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Fr.조명연 마태오]
작성자이미경 쪽지 캡슐 작성일2008-03-03 조회수876 추천수13 반대(0) 신고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08년 3월 3일 사순 제4주간 월요일
 
 
 “Sir, come down before my child dies.”
Jesus said to him, “You may go; your son will live.”
The man believed what Jesus said to him and left.
(Jn.4.49-50)
 
 
제1독서 이사야 65,17-21
복음 요한 4,43-54
 
 
 
기원전 5세기 때의 인물로, 위대한 역사가이자 수학자인 헤로도토스는 최초로 평균의 개념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당시만 해도 그것은 엄청난 발견이었으며, 그는 이에 완전히 심취되어 있었지요.

어느 날 그는 아내와 아이들을 데리고 야외로 소풍을 나갔다가 작은 강과 마주치게 됩니다. 아내는 걱정이 되었습니다. 이 강 깊이를 알 수 없었고, 따라서 깊은 곳에 아이들이 빠질 수도 있으니까요. 그러자 헤로도토스가 말합니다.

“걱정 말고 기다리시오. 내가 강의 평균 깊이와 아이들의 평균 키를 잴 테니, 5분이면 충분할 거요.”

줄자를 꺼내 든 헤로도토스는 아이들 키의 평균치를 낸 다음, 강으로 달려가 몇 군데의 지점을 돌면서 강의 깊이의 평균치를 계산했습니다. 그리고 말했지요.

“걱정할 것 없소. 아이들의 평균 키가 강의 평균 깊이보다 크니 익사할 염려가 전혀 없소. 얘들아, 어서 강을 건너자!”

그러나 강의 어떤 지점은 얕은 반면에 어떤 지점은 매우 깊겠지요. 그리고 어떤 아이는 키가 컸지만 어떤 아이는 작았습니다. 따라서 ‘평균치’라는 것은 실제 상황에서는 맞지 않는 법입니다. 오직 수학적인 계산일뿐이지만 헤로도토스는 장담합니다. 수학적으로 전혀 오차가 없다고 말이지요. 그러나 아버지의 말을 듣고 강에 들어간 한 아이가 물에 빠져 허우적거립니다. 이 모습을 보고서 헤로도토스는 아이를 구할 생각은 전혀 하지 않고, 자신이 계산했던 모래밭으로 달려가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검산하고 있었다고 하네요.

헤로도토스는 자신의 학문을 굳게 믿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굳게 믿었던 학문이 자신의 사랑하는 아이를 죽음의 위험으로 이끌었습니다. 어쩌면 우리 역시 엉뚱한 것에 믿음을 두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분명하다고 오류가 전혀 없다고 그래서 굳게 믿어야 한다고……. 그러나 이 세상의 물질적인 모든 것들 가운데에서 참된 진리란 과연 존재할까요?

참된 진리란, 그래서 우리가 굳게 믿어야 할 대상은 하느님 한 분 뿐이십니다. 그분께 대한 굳은 믿음만 있다면 인간적으로 불가능해 보이는 것도 가능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오늘 복음을 보면 한 왕실 관리가 예수님께 자기 아들이 죽게 되었으니 자기 집으로 내려가 아들을 고쳐 주십사고 청하지요.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그에게 믿음을 요구하십니다. “너희는 표징과 이적을 보지 않으면 믿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왕실 관리는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매달리며 말합니다.

“주님, 제 아이가 죽기 전에 같이 내려가 주십시오.”

이에 예수님께서는 “가거라. 네 아들은 살아날 것이다.”라고 말씀하시고, 이 왕실관리는 이 말씀을 믿고 떠나갑니다.

사실 집에 함께 가주지 않는 예수님을 보면서 얼마나 야속했을까요? 아파하는 아들을 고쳐줄 수 있는 사람은 예수님 한분뿐인데 막연하게 ‘살아날 것’이라는 말 한마디만 하니, 과연 믿음이 갔을까요? 따라서 왕실관리라는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서 예수님을 끌고 집으로 데려갈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는 이러한 우리들의 세속적인 예상과 달리 굳게 믿습니다. 그리고 그 믿음이 자신의 아들을 살리게 됩니다.

우리의 믿음은 과연 어떠한지요? 예수님의 말씀 한 마디도 굳게 믿을 수 있는 깊은 신앙을 간직하고 있습니까? 아니면 이 세상의 관점과 판단으로 보이는 것만을 믿으려고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말씀 한 마디에도 굳은 믿음을 보여주는 왕실관리의 모습을 닮는 우리들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믿음의 마음을 가지고 성경을 읽읍시다.




어제와는 또 다른 하루를 열며(‘좋은 글’ 중에서)

채워짐이 부족한 마음
완벽 하고픈 욕심
많은 사람의 마음은
채워도 채워도 채워지지 않고
부족하다 생각합니다.

나 자신만은 완벽한 것처럼
말을 하고 행동을 합니다.
자신만은 잘못됨이 전혀 없고
남의 잘못만 드러내려 합니다.

남의 잘못에는 험담을 일삼고
자신의 잘못은 숨기려 합니다.
남의 아픔을 즐거워하며
나의 아픔은 알아주는 이 없어
서글퍼 하기도 합니다.

남의 잘못을 들추어 허물을 탓하고
험담을 입에 담는다면
돌아서면 자신의 허물과 험담이
더욱 부풀려진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조금 부족하듯 마음을 비우고
조금 덜 채워지는 넉넉한 마음으로
조금 물러서는 여유로움으로
그래서 넓은 마음의 부드러움으로
느끼며 살아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Keeper Of My Heart

Gareth Gates - Listen to my heart 

 
 
조명연 마태오신부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 http://www.bbadaking.com/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