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sa of Calcutta[마더 데레사]***
Mother Teresa
|
아녜스 곤히아 브약스히야
이 름 : 마더 데레사 (Agnes Gonxha Bojaxhiu)
출 생 : 1910년 8월 27일
사 망 : 1997년 9월 5일
출신지 : 유고슬라비아
직 업 : 수녀
경 력 : 1995년 워싱턴 입양센터 테레사의 집 설립
1965년 사랑의 선교수사회 교황 직속 조직 됨
수 상 : 1979년 노벨평화상 수상
1971년 요한 23세 평화상
|
■ Theresa of Calcutta
인도에서 활동하는 박애주의자·수녀회장. 세례명 아그네스.
유고슬라비아 스코플례의 알바니아인 집에 태어났다. 캘커타의 빈민가에 살면서
센트메리고등학교의 교사·교장(1929~48) 등을 역임한 후,
50년 ‘사랑의 선교자회’를 창립하여, 빈민·고아·나병환자·죽음만을 기다리는
사람들을 구원하는 데 몸바쳐 일해왔다.
이 무렵부터 ‘머더 테레사’로 불렸는데,
지금도 각국의 가난에 허덕이는 사람들에게 사랑의 손길을 뻗치고 있다.
1971년 요한 23세 평화상, 79년 노벨평화상을 각각 수상하였다.
81년에는 한국을 방문하였다.
95년 10월에는 워싱턴에 입양센터(아동을 위한 테레사의 집)를 세워 사생아·
미혼모문제 등을 입양운동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1997년 향년 87세에 심장마비로 사망함.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테레사 수녀의 사망 소식을 접하고
"매우 슬프다"고 애도했으며 빌 클린턴 美대통령도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훌륭한 인물" 이었다고 조의를 표했다.
■ 1910
유럽 남동부에서 태어난 아녜스 곤히아 브약스히야(마더 네레사)는
캘커타의 빈민굴에 버려진 사람들에게 가장 존경받는 수녀가 된다.
시간이 지나자 그녀의 사업은 전세계적으로 알려지면서
가장 존경받는 여성의 한 사람이 된다.
노벨 평화상과 종교의 발전을 위한 템플턴상을 포함해 많은 상을
수상한 그녀는 교황님과 대통령, 귀족들과 개인 친분을 쌓는다.
그녀는 자신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 비천한 일을 하는데 결코 주저한
적이 없으며 자주 반복하는 주제 가운데 하나가 겸손의 필요성이다.
오늘날 사랑의 선교회가 설립한 107군데 수도원은 국제적으로
4천 명의 수녀와 수사들이 있다.
하느님의 충실한 일꾼으로 묘사한 시편은 그녀에게 꼭 들어맞는 내용이다.
"야훼님 집안에 심어진 그들은, 하느님의 뜰에서 꽃피리이다.
늙어서도 그들은 열매를 맺으며 진기있고 싱싱하오리니 그들은 주께서
얼마나 바르심을 내 바위, 당신께는 하지 없으심을 널리 알리리이다.
(시편 91편 14-16)
■ 1910년 8월 16일
마더 데레사는 1900년에 결혼한 니콜 브약스히야와 드라나 베르나이의
막내딸로 마케도니아 알바니아 공화국의 수도인 스코페에서 태어나다.
언니 아가는 1905년에 태어나고, 오빠 나자르는 1907년에 태어나다.
■ 1910년 8월 27일
예수 성심 성당에서 아네스라는 세례명으로 세례를 받는다.
부모는 열성적인 가톨릭 신자로, 특히 어머니가 헌신적이었다.
■ 1919년
니콜 브약스히야는 정치적인 회의에 참석한 뒤 독살된 것으로 보인다.
그는 강력한 국수주의자의 신념을 갖고 있는 시의원이었다.
■ 1915-24년
아녜스는 행복한 어린 시절을 보낸다.
오빠 언니와 함께 아녜스는공립학교에 다닌다.
건강이 약했음에도 불구하고 공부를 잘했다.
그녀는 본당 교리공부반에 나가는 한편 본당 성가대원으로,
마리아의 딸이라고 불리는 가톨릭 청년단체에 속하게 된다.
그는 선교사의 삶에 대한 이야기라든지
성인들에 대한 책에 특별한 관심을 갖는다.
마더 데레사는 어린 시절과 사춘기의 가족생활을 이렇게 회상한다.
