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오에 한강 지류(支流)를 건너 맞은편 여인숙에서 점심을 들었다. 거기에 대안리 교우들이 마중 나와 있었다. 아침에 40리 길을 왔고, 오후에 갈 길은 가까운 30리이다. 10리쯤 남겨 두고 아름다운 무지개와 함께 비가 내렸다. 조제 신부가 기다리고 있었다. 11월 12일, 성당에는 드브레 신부가 만든 신부 방이 딸려 있다. 축성해 달라고 했다. 그것은 진짜 성당이기에 성당 축성 예절로 축성했다. 성당은 성모님께 봉헌되었다. 미사를 드리고 35명에게 견진을 주었다. 성당 축성을 축하하기 위해 큰 잔칫상이 차려졌다.”(뮈텔 주교의 1910년 일기 중에서)
원주교구 대안리 공소의 초창기 역사를 알려주는 거의 유일한 기록이다. 그러니까 1910년 11월에 공소 축복식을 했다는 이야기인데, 실제로 공소가 설립된 연도는 좀 더 거슬러 올라간다. 공소 신자들 사이에 전해 내려오는 구전(口傳)에 따르면 대안리 공소는 1892년께 설립되었고, 지금의 공소 건물은 1900-1906년 사이에 세워졌다. 뮈텔 주교가 ‘진짜 성당’이라고 했을 만큼 당시로써는 성당이라고 할 만큼 훌륭하게 지어진 건물이었다. 원주교구에서 1892년 이전에 설립된 본당은 풍수원 본당밖에 없었다. 어째서 이 시골 마을에 그토록 일찍 공소가 설립되었을까?
초기 한국 교회사에 밝은 사람이라면 쉽게 짐작할 수 있듯이 대안리 일대는 교우촌이었다. 신자가 많은 곳에 성당이 세워지기 마련이다. 박해 시대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대안리 근처 덕가산에 숨어 살다가 1886년 조선과 프랑스가 조불수호통상조약(朝佛修好通商條約)을 체결하면서 신앙의 자유가 주어지자 지금의 공소가 있는 마을로 내려와 살면서 교우촌을 형성한 것이다.
건평 23평 규모의 공소 건물은 특이하게도 한옥 형태이다. 문화재청은 2004년 12월 31일 대안리 공소를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 제140호로 지정하면서 “1900년대 초에 지어진 목조 가구식 한옥 성당 건축물로, 교회사적 측면에서 가치가 높다.”라고 그 선정 이유를 밝혔다. 공소 마당에 있는 등록문화재 안내판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 내부 공간은 회중석과 제단으로 구성된 강당, 제의실, 주 출입구의 전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의실 출입문 앞쪽에 고해를 위한 칸막이가 설치되어 있다. 원주 지역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1900년대 공소로 역사적 가치가 있다.”
공소는 110여 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많은 풍상을 겪었다. 원래 초가지붕이었으나 1950년대에 초가를 걷어내고 기와를 얹었다. 그러나 나무 기둥에 흙으로 벽을 바른 공소가 견디기에는 기와지붕이 너무 무거웠다. 그래서 1970년대 들어 슬레이트 지붕으로 바꾸기도 했다. 이에 앞서 1960년경에는 공소를 거의 두 배 가까이 확장했다. 창틀 다섯 개 중에서 입구 쪽 두 개에 해당하는 부분이 이때 늘어난 공간이다.
1986년에도 대대적 보수가 있었다. 창틀을 전부 알루미늄으로 교체하고, 내부 흙벽에는 합판을 덧댔다. 그리고 비를 피해 신발 벗을 공간이라도 있어야겠기에 입구에 현관을 따로 만들었다. 미관을 크게 신경 쓰지 않은 탓에 그다지 멋은 없었다.
