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지/사적지 목록

교구 성지명     지역명     내용 검색

수원교구 > 구산 성지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간략설명 소박함을 간직한 신앙 공동체, 김성우 성인의 고향
지번주소 경기도 하남시 망월동 387-10 
도로주소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북로 99
전화번호 (031)792-8540
팩스번호 (031)792-8531
홈페이지 http://www.gusansungji.or.kr
전자메일 gusan-hl@casuwon.or.kr
문화정보 하남시 향토유적 제4호

2001년 하남시 향토유적 제4호로 지정된 구산 성지 입구.마을을 둘러싼 뒷산이 거북이 형상을 닮았다는 구산(龜山) 마을은 팔당 부근 한강변에 위치하며 순교자들의 숨결이 170여 년이 넘도록 고스란히 살아 숨 쉬는 곳이다. 서울에서 불과 1시간 내에 시원스레 뚫려 있는 강변도로와 중부 고속도로를 통해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교통상의 편리함도 구산 성지를 찾는 이들에게 매력적인 요소이다. 구산 성지 또는 구산 마을이라고 할 때 어느 곳을 말하는지 잘 모른다고 해도 미사리 조정 경기장 하면 “아, 그곳!” 하며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경기도 하남시 망월동에 위치한 구산 마을은 먼저 103위 한국 순교성인 중 한 분인 김성우 안토니오(金星禹, 1795-1841년)를 비롯해 박해 시대에 많은 순교자가 탄생한 유서 깊은 사적지라는 데서 그 교회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특히 구산 마을은 김성우 성인의 후손들이 대대로 살아오며 순교자들의 묘소를 가족 묘지에 이장 · 보존해온 곳으로, 우리나라에서 박해 시대의 자취가 가장 원형대로 남아 있는 곳 가운데 하나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고 있다. 더군다나 200여 년 동안 교회를 지키며 신앙생활을 확고하게 지켜온 교우촌으로 도시화로 인한 급변속에서도 한마음으로 신앙 안의 일치를 잃어버리지 않고자 노력해 왔다.

무분별한 도시 개발로 사라질 위기에 놓인 구산 성당.6.25 전쟁 당시 구산 마을은 원로 신부들의 피신처로 아주 적합한 곳이었다. 낮에는 곳곳에 무성하게 자란 사람 키보다 더 큰 갈대숲 사이에서 숨죽이고 엎드려 있다가 저녁에 살금살금 나와 지친 몸을 쉬었다고 한다.

쭉 뻗은 강변도로와 그 아래 미사리 조정 경기장은 구산 마을을 향하는 순례자들의 가슴을 시원하게 해준다. 하지만 정작 도로 건너편 구산 마을은 도시화의 풍랑 속에 거대한 아파트 단지로 변모해 시골 성당의 정취를 물씬 풍기는 아담하고 아름다운 구산 성당이 소리 없이 파묻힌 형국이 되었다.

게다가 1836년 모방 신부가 설립한 구산 공소를 모태로, 1979년 신장 성당에서 분리 · 승격해 김성우 안토니오 성인의 생가터에 설립된 구산 성당과 그 인근 부지가 2009년 시작된 ‘미사 보금자리’ 재개발 사업에 포함되어 이전을 강요당했다. 무분별한 경제논리에 역사적 가치가 훼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성당 존치를 위해 노력한 구산 성당은 2016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말까지 옛 성당의 원형을 보존한 상태로 220m 가량 떨어진 새 부지로 성당을 통째로 옮기는 대역사를 이루어냈다. 국내에서 최초로 콘크리트 건축물을 하루에 10m 정도씩 옮기는 이전 작업을 성공적으로 마침으로써 교우촌의 역사와 문화재적 가치를 지키는 좋은 사례가 되었다.

우리의 도움이신 성모 마리아상.구산 성당에서 걸어서 15분 남짓 거리에 조성된 구산 성지 또한 무분별한 개발과 도시화로 인해 많은 상처를 받았다. 1980년 로마 교황청이 세계 순례성지로 지정하고, 2001년 그 역사적 ·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경기도 하남시 향토유적 제4호 지정된 구산 성지는 김성우 안토니오 성인과 순교자 8명이 출생 · 순교한 후 묻힌 곳이며, 최근까지도 그 후손들이 교우촌을 이루고 살았던 유서 깊은 곳이다. 하지만 현재 성지를 포위라도 하듯 고층 아파트가 사방을 둘러싸고 있는 형국이 되었다.