"우리는 특히 아버지가 돌아가신 이후로 매우 화합된 가족이었습니다.
우리는 서로서로를 위해 살았으며,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해주기 온갖 노력을 다했습니다.
우리는 매우 단결된 행복한 가정이었습니다." 외아들인 나자르는
어머니와 누이들의 종교생활을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예수 성심 성당 바로 옆집에서 살았습니다.
때때로 어머니와 누이들은 집에서보다 교회에서 더 많이 사는 것 같았습니다.
그들은 언제든지 성가대나 봉사단 선교에 관한
토론 문제에 늘 관여하곤 했습니다.
"또한 나자르는 어머니의 관대함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어머니는 집으로 찾아오는 그 많은 가난한 사람을
빈손으로 가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저들이 우리와 피를 나눈 친척도 아니고 또 비록 저렇게 가난하지만
우리 형제라는 것을 마음속에 간직해라.'"
아녜스는 열두 살 때 선교사의 삶에 대한 부르심을 느낀다.
그러나 그후 몇 년 동안 이 소명은 그녀의 마음속에서 잠을 잔다.
그 사이에 그녀는 마리아의 딸들회의 활동당원으로 일한다.
예수회 사제인 본당 신부님의 권유로 그녀는 선교사에 대한 관심을 키워간다.
아녜스의 오빠 나자르는 기병장교가 되기 위해 사관학교에서 공부하려고
오스트리아로 옮겨 간다.
■ 1928년
아녜스가 스코페의 수호성인 재단 앞에서 기도하고 있을 때
그녀의 선교사에 대한 관심이 수도생활로 이끄는 명백한 소명임을 깨닫는다.
그는 "우리의 성모님께서 나를 중재하시어
나의 소명을 찾도록 도와주셨습니다."라고 했다.
유고슬라비아 예수회의 지도와 도움으로 아녜스는 (아일랜드의 성모라고 볼리는)
메리워드가 16세기에 설립한 로레토 성모수녀회에 입회를 신청한다.
그녀는 인도에서 하는 그들의 선교사업에 큰 매력을 느낀다.
■ 1928년 9월 26일
입회 허락을 받고 아녜스는 더블린으로 간다.
그녀는 기차를 타고 유고슬라비아, 오스트리아, 스위스, 프랑스, 영국 등을 거쳐
로게토 성모수녀회 본원에 도착한다.
■ 1928년 12월 1일
두 달 동안 집중적인 영어공부를 한 후 아녜스는
배로 더블린을 떠나 37일 후인 1929년 1월 6일에 인도에 도착한다.
아녜스는 캘커다에 1주일만 머물고 곧
히말라야 산기슭에 있는 다질링으로 가 수련기를 시작한다.
■ 1931년 5월 24일
수련기 2년을 보내고 아녜스는 세례명을 데레사로 바꾸고
로레토 성모수녀회에 유기서원을 한다.
"저는 수도서원을 할 때 대 데레사라는 이름을 택하였습니다.
그렇지만 그석은 아빌라의 대 데레사의 이름이 아닙니다.
나는 리지외의 소화 데레사를 택했습니다."
■ 1931-37년
유기서원을 한 후에 데레사 수녀는 캘커타에 살면서 로레토 성모수녀회에서
운영하는 성 마리아 학교에서 지리와 역사 선생님으로 일한다.
■ 1937년 5월 24일
몇 번에 걸쳐 유기서원을 갱신하고
데레사 수녀는 로레토 성모수녀회 수녀로서 종신서원을 한다.
그리고 마침내 성 마리아 학교의 교장 선생님이 된다.
마더 데레사는 수녀회에서의 삶을 이렇게 총망라한다.
"나는 로페토에서 제일 행복한 수녀였습니다.
가르치는 데 나 자신을 완전히 헌신했으니까요.
그것은 하느님의 사랑을 수행하는 진정한 사도직이었을 뿐만 아니라
내가 그 일을 무척 좋아했습니다."
■.1946 9월 10일
하느님께서는 그녀를 가난한 이에게 봉사하도록 부르시다.
마더 데레사는 그날을 '영감의 날'이라고 부른다.
"내가 대피정에 참석하려고 캘커다에서 다질링으로 가는
기차 속에서 조용히 기도를 하고 있을 때,
선명하게 나의 소명 안에 또 다른 소명을 느꼈습니다.
그 메시지는 명백했습니다.
