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축일
성경
성지/사적지
굿뉴스 통합검색
닫기 X
최근 검색어 내역이 없습니다.
한국 천주교 주소록 검색
로그인을 해주세요.
로그인
성경
성경쓰기
가톨릭 뉴스
소리광장
가톨릭 성인
성지/사적지
가톨릭 성가
시편성가
매일미사
성무일도
기도문
VADEMECUM
전국/해외한인 본당
MY 성당
생활성가
가정기도 길잡이
가톨릭 교리서
교리서 요약편
바티칸공의회문헌
교회 법전
7성사
가톨릭 사전
전국주보
본당정보
자료실
게시판
가톨릭 갤러리
갤러리1898
가톨릭 주소록
클럽
Cpbc라디오
오늘의성인
내일의성인
성인목록
103위성인
복자124위
앨범
자료실
오늘의성인
내일의성인
성인목록
103위성인
복자124위
앨범
자료실
성인 검색
축일 :
1
2
3
4
5
6
7
8
9
10
11
12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일
구분 :
ALL
성인
성녀
복자
복녀
천사
이름 :
지명 :
고데프리도(11.8)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성인 고데프리도 (Godfrey)
성인 기본정보
축일
11월 8일
신분
주교
활동지역
아미앵(Amiens)
활동연도
+1115년
성 고데프리두스(Godefridus, 또는 고데프리도)는 1066년경 프랑스의 수아송(Soissons) 교구에 속한 물랭쿠르(Moulincourt)에서 귀족 가문의 셋째 아이로 태어났다. 그가 다섯 살 때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후 아버지는 수도 생활에 들어가기로 결심했다. 그래서 성 고데프리도는 어린 나이에 수아송의 주교로 있던 삼촌에게 맡겨졌다. 삼촌은 그의 교육을 위해 몽생캉탱(Mont Saint-Quentin)의 베네딕토회 수도원으로 그를 보냈는데, 그는 그곳에서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수도승의 길을 걷게 되었다. 25살 때 누아용(Noyon)의 주교로부터 사제품을 받고, 1096년에 샹파뉴(Champagne)의 노장수쿠시(Nogent-sous-Coucy) 성모 수도원의 원장이 되었다. 그는 다 무너져가는 수도원을 다시 세우고 순례자를 위한 숙소도 마련했으며, 무엇보다 수도원 규칙을 바로 세워 공동체를 크게 성장시켰다.
1104년 그는 자신의 의지와는 달리 아미앵의 주교로 선출되었다. 그는 순례자 복장을 하고 도시에 입성하여 겸손과 침묵의 삶을 살며 엄격한 금욕생활을 실천했다. 그는 종종 자신의 식탁에 가난한 사람들을 초대해 함께 음식을 나누었다. 또한 귀족들에게 가난을 권유하며 호화롭고 과시적인 옷차림으로 미사에 참례하는 것을 자제하도록 했다. 또한 교구의 규율을 바로잡고자 성직자들의 독신제도를 강화하고 성직 매매를 엄금하였다. 그는 아미앵의 백성들이 봉건 영주의 멍에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공동체를 만들고자 할 때 늘 백성의 편에 서서 그들을 지지했지만, 그로 인해 봉건 영주들과 갈등을 빚고 미움의 대상이 되었다. 결국 그는 교구장 직책을 떠나 병약한 몸으로 수아송의 생크레팽(Saint-Grepin) 수도원으로 은퇴하였다. 그리고 그곳에서 1115년 11월 8일 선종하였다.
옛 “로마 순교록”은 11월 8일 목록에서 프랑스의 수아송에 아미앵의 주교이자 위대한 성덕을 지닌 성 고데프리도가 있었다고 전해주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도 같은 날 목록에서 프랑스의 수아송에서 아미앵의 주교였던 성 고데프리도가 선종했는데, 그는 5년간 수도 생활을 했었고 도시의 영주와 주민 사이의 불화를 조정하고 성직자와 평민의 관습을 개혁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기록하였다. 성 고데프리도는 성 고도프레도(Godofredus, 또는 고도프레도)라고도 불리는데, 프랑스에서는 성 조프루아(Geoffroy)라고 부른다.♣
참고자료
김정진 편역, 가톨릭 성인전(상) - '성 고도프레도 주교',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년, 68-70쪽.
리스트
사진/그림
더보기
아미앵의 성 고데프리도
아미앵의 성 고데프리도
아미앵의 성 고데프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