신발을 벗고 들어가는 실내는 마룻바닥이다. 한때 의자를 놓기도 했었는데, 불편한 점이 더 많아 맨바닥에 그냥 앉는다고 한다. 고개를 들어 천장을 보니 전통 한옥이 그렇듯 건물 뼈대인 나무 기둥이 그대로 드러난다. 천장이 높아 여름에는 시원할 것 같다. 제대 뒤편에는 제대와 연결된 사제 방이 따로 있다. 과거 1년에 두 번 판공성사를 주러 오는 사제가 묵는 곳이었다. 지금은 한 달에 두 번 흥업 본당 신부가 미사를 드리러 오는데, 예전처럼 자고 갈 일은 없어 제의실 역할만 하고 있다. 공소 마당에는 성모상과 종탑이 있다.
대안리 공소 최고령 신자인 김종현 베네딕토 할아버지는 “예전에는 공소를 빙 둘러싼 담이 있었고, 마당에는 사제가 타고 오는 말을 묶어두는 마구간이 있었다.”라고 기억을 더듬었다. 이곳에서 태어나 대안리 공소와 일생을 함께한 김 할아버지는 또 “돌아가신 아버지가 공소를 지을 당시 마당에서 얼쩡거리면 일하는 데 방해가 된다고 딴 데 가서 놀라고 쫓겨났던 어릴 적 추억을 말씀하신 적이 있다.”라고 회고했다. 100여 년 전 과거와 현재를 잇는 위대한 기억의 끈이 아닐 수 없다.
대안리 공소는 한국전쟁 때 인민군 막사로 사용됐고, 전쟁이 끝난 후에는 미군 구호물자를 나눠주는 배급처가 되기도 했다. 공소도 사람처럼 그동안 숱한 풍파를 겪었으며, 사람이 아프면 수술을 받듯 수차례 개보수 공사를 받았다. 하지만 근본적인 보수보다는 임시 처방식의 보수에 불과해 여전히 헤진 지붕에서 비가 새고, 나무 기둥도 많이 썩어 안전을 위해서도 원형을 유지한 철저한 보수작업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공소예절이나 미사 때 50~60여 명이 참례하는 대안리 공소로서는 감당하기 힘든 상태였다. 하지만 대안리 공소는 그 어느 공소보다도 단단한 결속력과 우애를 자랑한다. 여느 공소나 마찬가지로 젊은이가 거의 없는 것이 문제이긴 하지만 행사가 있으면 팔을 걷어붙이고 달려들어 자기 일처럼 해내는 끈끈한 유대감은 다른 데서 쉽게 찾아보기 힘든 대안리 공소의 자랑이다. 최근에는 무농약, 오리농법으로 농사를 짓는 공소로 전국에 이름을 떨치고 있다. 그래서 도시 본당과 교류가 활발할 뿐 아니라 농민주일 행사 등을 통해 외지 신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공소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2009년 9월 9일 원동 주교좌성당에서 흥업 성당이 분리 · 신설되면서 대안리 공소는 흥업 성당 관할 공소가 되었다. 2010년 11월 12일 대안리 공소는 공소 축복 100주년을 맞아 원주 교구장 김지석 주교와 신자들이 함께한 가운데 축하식을 거행하고, 공소 맞은편에 새로 건립한 교육관에 대한 축복식도 함께 가졌다. 공소 교우는 물론 이곳을 찾는 이들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교육관은 연면적 132.7㎡로, 1층에 화장실과 창고, 2층에 교육실, 주방 등을 갖췄다.
2012년에는 대안리 공소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처음으로 수리에 들어가기 위한 원주시의 지원이 결정되었고, 이듬해 원형을 유지한 상태로 전반적인 보수작업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예산 부족으로 공소 일부를 개선하고 중단되었다가 2016년 원주시의 지원으로 원래 모습에 가까운 복원 공사가 진행되어 본래의 말끔한 모습을 되찾았다. [출처 : 가톨릭평화신문 · 가톨릭신문 등의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편집(최종수정 2019년 12월 26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용 요약 설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미사시간 안내 | |||
---|---|---|---|
미사구분 | 요일 | 시간 | 기타사항 |
주일미사 | 일 | 09:00 | 미사 일정은 흥업 성당 것입니다. |
10:30 | 교중미사 | ||
평일미사 | 월 | 06:30 | |
화 | 19:30 | ||
수 | 10:30 | ||
목 | 19:30 | ||
금 | 10:30 | ||
토 | 18:00 | 가족미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