나는 우리 수도회를 떠나 가난한 사람들 가운데 살면서
그들을 도와주는 데 헌신해야 했습니다.
그것은 명령이었습니다.
나는 가야 할 목적지는 알았지만 가는 방법은 알지 못했습니다."
■ 1948년
로레토 성모수녀회를 떠나는 식은
데레사 수녀에게는 어렵고도 고통스러운 일이었다.
로마로부터 그녀의 수도회로 보내주는 특별한 허락이 필요했다.
마침내 그녀가 수도회 밖에서도 수녀로서 살도록 허락이 떨어진다.
8월 16일, 그녀는 로레토 성모수녀회 수녀복을 벗고
인다아에서 가장 가난한 여자들이 입는 흰 사리로 갈아입고 수도회를 떠난다.
사리에는 그녀가 동정 마리아를 닮고 캘커타를 떠나
기초 간호학 3개월 속성과정을 이수한 후 곧 돌아와
캘터타의 빈민가에서 가난한 사람 중에서 가장 가난한 사람들에게
자신을 헌신한는 열망으로 일을 시작한다.
그해 그녀는 인도의 시민권을 신청하는데,
곧바로 평생 인도 시민권을 받는다.
■ 1949년 3월 19일
첫번째 지원자가 마더 데레사와 합류한다.
마더 데레사가 가르치던 제자 슈바시니 다스가 어느날
예기치 않게 그녀를 방문해 함께할 것을 원한다.
그리하여 그녀는 아직 형성되지 않은 수도회의 첫번째 수녀가 된다.
■ 1950년 7월 10일
사랑의 선교회가 로마로부터 승인을 받는다.
상당수의 젊은 여성들이 뒤를 이어 들어온다.
"1949년 이후 나는 젊은 여성들이 한 명씩 도착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대부분 옛날 제자들이었습니다.
그녀들은 자기들이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하느님께 드리고 싶어했고,
매우 신속하게 그 일을 했습니다."
■ 1950년 10월 7일
묵주기도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에서는 사랑의 선교회를 승인한다.
10명의 수녀가 2년간의 수련기를 시작한다.
■ 1952년
1952년: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임종자의 집을 연다. 수도회에 회원이 30여 명이 된다. 그 중에 12명은 종신서원자이고 12명은 수련자, 나머지는 청원자였다. 아직도 수녀들은 자기들의 수도원이 없었다. 그들은 마이클 곰스가 제공한 셋집에서 '손님'으로 지낸다. 그녀들은 빈민가에 버림받은 아이들과 죽어가는 사람들을 돕는 한편 수도자 양성과 공부에 열중한다. 마더 데레 사는 캘커타 중심가에 있는 힌두교 사원인 칼리하트에 가난한 사람들의 집을 얻는다. 그 집은 8월 22일, 복되신 동정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대축일에 문을 여는데 열자마자 정원까 지 꽉 들어찬다. 이러한 현상은 끊임없이 퇴소시키는데도 불구하고 몇 년 동안 계속된다. 항상 새로운 지원자가 뒤를 이어온다. 그 집의 이름은 힌두어로 니르말 리다이인데 '순수한 마음을 가진 집'이라는 뜻이다. 그것은 대부분 이 집에 오는 사람들이 힌두인이기 때문이었다. 1953년:사랑의 선교회 본원이 창립된다. 끊임없는 기도 덕택에 하늘의 선물로 사랑의 선교회는 그들의 수도원을 위해 캘커타 54번가에 있는 집을 살 수 있었다. 그 집은 필요한 수도원과 임시로 쓸 수 있는 집을 살 수 있었다. 그 집은 필요한 수도원과 임시로 쓸 수 있는 공간까지 제공할 수있 는 편리한 곳에 위치해 있다. 본원은 사랑의 선교회 총사령부가 된다. 수녀들은 버림받은 빈민굴의 고아들을 위해 같은 거리에 있는 집에 세를 들었다가 후에 그 집을 사게 된다. 고아들은 대개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임종의 집에서 죽은 부모들의 어린이들이다. 