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축일
성경
성지/사적지
굿뉴스 통합검색
닫기 X
최근 검색어 내역이 없습니다.
한국 천주교 주소록 검색
로그인을 해주세요.
로그인
성경
성경쓰기
가톨릭 뉴스
소리광장
가톨릭 성인
성지/사적지
가톨릭 성가
시편성가
매일미사
성무일도
기도문
VADEMECUM
전국/해외한인 본당
MY 성당
생활성가
가정기도 길잡이
가톨릭 교리서
교리서 요약편
바티칸공의회문헌
교회 법전
7성사
가톨릭 사전
전국주보
본당정보
자료실
게시판
가톨릭 갤러리
갤러리1898
가톨릭 주소록
클럽
Cpbc라디오
오늘의성인
내일의성인
성인목록
103위성인
복자124위
앨범
자료실
오늘의성인
내일의성인
성인목록
103위성인
복자124위
앨범
자료실
성인 검색
축일 :
1
2
3
4
5
6
7
8
9
10
11
12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일
구분 :
ALL
성인
성녀
복자
복녀
천사
이름 :
지명 :
바울리노(8.31)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성인 바울리노 (Paulinus)
성인 기본정보
축일
8월 31일
신분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트리어(Trier)
활동연도
+358년
성 파울리누스(또는 바울리노)는 300년경 프랑스 남서부 아키텐(Aquitaine)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푸아티에(Poitiers)의 주교좌성당 신학원에서 교육을 받고 트리어의 성 막시미노(Maximinus, 5월 29일)의 제자가 되었다. 그는 성 막시미노에게 사제품을 받고 346년경 스승을 계승하여 트리어의 주교가 되었다. 335년 알렉산드리아의 성 아타나시오(Athanasius, 5월 2일) 주교가 아리우스주의(Arianismus)를 지지하던 멜레티우스(Meletius) 이단과 맞서다가 독일 남서부 트리어로 1차 유배를 왔을 때, 당시 사제였던 성 바울리노는 그의 최고 지지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그는 트리어의 주교가 된 후에도 아리우스파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성 바울리노는 로마(Roma)와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교회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아리우스 이단에 맞서 싸웠다.
아리우스주의자인 동로마 제국의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337~361년 재위)가 350년 동로마와 서로마 제국의 유일한 황제가 된 후 353년에 아를(Arles)에서 그리고 355년에 밀라노(Milano)에서 교회 회의를 개최하였다. 여기서 황제는 성 아타나시오를 단죄하는 초안에 주교들의 서명을 강요하며, 이에 응하지 않는 주교를 추방하겠다는 칙서를 발표했다. 성 바울리노는 아를 지역 공의회에서 성 아타나시오를 비난하는데 참여하기를 거부한 유일한 주교였다. 그로 인해 성 바울리노는 오늘날 튀르키예에 속한 프리기아(Phrygia, 고대 소아시아 중서부 지역)로 추방당했다. 그는 유배지에서 5년 동안 극심한 고통을 겪은 후 358년 8월 31일 선종하였다. 그는 비록 자연사했지만 정통 교리와 신앙을 지키기 위해 추방과 유배의 고통을 마다하지 않았기에 신앙의 증거자이자 순교자로서 공경을 받고 있다.
그의 유해는 4세기 말에 트리어의 성 펠릭스(Felix, 3월 26일) 주교가 트리어로 모셔와 그의 이름으로 봉헌된 성 바울리노 성당 묘지에 안장하였다. 가톨릭교회와 동방교회 모두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 그의 죽음에 대해 옛 “로마 순교록”과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 모두 8월 31일 목록에서 순교로 기록하였다. 즉, 트리어의 주교로서 아리우스파 황제인 콘스탄티우스가 소집한 아를 교회 회의에서 성 아타나시오를 비난하거나 올바른 신앙을 포기하라는 그 어떤 위협이나 유혹에도 굴복하지 않고 프리기아로 추방되어 유배지에서 5년을 보내고 주님으로부터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다고 적었다. 알렉산드리아의 성 아타나시오는 성 바울리노를 ‘참으로 사도적인 사람’이라 했고, 성 예로니모(Hieronymus, 9월 30일)는 그를 ‘신앙을 위해 고통을 즐겨 받은 사람’이라고 격찬하였다.♣
리스트
사진/그림
더보기
황제의 칙서에 서명을 거부하는 트리어의 성 바울리노
트리어의 성 바울리노
트리어의 성 바울리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