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한 번쯤 ‘회개’라는 말을 들었을 때 마음이 무거워지는 체험을 했을 것입니다. 회개라는 교회의 가르침에 대한 우리의 잘못된 인식의 하나는 그것이 행동의 잘잘못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흔히 우리는 고해소에서 주일미사에 참석하지 못한 사실을 고백합니다. 우리가 고해성사에서 이렇게 표면적인 행동에만 초점을 두어 잘못을 고백하게 될 때 ‘회개’한다는 것은 다소 의무적이고 불편한 과정이 되어버리지 않을까요? 회개한다는 것이 죄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의식하게 된다면 우리는 회개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J. 플랜바흐는 ‘죄란 하느님의 사랑을 신뢰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근본적인 죄에 대한 이런 인식은 그동안 부단히 우리 자신을 힘들게 했던 많은 의무와 행위에 대한 자책에서 우리를 더욱 자유로운 삶으로 초대합니다.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느님은 애타는 마음으로 우리를 기다리십니다. 우리가 할 일이란 그 사랑에 우리 자신을 여는 것, 하느님께 의탁하는 것입니다. 그분이 우리 삶에 개입하셔서 변화·성장시키시도록 아무런 방어 없이 우리를 열고 그분께 내놓는 것입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를 인정하는 데 어른보다 훨씬 용감한 것 같습니다. 자신의 잘못이 이해받고 용서받을 수 있다는 단순한 믿음이 자신의 행위를 정직하게 돌아보게 하고, 진심으로 잘못을 인정하게 하는 것 같습니다. 사랑에 대한 아이들의 믿음은 실수에 대한 두려움을 몰아냅니다. 실수나 잘못을 통해 배울 수 있고, 그렇게 배운 것을 삶으로 살아가는 아이들의 모습은 때로 깊은 감동을 줍니다.
사랑은 이렇듯 우리를 자유롭게 합니다. 사랑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대면하게 하는 힘이 있습니다. 약한 우리의 인간성에 또는 죄로 상처 받은 이 세상에 절망하지 않고 진실한 회개를 하도록 우리를 부추깁니다. 있는 그대로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느님의 그 무한한 사랑을 신뢰하는 것, 결코 쉽지 않은 그 회개의 삶으로 초대받은 우리는 참으로 행복한 사람들입니다.
남궁영미 수녀(성심수녀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