수녀들은 자신들이 돌볼 나환우들의 집을 열기를 원한다. 그렇지만 많은 사람들이 반대했기 때문에 우선 나환우들을 위한 '이동 병실'부터 시작한다. 후에 수녀들은 캘커타 외곽지대에 티타가르와 산티나가르라 불리는 나환우들이 자랍할 수있는 재활 센터를 연다. 1962년: 마더 데레사는 인도 정보가 수여하 는 파드나 스리상을 받게 되며, 동남 아시아의 시토(SEATO) 국가들이 수여하는 막사이사이상을 수상한다. 그녀는 아시아에서는 알려져 있지만 아직 서구에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1965년 2 월 1일: 사랑의 선교회가 더한층 인정을 받는다. 이제 15년이 된 이 수도회는 놀랄 만큼 성장을 거듭하게 된다. 3백 명의 수녀와 여러 개의 틈이 생긴다. 유럽 여러 나라 수녀들이 포함된다. 그때까지 사랑의 선교회 수녀회는 지역 주교의 관할하에 인도에만 위치하게 된다. 몇몇 주교의 후원으로, 교황 바오로 6세는 사랑의 선교회가 전 가톨릭 교회 안에서 일할 수 있도록 인가하 는 칭찬교령을 내린다. 이 교령은 베네수엘라의 바르키시메토 대주교 초청과 아울러 사랑의 선교회 선교 사업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 1965-71년
1965-71년:전세계에 새로운 분원이 문을 열게 된다. 베네수엘라에 있는 분원이 마더 데레사의 첫번째 해외 분원이 된다. 그 다음해 지역 가톨릭 주교들의 초청으로 더 많은 분원이 아프리카에도, 오스트레일리아의 멜버른과 애들레이드, 유럽의 영국과 이탈리아에서 문을 연다. 사랑의 선교회 로마 분원이 교황 바오로 6세가 로마의 주교 자격으로 일을 찬미하고 그녀의 후원자가 되며, 선교회 활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그녀에게 바티칸 시민권을 수여한다. 사랑의 선교회는 1971년에 50여 개의 분원를 갖게 된다. 1969년 3월 3일:교황 바오로 6세가 협조자의 회칙을 인정하여 그들도 사랑의 선교회에 공식적으로 병합된다. 1969년 3월 26일:사랑의 선교회 협조자회 가 공식적으로 설립된다. 마더 데레사의 협조자들은 국제적으로 일반 평신도인 남자와 여자로 구성된 단체인데, 이들이 영성의 실체이며 사랑의 선교회 일을 더 넓혀 나가는 데 중요한 역학 을 한다. 그 수는 매년 끊임없이 증가하기 때문에 확실한 숫자 파악조차 힘들 정도이다.사랑의 선교회가 최초로 설립된 이래 협조자들은 끊임없이 생겨난다. 1970년:마더 데레사는 국제적인 중요한 상을 받는다. 영국의 저널리스트인 맬컴 머거리지가 펜과 전파를 통해 마더 데레사를 서방 세계에 알림으로써 가톨릭 신자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된다. 그 결과 그녀는 미국에서 착한 사마리아상을 받았고, 영국에서는 종교의 진보상인 템플턴상을 받았으며, 바티칸에서는 요한 바오로 23세 평화상을 받았다.
■ 1972년 7월 12일
1972년 7월 12일: 마더 데레사의 어머니 드라나 베르나이가 알바니아에서 영면하다. 어머니는 돌아가시기 전에 시칠리아에 있는 아들과 마더 데레사를 보고 싶어했지만, 알바니아 정부에서 그녀의 출국 허가를 거절한다. 1974년:마더 데레사의 언니 아가 브약스히야가 오빠의 여동생을 보지 못한 채 알바니아에서 죽다. 1979년 10월 17일:마더 데레사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노벨 평화상을 받는다. 그렇지만 그녀의 일상생활의 단순성이나 겸손은 조금도 변하지 않는다. 1979 년 12월 10일:마더 데레사는 자신의 삶을 모두 헌신한 가난한 사람의 이름으로 노르웨이 왕 올리프 5세로부터 노벨 평화상을 받는다.