야트막한 언덕 모양의 성지 정문을 들어서면 바로 앞에 형형색색의 도자기 작품으로 둘러싸인 우리의 도움이신 성모 마리아상(성모자상)이 보인다. 독특한 외형의 ‘우리의 도움이신 성모 마리아상’은 구산 성지 초대사제인 고(故) 길홍균 이냐시오(1931-1988년) 신부가 꿈에서 본 성모님의 모습을 토대로 고 김세중 프란치스코(전 서울대학교 미대 학장) 화백이 조각해, 지난 1983년 축성된 것이다.

김성우 안토니오 성인 묘와 순교현양비.성모상과 함께 성지 안을 돌아보면 오른쪽으로 ‘안당문’(安當은 안토니오의 중국어 음역)이라 적힌 자그마한 기와 대문이 보이고, 그 안으로 순교자 묘역과 성당이 보인다. 순교자 묘역에는 김성우 성인과 2015년경 가족 묘지에서 모셔온 순교자, 구산 출신 순교자 등 9위의 무덤이 진묘와 의묘 형태로 보존되어 있다. 숙연한 마음을 가다듬고 안당문을 들어서 김성우 안토니오 성인과 순교자들의 묘소 앞에서 잠시 눈을 감고 죽음 앞에서도 의연하게 신앙을 택했던 그들의 풍모를 그려본다.

양반의 자제로 태어나 유복한 살림과 존경받는 가문에서 남부러울 것 없었던 김성우가 신앙의 험로를 걷기 시작한 것은 1830년경으로 알려져 있다. 경주 김씨 계림군파(鷄林君派)의 15대 손인 김영춘의 맏아들로 정조 19년(1795년) 구산에서 태어난 그는 두 동생과 함께 세례를 받고 친척과 이웃들을 입교시켜 이 지역을 교우촌으로 만들었다. 한동안 유방제 신부를 모시고 회장직을 수행하며 온 마을에 복음을 전한 그는 1836년 모방(Maubant) 나(羅) 신부가 입국하자 자기 집에 모방 신부를 모시기도 했다.

1839년 기해박해 때 체포됐다가 간신히 풀려났던 그는 1840년 1월경 다시 가족들과 함께 붙잡혀 한양 포도청으로 압송되었다. 포도청에서 형조로 이송되어 갖은 고문을 당한 그는 배교를 강요하는 재판관에게 “나는 천주교인이오. 살아도 천주교인으로 살고 죽어도 천주교인으로 죽을 것입니다.”라며 결코 신앙을 굽히지 않았다.

요지부동의 굳은 신앙에 결국 그는 이듬해 4월 29일 47세의 나이로 순교했고, 1925년 7월 5일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다가 마침내 1984년 5월 6일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성당 왼쪽으로 청동 빛의 고색창연한 십자가의 길 14처상이 보인다. 굽이굽이 말려 올라간 소나무들의 푸른빛이 십자가를 진 예수를 향해 시퍼렇게 날선 창을 겨눈 병사들의 청동 빛에 어우러져 섬뜩할 정도로 처절했던 순교 당시의 고통을 이야기해 주는 듯하다. 성지 한 가운데는 넓은 잔디광장과 야외제대가 마련되어 있고, 그 뒤로 성지와 관련된 순교자들을 상징하는 십자가를 세운 기둥들이 묵주기도 길 사이로 높이 솟아 있다.

잔디광장 뒤로 십자가 기둥이 높이 솟아 있다.


유서 깊은 교우촌이며 순교자들의 고향이자 유해가 묻힌 구산 마을과 구산 성지는 급격한 도시화와 무분별한 개발 정책으로 인해 많은 상처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신앙 공동체의 모습을 간직하려 노력하고 있으며 순교의 얼이 살아 있는 곳이다. 현재 구산 성지는 신앙 선조와 순교자들의 삶을 체득 · 체화하는 수련마을인 신앙선조 영성마을 건립을 위해 애쓰고 있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내용 일부 수정 및 추가(최종수정 2019년 12월 7일)]

고요하던 성지 주변으로 고층 아파트들이 들어서고 있다.



