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사성은 조선 시대의 학자입니다.
나이 열아홉에 장원 급제를 하여 스무 살에 군수가 됩니다.
젊은 그는 나이 많은 선비를 찾아가 묻습니다.
“어른께서는 군수로서 삼아야 할 좌우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그건 어렵지 않소이다. 나쁜 일을 하지 않고 착한 일을 많이 베푸는 일입니다.”
“그거라면 삼척동자도 아는 이치 아니오. 먼 길을 온 제게 고작 그 말을 하시다니요?”
맹사성은 거만하게 일어서려 합니다. 그러자 선비는 차 한 잔을 빌미로 붙잡습니다.
그는 못 이기는 척 자리에 앉았습니다. 차를 따르면서 두 사람은 말이 없습니다.
그런데 선비는 찻물이 넘치는데도 자꾸만 찻잔에 차를 따릅니다.
“어르신,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망칩니다.”
맹사성이 소리쳤지만 선비는 계속 넘치도록 따릅니다.
그러고는 화가 나 있는 맹사성을 쳐다보며 말합니다.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적시는 것은 알면서 어찌 지식이 넘쳐 인품을 망치는 것은 모릅니까?”
많이 안다고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삶의 풍성함은 하늘이 내리는 것이지요. 사람들이 싫어하면 하늘도 싫어합니다.
사람들이 인정하면 하늘 역시 인정합니다.
세상은, 겸손하고 섬기는 사람을 좋아합니다.
조금 안다고, 조금 자리가 높아졌다고 우월감에 젖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그러한 실수를 계속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