■ 1980-85년
1980-85년: 사랑의 선교회는 여러 곳에 새로운 분원을 열고, 많은 새로운 성소자의 축복을 받는 다. 1980년에는 레바논, 서독, 유고슬라비아, 멕시코, 브라질 ,페루,케냐,아이티, 스페인,에티오피아, 벨기에, 뉴기니아,아르헨티나 등 14군데에 분원을 연다. 노벨 평화상을 수여한 뒤로 사 랑의 선교회는 놀라운 속도로 뻗어 나간다. 1981년 한 해만도 8군데나 새로운 분원을 열고, 82년에는 12군데, 83년에는 14군데로 늘어난다. 사랑의 선교회는 축복 속에 지원자가 감소하는 경 향을 보이는 시기에 참으로 예외적이라고 할 수 있다. 1986-89년:사랑의 선교회는 다른 선교사에게는 닫혀 있던 나라에 들어가게 된다. 사랑의 선교회는 에테오피아와 남예맨에 분원을 열 수 있는 허가를 받는다. 또 그들은 나카라과와 쿠바와 러시아에서도 분원 허가를 받았느데, 이들 국가는 정책에 의해 무신론주의가 활발한 나라다. 소련의 경우,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 로이카의 결실의 하나로 마더 데레사가 모스크바에 분원 허가를 받는다. 1986년 2월:요한 바오로 2세가 캘커타를 방문한다. 마더 데레사를 방문한 교황은 사랑의 선교회가 이룬 여러 가지 일 을 직접 눈으로 확인한다. 1988년 5월 21일:사랑의 선교회는 로마의 바티칸에 집 없는 사람들을 위한 보호소를 연다. 마리아의 해를 기념하기 위해 '마리아의 선물'이라고 이름지어진 보호소 에는 어른을 위한 72개의 침상과 2개의 식당이 있는데 한 식당은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다른 한 식당은 잠깐 들르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그 요양소에는 휴게실과 진료실이 각 각 하나씩 있고, 교황 바오로 6세의 알현실 쪽으로 난 정원이 있다.
■ 1988-89년
1988-89년:마더 데레사는 두 번째 심장마비로 입원한다. 육체가 완전히 지칠 때까지 과로해 입 원한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교황님조차도 건강에 좀더 유의할 것을 요청할 정도였다. 주치의들은 그녀에게 전기 자극으로 심장 박동을 지속시키는 페이스메이커를 장치한 후 6개월 동안 안정을 취하도록 권한다. 1990년 4월 16일:건강을 이유로 마더 데레사는 총장직에서 물러난다. 책임에서 자유로워지자 그녀는 여러 수녀원을 방분하며 여행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낸다. 1990년 9월:마더 데레사는 80고령인데다가 건강이 나쁜데도 불구하고 정년퇴직에 기각되어 다시 사랑의 선교회 총장직에 재선출된다. 1991년 1월:마더 데레사는 걸프 전쟁을 중지시키기 위해 두 정상에게 호소한다. 전쟁이 일어나기 직전에 조지 대통령과 사담 후세인 대통령은 죄없는 자들의 이름으로 정열적으로 호소하는 마더 데레사의 요청을 받아들이기에 이른다. 두 팀의 수녀 들이 전쟁으로 약탈당한 사람들을 돌보기 위해 바그다드로 간다.
■ 1991-93년
1991-93년:마더 데레사의 건강이 또다시 약화되어 처음엔 멕시코의 티후주아나에서, 다음엔 인 도 델리에서 쓰러진다. 그녀는 자신의 고통을 무릅쓰고 1993년 10월에 베이징의 초청에 응한다. 1993년 8월 30일:건강이 약화되자 마더 데레사는 사랑의 선교회에서 함께 일하는 사람만을 협 조자로 부를 수 있게 하라고 지시한다. 그 외에 사랑의 선교회에 이름만 걸어놓은 사람들은 해체된다. 1994년 2월 3일:미국 워싱턴 DC의 조찬 기도회에서 클린턴 대통령 부처와 고어 부통령 부처 옆에서 마더 데레사는 수천 명의 관중이 넋을 잃고 듣고 있는 메시지에서 생명의 중시와 평화를 촉구한다. 후에 대통령은 마더 데레사에게 '그가 진정으로 살고 있는 의탁의 삶'에 대해 감사를 표한다. 1996년 4월:마더 데레사는 사랑의 선교회 본부 침대에서 떨어져 골절상으로 병원에 잠깐 입원한다.
■ 1996년 8월
1996년 8월:마더 데레사는 캘커타에 있는 병원에 말라리아로 입원한다. 장기간의 열병이 심장 상태를 약화시킨데다 오랫동안 인공호흡용 마스크를 사용해 폐에까지 감염된다. 몇 번의 입퇴원을 반복하다가 일터로 되돌아온다. 1996년 10월:빌 클린턴 대통령이 마더 데레사를 미국의 명 예시민으로 추대하는 헌장에 서명한다. 헌장에 서명하면서 클린턴 대통령은 마더 데레사가 전세계 수백만 명의 고아와 버림받은 아이들에게 생명과 사랑과 희망을 주었다고 말한다.
