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교구 소속 본당으로 강원도 삼척시 성내동 3-1에 소재한다. 1949년 10월 7일 춘천교구 소속 강릉(江陵, 현 임당동) 본당 관할 공소에서 삼척(三陟) 본당으로 승격되었다가 1965년 3월 22일에 원주교구 소속으로 변경되었으며, 1966년 10월 5일 사직리(史直里, 현 사직동) 본당을 분리하면서 본당 이름을 ‘성내리’로, 1988년 10월 18일에는 다시 ‘성내동’(城內洞)으로 바꾸었다. 주보는 천주 성삼이다.
1946년 강릉 본당 주임 갤라허(F. Gallagher, 葛) 신부에 의해 ‘삼척 공소’(삼척읍 사직 2리)가 설정된 후 신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자 강릉 본당에서는 삼척읍 남양 2리의 개인 주택과 대지를 사들여 성당과 사제관으로 개조하였다. 그 결과 1949년 10월 7일 삼척 공소가 본당으로 승격됨과 동시에 골롬반 외방선교회의 매긴(J. Maginn, 陳) 야고보 신부가 초대 주임으로 부임하였다.
그러나 매긴 신부는 1950년 7월 북한 공산군에게 피살되었고, 이듬해 2대 주임으로 부임한 버크(P. Burke, 表) 파트리치오 신부가 본당의 기틀을 다져 나갔다. 그러다가 춘천교구장 스튜어드(T. Stewart, 朴) 주교가 매입한 현 성당 부지에 성당(133평)과 사제관(30평)을 건립한 후 1957년 11월에 이곳으로 본당을 이전하였다. 한편 본당에서는 1956년 3월 10일에 근덕(根德) 공소, 1958년 4월에 동막(東幕) 공소, 1959년 12월 4일에 궁촌(宮村) 공소, 그리고 이듬해 7월 4일에는 호산(湖山) 공소를 연이어 설정하였다.
1961년 11월에는 본당 구내에 ‘성 요셉 의원’(126평)을 개원하였고, 1963년 10월에는 영원한 도움의 성모 수녀회 분원이 마련된 데 이어 이듬해 10월에는 수녀원을 신축하였다. 또 1963년 11월 1일에는 근덕 공소 강당(35평), 이듬해 12월 22일에는 궁촌 공소 강당(30평)의 축복식을 가졌다. 그러던 중 1965년 3월 22일 춘천교구에서 원주교구가 분리되면서 성내리 본당은 새 교구 소속으로 이관되었다. 이어 1970년에는 본당 사목위원회가 발족하였고, 1972년 10월에는 평화유치원을 개원하였으며(1988년 2월에 폐원), 같은 해 10월에는 신용협동조합을 창립하였다.
이러한 변모 과정에서 성내동 본당은 ‘전교하는 공동체’라는 목표 아래 꾸준히 지역의 복음화와 소공동체의 활성화에 노력해 왔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성삼 장학회’를 발족하여 지역 내에 거주하는 불우 학생 돕기에 앞장서고 있다.
성내동 성당은 동산 위에 있어 삼척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위치에 건립되었다. 지금이야 고층 아파트를 비롯한 높은 건물들이 많이 들어선 까닭에 시내에서 성당을 찾기가 쉽지 않지만, 그전까지만 해도 시내 어디서든 고개만 들면 곧바로 성내동 성당이 눈에 들어왔다. 또한 넓은 성당 구내는 잘 가꿔진 작은 공원처럼 고즈넉한 성당을 둘러싼 소나무들이 성당과 조화를 잘 이루고 있다.
성내동 본당은 1949년 10월 지금의 성당 자리가 아닌 인근 남양리에서 출발했다. 설립 당시 100여 명에 불과했던 본당 신자가 급격히 늘어나자 3대 주임이었던 데니스(K. Denis, 姜) 디오니시오 신부는 성당 신축 부지를 물색했고, 여러 군데를 둘러본 끝에 지금의 자리에 성당을 짓기로 마음을 굳혔다. 돌이 거의 없는 밭이기에 성당을 짓는 데 어려움이 없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 인근에서 가장 높은 장소라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
실제로 신축에 나선 이는 데니스 신부 후임으로 1955년 11월에 부임한 코너스(K. Conners, 高) 가비노 신부였다. 당시 25살의 젊은 나이에 매사 적극적이던 코너스 신부는 10명이나 되는 땅 주인들을 일일이 만나 설득하면서 땅을 매입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선뜻 땅을 팔려고 하지 않았다. 성당 부지에 주민들이 매년 섣달 그믐날 고사를 지내는 성황당 고목(古木) 두 그루가 있는데, 성당을 짓느라 이 고목들이 망가지면 동네에 큰 재앙이 온다는 미신 때문이었다. 이때 코너스 신부는 “고목에 제사 지내는 것보다 성당에서 매일 제사를 지내면 훨씬 더 큰 복을 받을 수 있다.”라는 말로 두려움에 떠는 주민들을 달랬다고 한다.