구산, 김성우 성인의 고향


구산 성지 성당 내부.모방 신부가 방문한 공소 중에서 그 자취가 남아있는 곳으로는 거북뫼 곧 ‘구산’(龜山, 광주군 동부면 망월리로 현 하남시)이 있다. 이곳은 김성우(金星禹, 안토니오) 성인의 고향으로, 그는 1830년경에 셋째 아우인 윤심과 함께 천주교에 입교하였다. 이때 둘째 아우 덕심(아우구스티노)은 입교를 망설이던 끝에 신앙을 받아들였다. 그 후 3형제의 신앙 실천과 전교 활동은 실로 눈부셨으니, 얼마 안 되어 구산 마을 전체는 하나의 교우촌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김성우는 3년 뒤인 1833년에 유방제 신부가 조선에 입국하자 성사를 자주 받기 위해 서울 느리골(어의동, 즉 서울 효제동)로 이주하였다가 동대문 밖 가까이에 있는 마장안(서울 마장동)으로 이주하여 생활하였다. 그런 다음 다시 구산으로 내려와 자신의 집에 작은 강당을 마련하고, 1836년 여름에는 모방 신부를 모셔와 성사를 받았다. 이때 모방 신부는 김성우의 신심을 높이 사서 이곳의 공소회장으로 임명하였다.

성 김성우 안토니오 상.1839년 박해가 일어나자마자 그는 3월 21일(양력) 포졸들에게 형제들과 함께 체포되었다가 약간의 돈을 주고 풀려날 수 있었다. 그러나 그 해 말에 다시 포졸들이 들이닥쳐 집에 있던 그의 아우들과 사촌 김주집을 체포하여 광주 유수가 있던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끌고 갔다. 그중 둘째인 덕심은 체포된 후 고문을 참아 받으면서 관헌들 앞에서 천주교 교리를 열심히 설명하였고, 오랫동안 옥중 생활을 하다가 1841년 1월 28일에 통회와 신앙심을 지닌 채 병사로 순교하였다. 반면에 셋째인 윤심과 사촌은 그 후에도 오랫동안 갇혀 있다가 사망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하여 남한산성은 1801년 12월 27일 한덕운(韓德運, 토마스)이 동문 밖에서 순교한 이래 두 번째로 순교자들을 탄생시킴으로써 유명한 순교터로 자리잡게 되었다.

아우들이 체포되기 전에 김성우는 지방으로 피신하였으나, 끝내 포졸들의 수색망에 걸려 1840년 1월경에 체포되었으며, ‘사학(邪學)의 괴수’라는 명목 아래 포도청으로 압송되었다. 옥에 갇혀있으면서도 그는 자신의 집에 온 것처럼 행동하였고, 외교인 죄수들에게 교리를 전하여 2명을 입교시키기까지 하였다. 또 석방된다는 것은 꿈에도 생각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옥중에서 생애를 다하려고 다짐하기까지 하였다.

다시 1년이 지났다. 그런데도 그의 순교 열망은 사라지지 않았고, 치도곤 60대를 맞고도 오히려 순교가 가까워졌음을 알고 즐거운 낯으로 질문에 답하곤 하였다. 결국 포도대장은 음력 윤 3월 18일 그에게 교수형을 언도하였다. 옥중에서 그가 남긴 한 마디는 다음과 같이 순교를 각오한 단 한 마디였다.

“나는 천주교인이오. 살아도 천주교인으로 살고, 죽어도 천주교인으로 죽을 것입니다.”

성지 입구 오른쪽으로 성인묘역과 성당이 자리하고 있다.

