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마르티노(3.20)

마르티노(3.20)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마르티노 (Martin)
축일 3월 20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주교, 저술가
활동지역 브라가(Braga)
활동연도 +579년경
같은이름 마르띠노, 마르띠누스, 마르티누스, 마틴, 말딩
성인 기본정보

   성 마르티누스(Martinus, 또는 마르티노)는 당대 최고의 학자이자 저술가로 알려졌다. 역사가이자 주교인 투르(Tours)의 성 그레고리오(Gregorius, 11월 17일)는 자신의 저서인 “프랑크족의 역사”(Historia Francorum)에서 ‘그는 당시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인물로 여겨질 만큼 문학에 정통했다.’라고 칭송하며 그가 ‘덕이 충만한’(plenus virtutibus) 사람이었다고 적었다. 그는 원래 오늘날 헝가리에 해당하는 중부 유럽 판노니아(Pannonia) 사람으로 515년경에 태어났다. 그는 팔레스티나(Palestina) 성지를 순례하는 도중 수도승이 되었다. 그 후 그는 550년경에 바다를 건너 에스파냐 북서부의 갈리시아(Galicia) 지방까지 갔다. 당시 이곳은 로마 제국의 갈라이키아(Gallaecia) 속주로 넘어온 수에비족(Suevi)에 의해 건국된 수에비 왕국(Regnum Suevorum)의 땅이었다. 그런데 그리스도교 국가였던 수에비 왕국의 지배층 대부분이 아리우스파(Arianism)를 신봉하고 있었다.

   성 마르티노는 우선 수에비 왕국의 국왕인 카리아리코(Carriarico, 550~559년 재위)를 개종시키는 일에 참여했다. 투르의 성 그레고리오에 따르면 왕의 아들이 나병에 걸렸을 때 투르의 성 마르티노(11월 11일)의 유물을 구해와 치유된 후 개종함으로써 아리우스파에서 가톨릭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성 마르티노는 카리아리코 왕의 도움을 받아 아리우스파를 신봉하던 수에비족에게 선교하여 수많은 배교자를 회개시키고 로마 교회와 화해하도록 했다. 그리고 개종한 이들을 위해 “신앙 규범과 거룩한 교회 규범”(Regula fidei et sanctae religionis)을 썼다고 한다. 그는 두미오(Dumio, 오늘날 포르투갈 북부의 두메[Dume])에 수도원을 세웠고, 두미오가 주교좌로 승격된 뒤 그곳의 주교가 되었다. 그는 두미오의 주교로서 제1차 브라가 교회 회의(561년)에 참석했고, 그 후 오늘날 포르투갈 북서부 있는 브라가의 주교가 되어 제2차 브라가 교회 회의(572년)를 주도하였다. 그래서 그는 '두메의 성 마르티노' 또는 '브라가의 성 마르티노'로 불린다.

   성 마르티노는 또한 ‘왕가의 주교’라는 별명으로도 불렸지만, 자신의 생활은 지극히 엄격하여 은수자들과 다를 바 없었다. 그는 오늘날 갈리시아 지방을 다스린 수에비 왕국의 교회 구조를 조직화한 위대한 인물로 ‘수에비족의 사도’로 불린다. 그는 선교사로서 또 주교로서의 직무 외에도 다양한 저술로써 교회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그는 수도승의 윤리에 관한 소책자와 “농부들을 위한 계도”라는 사목적 가르침, 짧은 교회법 모음집인 “마르티노의 법령집”(Capitula Martini) 외에도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된 많은 작품을 번역하였다. 그는 579년경 선종하여 두미오 수도원에 있는 투르의 성 마르티노 경당 내 석관에 안치되었다. 그 후 여러 차례의 전쟁과 침략으로 그의 유해가 여러 곳을 옮겨 다니다 현재는 브라가 대성당에 모셔져 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3월 20일 목록에서 포르투갈의 브라가에 원래 판노니아 출신의 성 마르티노 주교가 있었는데, 처음에는 두메의 주교가 나중에는 브라가의 주교가 되었다며 그의 이름을 추가하였다. 그리고 그의 열정과 설교 덕분에 수에비족이 아리우스 이단을 버리고 가톨릭 신앙을 받아들였다고 기록하였다.♣

참고자료

  • 지그마르 되프 · 빌헬름 게어링스 편, 한국교부학연구회 하성수 · 노성기 · 최원호 역, 교부학 사전 – 마르티누스(브라가의), 강원도 횡성군(한국성토마스연구소), 2022년, 253-254쪽.

사진/그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