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13일(금) 연중 제1주간 금요일...독서,복음(주해)
작성자김대군 쪽지 캡슐 작성일2023-01-12 조회수552 추천수1 반대(0) 신고

 

 

1독서

<우리 모두 저 안식처에 들어가도록 힘씁시다.>
히브리서의 말씀입니다. 4,1-5.11
형제 여러분, 1 하느님의 안식처에 들어갈 수 있다는 약속이 계속 유효한데도,
여러분 가운데 누가 이미 탈락하였다고 여겨지는 일이 없도록,
우리 모두 주의를 기울입시다.
2 사실 그들이나 우리나 마찬가지로 기쁜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들은 그 말씀은 그들에게 아무런 이득이 되지 못하였습니다.
그 말씀을 귀여겨들은 이들과 믿음으로 결합되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3 믿음을 가진 우리는 안식처로 들어갑니다.
그것은 하느님께서 그리하여 나는 분노하며 맹세하였다.
그들은 내 안식처에 들어가지 못하리라.” 하고 말씀하신 그대로입니다.
안식처는 물론 하느님께서 만드신 것들은 세상 창조 때부터
이미 다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4 사실 일곱째 날에 관하여 어디에선가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하느님께서는 하시던 일을 모두 마치시고 이렛날에 쉬셨다.”
5 또 여기에서는, “그들은 내 안식처에 들어가지 못하리라.” 하였습니다.
11 그러니 그와 같은 불순종의 본을 따르다가 떨어져 나가는 사람이 없게,
우리 모두 저 안식처에 들어가도록 힘씁시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하느님, 감사합니다.

 

 

 

주해

1

저자는 3,7-19에서 이스라엘의 조상들이 그들의 잘못으로 하느님의 안식에 들어가지 못한 사실을 들면서 독자들을 경고했다. 이제 그는 미래의 안식에 대한 하느님의 약속이 계속 유효함을 밝히면서 독자들을 염려하여 약속에 대한 신뢰와 그에 걸맞은 삶을 강조한다. “하느님의 약속은 취소된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안식에 들리라는 보장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조상들의 예에서 보았듯이 구원의 여정에서 뒤처지거나 낙오할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행여 여러분 가운데 그 누구라도 이런 불행을 겪지 않도록, 아니 그러한 불행을 겪으리라고 생각하지 않도록 두려워하고 조심합시다.

 

2

광야의 이스라엘 백성은 안식에 들어가리라는 약속과 초대를 받았다. 그리스도인들도 마찬가지로 안식에 들어가리라는 기쁜 소식을 들었다.

 

일부 사본에는 그것(말씀)은 그것을 들은 사람들과 신앙으로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고 되어 있다. 어느 본문을 따르든 그 뜻이 다소 애매하다. 그들은 (말씀을) 들은 사람들과 신앙으로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라고 번역할 수도 있다. 말씀에 대한 신앙을 강조하는 이 문장에서는 말씀을 들은 사람들이 불신하고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그 말씀이 그들에게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는 뜻으로 보는 것이 낫다.

 

3

3절은 문장들이 잘 연결되지 않아 이해하기 다소 어렵다. 그러나 이에 대한 해설인 아래의 4,4-10과 함께 읽으면 그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하느님은 창조의 일을 끝내셨을 때 인류에게 안식을 마련하셨다. 이스라엘 백성은 하느님을 불신하고 배반했기 때문에 분노를 사서 그 안식에 들어가지 못했다. 그러나 믿음을 가진 그리스도인들은 안식에 들어갈 것이다.

 

4

창세 2.2. 후기 유다교나 초기 그리스도교 문헌에서는 하느님의 날에 대해 말할 때 창세기의 이 구절을 자주 인용한다. 그러나 신약성서에서는 오직 여기서만 인용한다. 하느님의 안식은 이스라엘 백성이 안식과 그리스도인들이 누릴 안식을 암시한다.

 

5

여기는 지금 설명하는 구절인 시편 95.11을 말한다. 하느님이 누리시는 안식과 그분이 약속하신 안식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5.11

그리스도의 제관직을 더욱 깊이 설명하려는 저자에게 우려되는 점은 독자들이 교리를 계속 열심히 배우고 실천하려는 초기의 열성이 매우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들은 이미 오래 전에 신자가 되었지만 생명의 말씀을 배우고 익히는 데 태만하고 게을러 아직도 초보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니 그들에게 그리스도에 관한 심오한 진리를 설명하기가 어렵다.

 

 

 

 

 

 

 

 

 

 

복음

<사람의 아들이 땅에서 죄를 용서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1-12
1 며칠 뒤에 예수님께서 카파르나움으로 들어가셨다.
그분께서 집에 계시다는 소문이 퍼지자,
2 문 앞까지 빈자리가 없을 만큼 많은 사람이 모여들었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복음 말씀을 전하셨다.
3 그때에 사람들이 어떤 중풍 병자를 그분께 데리고 왔다.
그 병자는 네 사람이 들것에 들고 있었는데,
4 군중 때문에 그분께 가까이 데려갈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분께서 계신 자리의 지붕을 벗기고 구멍을 내어,
중풍 병자가 누워 있는 들것을 달아 내려보냈다.

 

5 예수님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중풍 병자에게 말씀하셨다.
얘야,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
6 율법 학자 몇 사람이 거기에 앉아 있다가 마음속으로 의아하게 생각하였다.
7 ‘이자가 어떻게 저런 말을 할 수 있단 말인가? 하느님을 모독하는군.
하느님 한 분 외에 누가 죄를 용서할 수 있단 말인가?’
8 예수님께서는 곧바로 그들이 속으로 의아하게 생각하는 것을
당신 영으로 아시고 말씀하셨다.
너희는 어찌하여 마음속으로 의아하게 생각하느냐?