성당 신축 공사는 1957년 3월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설계도는 춘천 교구장 퀸란(Quinlan, 具) 토마스 주교가 보내왔고, 시공은 강릉 임당동 성당과 묵호 성당을 시공한 경험이 있는 중국인 신자 가(賈)씨가 맡았다. 공사는 쉽지 않았다. 공사에 들어간 지 4개월 만에 인부 몇 명만 나오고 대부분 나오지 않는 사태가 벌어졌다. 알고 보니 돈이 많은 외국인 신부가 공사하니까 공사를 지연시키면 노임을 더 받을 수 있겠다는 욕심에 단체 파업에 들어간 것이었다. 우여곡절 끝에 공사는 재개됐고, 공사 막바지에 자금이 모자라게 되자 교구장 퀸란 주교는 갖고 있던 승용차를 팔아 공사비에 보탰다.
성당 봉헌식을 가진 것은 착공 9개월 만인 1957년 11월 5일이었다. 건평 133평의 성당과 30평의 사제관은 당시 춘천교구에서는 가장 큰 규모였다. 성당 안에 있는 십자가의 길 14처는 퀸란 주교와 친분이 있는 서울의 한 교우가 기증한 것이다. 입체감을 살린 14처는 지금도 외지에서 일부러 사진을 찍으러 올 정도로 작품성이 뛰어나다. 코너스 신부는 성당을 지으면서 “높이 올라갈수록 하느님과 가까워지기에 성당은 무조건 높은 것이 좋다”고 농담처럼 말했다고 한다.
성내동 성당은 1950년대 후반의 지방 건축기술을 잘 보여준다는 점이 높은 점수를 받아 2004년 12월 31일 문화재청으로부터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 제141호로 지정되었다. 대부분 성당이 구내에 들어서자마자 정면의 종탑을 바라볼 수 있는 데 반해 성내동 성당은 후면으로 들어와 성당을 돌아야 종탑이 있는 정면 출입구에 들어서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는 종탑이 성당 입구가 아닌 시내 쪽을 바라보게 함으로써 멀리 있는 사람들도 금방 성당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성내동 성당은 1999년 10월 7일 본당 설립 50주년을 맞아 성당 뒤편에 진 야고보 신부 순교기념비를 건립해 축성식을 거행했다. 2009년 본당 설립 60주년을 준비하면서 삼척시의 지원을 받아 성당 정면에 시내와 연결되는 계단을 만들고, 계단과 시내가 맞닿은 곳에 광장도 조성하였다. 성당 정면 마당 끝에는 시내를 한눈에 내려다보는 예수성심상이 자리하고 있다. 2009년 11월 15일 본당 설정 60주년 기념미사를 봉헌하고, 2010년 6월 15일에는 성당 옆 마당 끝자락에 2009년 12월 2일 준공한 진 야고보 신부 순교 60주년 기념 성삼 교육관에 대한 축복식을 올렸다. 2014년 10월 21일 ‘진 야고보 신부 현양위원회’를 구성해 시복 시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2015년 11월 18일 순교자 진 야고보 신부 흉상을 제작해 축복예식을 거행해 순교사적지로서의 의미를 살려가고 있다.
초대 주임인 진 야고보(James Maggin, 1911-1950) 신부는 1936년 한국에 와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투옥과 연금을 당했고, 해방 뒤에는 홍천 본당 주임을 거쳐 1949년 성내동 성당에 부임하였다. 한국 전쟁이 일어나자 성당을 지키기 위해 피난을 거부하다가 공산군에게 체포되어 1950년 7월 4일 삼척 오십천 변에서 피살되었다. 인근에 가매장되었던 그의 시신은 1951년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성직자 묘역에 안치되었다. 현재 진 야고보 신부는 근현대 신앙의 증인 ‘하느님의 종 홍용호 프란치스코 보르지아 주교와 동료 80위’ 가운데 한 명으로 시복 절차가 진행 중이다. [출처 : 이유림, 한국가톨릭대사전 제7권, 1999년과 가톨릭평화신문 등의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편집(최종수정 2019년 12월 29일)] [전경 사진 출처 : 성내동 성당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