■ 사랑
어떤 상류층의 젊은 여성이 가난한 사람들을 섬기기로 했다
면,
그것은 진정한 혁명, 가장 위대하고 가장 어려운 혁명입니다.
사랑의 혁명입니다.
예수님이 군중들에게 참된 행복에 대해여 설명하시기 전에,
그들을 측은히 여기시고 음식을 먹여 주었다는 이야기는 매우 감동적입니다.
그분은 군중을 배불리 먹인 후에야 가르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진정한 사랑에는 고통이 따릅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 사랑을 보여 주시기 위하여 십자가에서 돌아가셨습니다.
어머니는 아이를 낳기 위하여 고통을 겪어야 합니다.
여러분이 진정 서로를 사랑한다면 희생을 피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겸손한 체하는 태도나 동정심이 필요한 게 아닙니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사랑과 다정함입니다.
예수님은 내가 살고 싶은 생명이요,
비추고 싶은 빛이요,
하느님께 이르는 길이요,
내가 표현하고 싶은 사랑이요,
내가 나누고 싶은 기쁨이요,
내 주위에 퍼뜨리고 싶은 평화입니다.
예수님은 나의 전부입니다.
사람들에게 믿음이 부족한 이유는
너무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이기 때문입니다.
참됨 믿음을 원한다면 너그럽게 자신을 내주어야 합니다.
사랑과 믿음은 함께 갑니다.
오늘날 국가들은 국경선을 지키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으면서도 그 국경선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가난과 고통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들이 국경을 지키려고 애쓰는 대신 힘없는 사람들에게 음식과 피난처,
안식처와 의복을 나누어주려 노력한다면
세상은 훨씬 평화롭고 행복한 곳이 될 것입니다.
사랑의 선교회 수도자들은 사회사업가로서가 아니라 관상가로서
가난한 사람들 속에 계시는 예수님을 사랑으로 돕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백만 달러를 준다고 해도
자신은 나환자를 만지지 못하겠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그 때 나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나도 그렇습니다.
돈으로 친다면, 2백만 달러를 준다고 해도 못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그렇게 기꺼이 할 수 있음은
하느님에 대한 사랑 때문입니다."
나는 숫자에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사람이지요.
내가 신뢰하는 것은 단 하나, 예수님 한 분이십니다.
내가 자주 하는 얘기가 있습니다. 정말 중요한 얘기입니다.
가난한 사람들이게 가장 필요한 것은 동정이 아니라 사랑입니다.
그들은 다른 이들과 더하지도 덜 하지도 않은
자신들의 존엄성이 존중받는다고 느낄 필요가 있습니다.
예수님은 하늘 나라에 적합한 사람이 누구인지
그 조건을 제시하셨습니다.
하느님의 모습에 따라 그 분의 다정한 손길에 의해 창조된 우리는
모두 하느님 앞에 섰을 때,
가난한 사람들 에게는 어떻게 행동했느냐에 따라
심판받을 것입니다 (마태오 25: 40)
우리를 위해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신 예수님 덕분에
고통이 위대한 사랑과 엄청난 관용으로 바뀌었습니다.
[마더 데레사 말씀집 중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지치지 않고 사랑하는 것뿐입니다.
어떻게 등잔이 탑니까?
그것은 끊임없이 심지를 태우는 몇 방울의 기름 때문입니다.
우리 삶 속의 등잔에서 이 기름방울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일상 속의 작은 것들 곧 성실함, 친절한 말 한마디,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
침묵을 지키고 바라보고 말하고 행동하는 것들입니다.
당신을 떠난 먼 곳에서 예수님을 찾으려 하지 마십시오.
그분은 당신 밖에 계시지 않고 당신 안에 계십니다.
그러므로 당신의 등잔을 계속 타오르게 하십시오.
그러면 당신은 그분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What we need is to love without getting tired.
What we need is to love without getting tired.
How does a lamp burn?
Through the continuous input of small drops of oil.
What are these drops of oil in our lamps?
They are the small things of daily life:faithfulness,
small words of kindness,
a thought for others, our way of being silent, of looking,
of speaking, and of acting.
Do not look for Jesus away from yourselves.
He is not out there;He is in you. Keep your lamp burning,
and you will recognize Him.
마더 데레사의 <작은 몸짓으로 이 사랑을>중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