순교 후 그의 유해는 아들 김성희(암브로시오) 등에게 거두어져 고향에 안장되었으며, 1927년 5월 30일에 발굴되어 용산 예수 성심 신학교, 명동 성당을 거쳐 절두산 순교 기념관으로 옮겨져 안치되었다. 현재 구산 성지에는 그의 무덤과 두 형제의 무덤, 1868년 3월 8일 남한산성에서 순교한 김성희와 김윤심의 아들인 김경희의 무덤이 있으며, 같은 날에 순교한 김덕심의 둘째 아들 차희와 김주집의 아들 윤희의 가묘, 그리고 1867년에 포도청에서 순교한 최지현의 무덤이 있다. [출처 : 차기진, 사목, 1998년 6월호]



구산, 단내에서 남한산성으로 이어진 순교


호국(護國)과 호교(護敎)를 위한 몸부림이 배어 있는 남한산성(광주군 중부면 산성리)은 하남시 서부 성당에서 사적지 조성을 위해 힘을 쓰고 있는 곳이다.

남한산성 성지의 순교자 현양비.이곳의 첫 번째 애환은 1636년 12월 14일, 청나라의 침입을 받아 한양이 위태롭게 되자 인조가 세자와 백관들을 대동하고 피난해 오면서 시작되었다. 인조는 이곳에서 40여 일을 수성하였지만, 모든 사정이 악화되자 결국 이듬해 1월 30일 백관과 군사들의 호곡 소리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성문을 열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후 조선에서는 청나라와 굴욕의 맹약을 맺은 삼전도에 세워진 청나라 태종의 송덕비를 가리켜 ‘치욕의 비’ 또는 ‘한(汗)의 비’라 불렀으니, 이것은 곧 ‘호국의 몸부림’이었다.

그로부터 200여 년이 지난 1839년의 박해 때 남한산성에서는 두 번째 애환이 있게 되었으니, 이것은 바로 ‘호교를 위한 몸부림’이었다. 그러나 이 몸부림은 천상의 승리로 결실을 맺게 되었고, 신앙인들의 노래는 훗날까지도 이어져 남한산성 한 모퉁이를 치명터로 만들었다. 당시 이곳이 치명터가 된 이유는, 1626년에 산성리가 형성되고 1795년부터 광주 유수가 성안에 거처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박해가 계속되는 동안 광주 일대에서 체포된 수많은 신자들이 이곳으로 끌려와 모진 형벌을 받으면서 배교를 강요당했고, 신앙을 지키기 위해 세속의 모든 부귀와 육신의 고통을 버려야만 했다.

남한산성에서 맨 먼저 호교의 노래를 부른 이는 광주 의일리(현 의왕시 학의동)에 살다가 1801년에 체포되어 동문 밖에서 참수된 한덕운(韓德運, 토마스)이다. 그 뒤를 이어 광주의 거북뫼 곧 구산(현 하남시 망월동) 출신인 김만집(金萬集, 아우구스티노)이 기해박해 때 체포되어 1842년 초에 남한산성 옥중에서 “진실한 통회와 애덕의 정을 지닌 채” 순교하였다.

단내 성지의 성가정 광장. 광장 위에 순교자 묘가 있다.한편 김만집의 형 김성우(金星禹, 안토니오) 성인은 이때 포도청과 형조에서 수많은 형벌을 받은 뒤 1841년에 교수형을 받아 순교하였으며, 셋째인 김문집(金文集, 베드로)은 김만집과 함께 체포되어 남한산성으로 끌려가 오랫동안 옥중 생활을 하다가 1858년경에 석방되었다. 이곳 남한산성에서 다시 순교자가 탄생한 것은 1866년의 병인박해 때였다.

바로 그 해 겨울 이천 단내(이천시 호법면 단천리)에 거주하던 정은(바오로)도 63세의 나이로 체포되어 재종손 정 베드로와 함께 1866년 12월 8일 남한산성에서 순교하였다. 당시 남한산성의 광주 유수가 그들에게 내린 사형은 일명 도배형 또는 도모지(塗貌紙)라고 부르던 백지사(白紙死)였다. 이 형벌은 먼저 팔과 양다리를 뒤로 하여 나무에 결박하고, 여기에 풀어헤친 상투를 묶어 움직이지 못하게 한 다음 얼굴에 물을 뿌리고 창호지를 한 장씩 겹쳐 나감으로써 숨이 막혀 죽도록 하는 방법이었다. 이렇게 순교한 정은의 시신은 동문 밖에 짐승의 먹이로 버려졌다가 가족들에 의해 어렵게 거두어져 단내에 안장되었다.

