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Fr.조명연 마태오]
작성자이미경 쪽지 캡슐 작성일2008-05-11 조회수678 추천수7 반대(0) 신고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08년 5월 11일 성령 강림 대축일
 
 
 
 As the Father has sent me, so I send you.”
And when he had said this, he breathed on them and said to them,
“Receive the Holy Spirit.
(Jn.20.21-22)
 
 
제1독서 사도행전 2,1-11
제2독서 코린토 1서 12,3ㄴ-7.12-13
복음 요한 20,19-23
 
어떤 사람이 “이 물건 정말로 끝내주는데.”라면서 물건을 먼저 산다면, 너도 나도 덩달아서 물건을 사게 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됩니다. 사람의 마음 중에는 용기가 없어서 먼저 사기보다는 따라 사는 경우가 많은 법인데, 바로 이러한 인간의 심리를 이용해서 소위 ‘바람잡이’가 동원되곤 하지요. 이렇게 사람의 심리를 이용하는 것이기에 ‘바람잡이’가 그렇게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합니다. 그러나 ‘바람잡이’라고 해서 다 나쁜 것은 아닙니다.

지난 달 성지순례를 다녀온 뒤에 체중이 3Kg이 증가했습니다. 하도 먹어서 그렇겠지요. 그런데도 걱정이 되지 않는 것은 저와 동행했던 ㅈ신부는 자그마치 5Kg이 증가했거든요. ㅈ신부는 여행을 다녀온 뒤, 체중계 올라간 뒤에 눈물이 나오더랍니다. 자기 평생에 있어서 최고의 몸무게, 즉 ‘89'라는 숫자에 바늘이 가리키고 있었거든요. 그래서 이 ㅈ신부는 그날부터 필사적으로 다이어트에 돌입했습니다. 그리고 그저께 아침, 드디어 일주일 만에 5Kg 감량에 성공한 것입니다. 그러면서 저와의 간격이 거의 나지 않게 되었어요. 이제 제가 눈물이 날 것 같았습니다. 아무리 먹어도 ㅈ신부보다는 몸무게가 조금 나갈 것이라고 자신했는데, 이대로라면 역전될 날이 그리 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제 저 역시 다이어트에 돌입했습니다. 커피는 크림과 설탕 넣지 않고 무조건 블랙으로, 밥은 최대한 천천히 식사하기, 술은 최대한 자제하고 마시더라도 안주는 절대로 먹지 않았지요. 물론 입에서는 ‘뭐 좀 넣어줘.’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ㅈ신부에게 추월될 것이 두려워서 꾹 참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체중 조절하는데 있어서 ㅈ신부는 저에게 있어서 바람잡이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바람잡이의 모습을 떠올리다보니, 문득 ‘주님의 바람잡이도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주님의 바람잡이는 과연 누구일까?’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주님의 기쁜 소식을 세상에 전하는데 있어서 최선을 다하는 바람잡이 말이지요.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주님의 바람잡이보다는 세상의 바람잡이에 더 관심이 많아 보입니다. 그래서 장삿속이 보이는 바람잡이는 점점 늘어나는 반면, 주님의 바람잡이는 점점 줄어들고 있지요.

오늘은 성령강림대축일입니다. 예수님께서 약속하신 성령이 부활하신 뒤 오십일 만에 사도들이 모여 있는 곳에 내렸지요. 이 성령을 받은 사도들은 어떻게 변합니까? 두려움이 가득하는 등 제자로서는 부족하다고 생각되었던 모습들이 성령을 받은 뒤, 자신감이 넘치고 예수님께 충실한 참 제자의 모습으로 변화됩니다. 즉, 성령을 통해서 세상의 바람잡이가 아닌, 주님의 바람잡이가 된 것입니다.

우리 역시 이 성령을 받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성령은 이미 받았습니다. 세례 때에 그리고 견진 때에 이미 성령을 받았지요. 그렇다면 우리들은 왜 주님의 바람잡이가 되지 못하는 것일까요? 자유의지를 주신 주님께서는 우리들의 스스로 하려는 노력을 원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내 자신을 개방하여 이웃을 위하여 봉사와 헌신의 삶을 살아갈 때, 성령의 놀라운 생명력이 우리 안에서 실현될 것입니다.

지금 내 안에 성령께서 어떻게 활동하고 계신가요? 제자들을 변화시켰던 그 성령이 우리 마음 안에도 들어오시도록 우리의 마음을 활짝 열어야 할 때입니다. 그때 충실한 주님의 바람잡이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주님의 바람잡이가 됩시다.




 

행복을 만들자(‘좋은 글’ 중에서)

사람들은 누구나 행복을 꿈꾼다. 그런데도 좀처럼 행복이 오지 않는다. 심지어 주위에서 잡힐 듯하면서도 잡히지 않고 눈앞에서 아른거리고 앵앵댈 때는 속만 타게 된다. 어떻게 하면 주위에서 맴도는 행복을 잡을 수 있을까?

그 행복을 잡는 방법으로는

1. 우선, 나의 행복의 눈높이를 맞추어야 한다.

나와 상관없는 타인의 행복이 내 것으로 되고자 하면 가랑이가 찢어진다. 괜한 시간 낭비요, 감정 낭비다.

2. 주고자 할 때 행복해진다.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면 오직 그 사람에 마음이 빼앗기는데 하나같이 사랑의 노예요, 종이 된다. 그리고 오직 상대가 원하는 대로 해주고 싶어지기만 한다. 내 시간 내고, 내 돈 주고, 내 마음을 온통 주는데도 신바람이 난다. 이것이 행복이 아닐까? 행복의 바람이 절로 솔솔 분다.

3. 이기는 자가 행복하다.

이긴다고 하니 생존경쟁을 언뜻 떠올리게 되는데, 물론 살아가기 위한 이김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자기와의 싸움에서 이기는 것이다. 운동도 이겨야 기쁘고 행복하고, 공부도 잘해야 기쁘고 행복하고, 돈도 벌어야 기쁘고 행복해진다.

자기의 이김은 말할 수 없는 기쁨이 된다. 이는 모두를 이김과 같기 때문이다.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기면 조용한 행복의 물결이 강물처럼 밀려온다. 고집을 이김이요, 자존심을 죽임이요. 무엇보다 비생산적인 모든 것에서 이기면 행복은 곧바로 내 속에서 싹이 트게 된다.

우리 모두 행복의 씨앗을 심어 자기와 싸움에서 이겨 장성한 나무가 되어 그 나무의 그늘로 지친 자들에게 행복을 나눠주자.
 
 
 
Whose sins you forgive are forgiven them,
and whose sins you retain are retained.
(Jn.20.23)
 
 
 
Es War Doch Alles Nur Ein Traum - Monika Martin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