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사전
굿뉴스 통합검색
닫기 X
최근 검색어 내역이 없습니다.
한국 천주교 주소록 검색
로그인을 해주세요.
로그인
성경
성경쓰기
가톨릭 뉴스
소리광장
가톨릭 성인
성지/사적지
가톨릭 성가
시편성가
매일미사
성무일도
성무예절서
기도문
전국/해외한인 본당
MY 성당
생활성가
가정기도 길잡이
가톨릭 교리서
교리서 요약편
바티칸공의회문헌
교회 법전
7성사
가톨릭 사전
전국주보
본당정보
자료실
게시판
가톨릭 갤러리
갤러리1898
가톨릭 주소록
클럽
Cpbc라디오
한국가톨릭대사전(NEW)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대사전(NEW)
대사전(OLD)
전례사전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모든 사전
한국가톨릭대사전(OLD)
전례사전
용어사전
천주교 용어자료집
검색
가톨릭대사전
가경자
한자
可敬者
라틴어
Venerabilis
영어
Venerable
글자크기
시복(諡福) 후보자에게 잠정적으로 주어지는 존칭.
시복
조사가
교황청
예부성성에 접수되면
시복
후보자에게 이 존칭이 주어진다. 한국 교회는 1857년에 처음으로 82명의 가경자를 갖게 되었다. 한국 교회는 <1839년과 1846년에 조선왕국에서 발발한 박해 중에
그리스도
의
신앙
을 위하여
생명
을 바친
순교자
들의 전기…>란 문헌을
교황청
에 보냄으로써
시복
조사가 시작됐는데, 1847년에 이 문헌을 접수한 예부성성은 박해로 인해 한국 교회가
교구
적 차원의
시복
조사를 할 수 없으나 이 문헌 자체가
순교자
를 선정하는 데 매우 엄격했기 때문에 그것으로써
교회법
에서 요구되는
교구
조사를 대치시킬 수 있다고 판단하고, 1857년 9월 23일 한국 교회의
시복
조사를 공식으로 접수하는 법령을 반포하였다. 이로써 82명의 가경자가 탄생하였다. 이 82명의 가경자 중 79명은 1925년에
복자
가 되었고, 1984년에 79명 모두가
시성
되었다. 이어 한국 교회는 1866년
병인박해
의
순교자
중 26명에 대한
시복
조사를 시작했는데, 이 중 24명이 1968년에
복자
가 되고, 1984년에
성인
이 되었다. 이들도
복자
가 되기 전에 잠시 가경자의 칭호를 받았을 것이 확실하지만, 1918년 새
교회법
의 반포로 가경자의 기간이 아주 단축된 이후렸으므로 이들에게 실제로 가경자 기간이 있었는 지조차 알 수 없을 정도이다. 1983년 새
교회법
의 반포와 더불어
시복
·시성의 간소화를 위한
개혁
이 추진중에 있는데, 이
개혁
으로 가경자의 의의가 더욱 약화되고 거의 유명무실해질 것이 확실하다.
이전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