박해자의 손길은 얼마 되지 않아 이미 교우촌으로 알려져 있던 구산에 뻗혔다. 이내 김문집(베드로)을 비롯하여 집안의 어른 남자들이 모두 체포되었고, 남한산성으로 끌려가 문초를 받게 되었다. 당시 김문집의 나이는 66세의 고령이었다. 그와 함께 체포된 김씨 집안의 신자들은 김성우 성인의 외아들인 성희(암브로시오), 순교자 김만집의 차남 차희, 김문집의 외아들 경희, 경희의 5남이자 성희의 양자인 교익(토마스), 경희의 6촌 윤희 등 모두 6명이었는데, 이중에서 김교익만이 안면 있는 포교의 도움으로 생환하였을 뿐 모두 순교하였다. 결국 구산의 순교자는 김성우 성인을 비롯하여 모두 7명이 된 셈이다.

구산 성지 성인묘역과 성당.한편 가까스로 생환한 김교익은 사형이 집행된 뒤에 매일같이 형장으로 찾아가 김문집과 김성희·경희 등 3명의 시신을 찾아다 구산의 가족 묘역에 보존되어 오던 성 김성우와 김만집 형제의 무덤 옆에 안장하였다. 그러나 김차희의 시신은 아들 김교문에 의해 거두어져 안양 수리산에 안장되었다가 실묘되었으며, 후손이 없던 김윤희의 시신은 거두어지지 않았다.

이처럼 구산과 단내에서 시작된 신앙을 천상의 영복으로 영글게 한 남한산성에는 이 밖에도 수많은 순교자들의 애환과 몸부림이 어려 있다. 그러나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순교 터 매입과 사적지 작업은 어렵기만 한 상황이다. ‘순교자들이 살아서 들어갔던 동문과 배교하지 않고 시체가 되어 나온 시구문’ 모두가 우리에게 한 시대의, 그러나 잊어서는 안 될 역사를 증언해 주고 있다. 오늘도 성지에는 순교자들의 전구가 깃들어 있다. [출처 : 차기진, 사목, 1999년 5월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용 요약 설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구산 성지는 김성우 안토니오 성인의 고향이자 박해시대에 많은 순교자를 배출한 유서 깊은 교우촌인 구산 마을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구산에서 태어난 김성우 성인은 36세에 두 동생과 함께 세례를 받고 친척과 이웃들을 입교시켜 이 지역을 교우촌으로 만들었습니다. 한동안 유방제 신부를 모시고 회장직을 수행하며 온 마을에 복음을 전한 성인은 1836년 모방 신부가 입국하자 자기 집에 모시기도 했습니다. 1839년 기해박해 때 체포됐다가 간신히 풀려났고, 1840년 다시 가족들과 함께 붙잡혀 한양 포도청으로 압송되었습니다. 포도청에서 형조로 이송되어 갖은 고문을 당한 성인은 배교를 강요하는 재판관에게 "나는 천주교인이오. 살아도 천주교인으로 살고 죽어도 천주교인으로 죽을 것입니다."라며 결코 신앙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순교 후 그의 유해는 아들 김성희 암브로시오 등에 의해 수습되어 고향에 안장되었습니다. 1927년 5월 30일 발굴되어 용산 예수성심신학교와 명동 성당을 거쳐 절두산 순교자 기념성당 지하의 유해안치실에 모셔졌습니다. 현재 구산 성지 순교자 묘역에는 김성우 성인과 가족 그리고 구산 출신 순교자 등 9위의 무덤이 진묘와 의묘 형태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김성우 안토니오는 1984년 5월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습니다.
미사시간 안내
미사시간 안내
미사구분 요일 시간 기타사항
주일미사 11:00  
평일미사 11:00  8월~11월까지 미사 있습니다
11:00  순교자 현양미사
11:00  성가정미사
11:00  위령미사(10:30 연도 후 미사)
11:00  예수성심미사
11:00  성모신심미사

* 미사시간이 변동될 수 있으니 성지나 관련기관으로 전화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