때

성령께서 비둘기 같은 형체로

그분 위에 내리시고

하늘에서 너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라는

소리가 들렸다고 증언합니다.

예수님이 세례를 받으실 때

하늘에서 들려온 소리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는 말은

바로 1독서에서 따온 말씀입니다.

예수님은 바로 이사야가 예언한

주님의 종이라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하느님의 아들이시면서도

하느님의 지위를 고수하지 않으시고

종의 모습으로 우리와

꼭 같은 처지에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인도해주신 것입니다.

그것은 더딜 수는 있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그리고 예수님께서 세례를

받으신 또 다른 이유는

초대교회가 생각한

신학적인 내용입니다.

우리는 예수님이 그리스도라고

자연스럽게 신앙을 고백합니다.

그리스도는 기름발린 사람

이란 뜻입니다.

옛날 이스라엘에서는 왕이 될

사람에게 기름을 부었습니다.

왕은 하느님을 대신해서

백성을 다스리는 사람이기 때문에

성별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메시아를 기다리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메시아는 다윗 왕의 뒤를 이을

뛰어난 왕이라고

기대하고 있었기 때문에

메시아는 곧 기름발린

사람이라야 했습니다.

그래서 예수님이 그리스도라고

불리기 위해서는 기름부음을

받아야 하는데

성경 어디에도 예수님이 기름부음

받았다는 내용은 없습니다.

그래서 제2독서에서 베드로 사도는

하느님께서 나자렛 출신

예수님께 성령과 힘을

부어 주신 일도 알고 있습니다.”

라고 말합니다.

바로 예수님의 세례를

가리키는 말씀입니다.

구약시대의 왕은 참된

메시아의 예표였기 때문에

왕의 즉위식에서 올리브로 만든

기름을 부어 성별했었지만

이제 하느님께서

성령과 당신의 힘으로기름 부으셔서

예수님을 참된 메시아

곧 그리스도로 세우신 것입니다.

복음에서도 예수님이 참된

메시아로 오셨기 때문에

그분 위에 하늘이 열렸고

성령이 내려오셨다고 합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 우리와 똑같은

처지에서 세례를 받으셨을 때

하늘이 열렸고

너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말씀이 들려왔기 때문에,

우리가 세례를 받았을 때도

우리 위에 하늘이 열리고

성령께서 우리에게 오셨습니다.

그리고 하느님께서도

너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라고 말씀하십니다.

형제 자매님,

그렇다면 나는 과연

하느님의 마음에 드는

하느님의 아들로 하느님의 딸로

살고 있는지 자신을 돌아봐야 합니다.

세례라는 말의 원 뜻은

물속에 잠긴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죽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그래서 바오로 사도는

로마서 6,3에서

그리스도 예수님과 하나 되는

세례를 받은 우리가 모두

그분의 죽음과 하나 되는

세례를 받았다는 사실을

여러분은 모릅니까?”라고 물으면서

우리의 옛 인간이 그분과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힘으로써

죄의 지배를 받는 몸이 소멸하여,

우리가 더 이상 죄의 종노릇을

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로마 6,6)라고 합니다.

형제 자매님,

우리가 하느님의 자녀로

다시 나기 위해서는

옛 인간인 나, 곧 세상의

가치관대로 살던 나는

죽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세례를 받으신 후

성령께서 이끄시는 대로

광야로 가셔서 40일간 기도를 하시고

그 후로도 성령께서

이끄시는 대로 사셨습니다.

그것이 하느님 아버지의

뜻임을 아셨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세례를 통해서

성령을 모시고 예수님과

하나가 된 우리도 성령께서

이끄시는 대로 살아야 합니다.

형제 자매님,

우리가 성령의 이끄심을

느낄 수 있기 위해서는

가끔은 세상의 일에 대한

관심을 모두 끊어버리고

하느님과 대화하는 시간 곧

기도시간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성경을 자주 읽고

묵상하면서 말씀을

마음에 새겨야 합니다.

그래야 말씀에 잠겨서

생활할 수가 있습니다.

말씀에 잠겨서 생활한다는 것은

바로 하느님 뜻 안에 머문다는 것이고

예수님을 닮아간다는 의미입니다.

그때 우리는 우리의 세례를

완성시켜가는 것입니다.

형제 자매님,

우리가 예수님처럼

자신의 위치를 고집하지 않고,

나보다 못한 사람들, 소외된 사람들,

자기 권익을 보호받지 못하는

약한 사람들과 하나가 되기 위해서

자신을 낮추고 사랑으로

그들에게 다가갈 때 우리는

하느님의 자녀로 사는 것이기에,

그때 우리의 세례는 완성되는 것입니다.

그때 우리 위에도

하늘이 활짝 열릴 것이고,

너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라는

하느님의 말씀을

들을 수가 있을 것입니다. 아멘!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 캠퍼스에서)

-박영봉 안드레아 신부 드림-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