 

9 중풍 병자에게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 하고 말하는 것과
일어나 네 들것을 가지고 걸어가라.’ 하고 말하는 것 가운데에서
어느 쪽이 더 쉬우냐?
10 이제 사람의 아들이 땅에서 죄를 용서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음을
너희가 알게 해 주겠다.” 그러고 나서 중풍 병자에게 말씀하셨다.
11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 들것을 들고 집으로 돌아가거라.”

 

12 그러자 그는 일어나 곧바로 들것을 가지고,
모든 사람이 보는 앞에서 밖으로 걸어 나갔다.
이에 모든 사람이 크게 놀라 하느님을 찬양하며 말하였다.
이런 일은 일찍이 본 적이 없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주해

중풍병자를 고치시다

중풍병자 치유이적사화는 본디 상황묘사, 기적적치유, 치유 실증, 목격자들의 반응으로 엮어 있었다. 그런데 아마도 전승자가 사죄권 논쟁을 만들어ㅓ 끼워넣어서 전형적 이적사화가 예수님의 사죄권을 증명하는 증거이적사화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1

가파르나움의 집은 시몬 베드로의 집이다.

 

2

말씀을 설파하셨다는 표현이 4.43; 8.32에도 있는데, 본디 초대교회의 복음선포 활동을 그렇게 일컬었다.

 

4

지붕을 벗겼다는 것은 우리네 상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으나 당시 이스라엘의 가옥 구조를 감안하면 납득이 간다. 흔히 방 한 칸에 읅벽을 쳤는데 방바닥은 널찍하지만 흙벽은 올라갈수록 좁아져서 지붕 면적이래야 두 평방미터 남짓했다. 밑은 널고 위는 좁은 나지막한 굴뚝 같은 집이다. 지붕에는 흔히 나무막대기를 걸쳐놓고 나뭇가지나 갈대 같은 것을 깔았다. 그러니 쉽게 벗길 수 있었다. 아울러 옥위에는 지붕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붙어 있기 때문에 쉽게 올라갈 수 있었던 것이다.

 

5

5ㄱ절과 11절은 자연스레 연결된다. “그러자 예수께서는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중풍병자에게 말씀하셨다. ‘그대에게 말하니 일어나 그대 침상을 짊어지고 그대 집으로 가시오’” 그와는 달리 아들아, 그대의 죄가 사해졌소라는 사죄선언은 매우 부자연스럽다. 예수께서 병자를 고쳐주실 때 그렇게 말씀하신 적이 또다시 없을 뿐 아니라, 루카 7.,48을 제외하면 다른 기회에도 사죄선언을 하신 일이 없다. 그분은 죄를 용서한다는 말씀을 하시기보다 죄인들과 스스럼없이 상종하심으로써 잘못을 용서해 주셨다.

 

그렇다면 사죄권 논쟁은 후대에 형성, 삽입된 것이다. 마르코가 복음서를 집필하기 앞서 어느 전승자가 사죄권 논쟁을 꾸며 이 자리에 끼워넣었을 것이다. 전승자가 그것을 형성, 삽입하게 된 동기인즉, 초대교회는 예수님의 이름으로 사죄권을 행사했는데 그것을 정당화하려는 것이다. 전승자가 사죄권 논쟁을 바로 이 자리에 삽입할 수 있었던 것은 죄로 말미암아 병이 난다는 유다인들의 사고방식을 물려받았기 때문이다.

 

7

유다인들이 학수고대한 메시아나 인자조차 사죄를 선언할 수는 없다. 그들은 기껏해야 죄인들을 멸하고 이스라엘 백성이 다시는 범죄하지 않도록 선도할 임무를 띠었다.

 

9

실증적 관점에서 본다면 점검할 수 없는 사죄선언이 점검할 수 있는 치유이적보다 쉽다. 그러나 가치론적 관점에서 본다면 사죄선언이 치유이적보다 어렵다.

 

10

인자는 신약성서에서 언제나 예수님을 가리키는 존칭인데, 사도 7.56; 묵시 1.13; 14.14를 제외하면 네 복음서에만 나온다, 네 복음서에서는 예수 친히 인자로 자처하셨지 제삼자가 그분을 인자라 하지 않았다. 예수께서는 종말에 재림하실 인자, 수난하실 인자, 이승에서 활약하시는 인자로 자처하셨다고 한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볼 때 예수 친히 인자로 자처하셨다고 보는 설이 유력하다, 그럼 초대교회 신도들이 어떻게 예수님께 인자라는 존칭을 드리게 되었을까? 다니7,13-14. 에티오피아이 에녹서 34-69, 에즈라 413장 따위 묵시문학에 처음으로 나오는 인자는 하늘에 살다가 종말에 세상을 심판하러 재림하실 예수님이 인자와 닮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예수님을 인자라 일컫게 되었으리라. 나아가 이미 부활하셨고 장차 재림하실 예수님은 고난을 받으시고 또한 이승의 삶을 영위하신 까닭에 수난하신 예수와 이승의 예수님을 인자라하게 되었다. 마르코복음에 나오는 이승의 인자는 사죄전권, 안식일 전권을 행사하신다. 어록에도 이승의 인자에 관한 말씀이 있다.

 

 

 

 

 

 

 

 

 

200주년 신약성서 주해/ 분도출판사에서 옮김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