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을 해주세요.

로그인
닫기
교구/주교회의 > 교구종합
가톨릭평화신문 2019.02.20 등록
크게 원래대로 작게
글자크기
3ㆍ1절 정오 전국 성당·사찰 타종… 국민 공감대 형성해야 참 평화 가능
주교회의 의장 김희중 대주교, 3ㆍ1 운동 100주년 기자간담회
▲ 남북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2019년 금강산 새해맞이 연대 모임 참가자들이 13일 오전 해금강에서 해맞이 행사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주교회의 교회일치와 종교간대화위원회 제공



"3ㆍ1 운동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선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힘써야 합니다. 국민 각자가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면 자신의 평화뿐 아니라 사회 공동체의 평화, 나아가 남북 평화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주교회의 의장 김희중 대주교는 16일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3ㆍ1 운동 100주년을 맞는 소회를 이같이 밝혔다.

김 대주교는 "3ㆍ1 만세 운동이 들불처럼 번지게 된 것은 민초들의 의병활동과 독립운동 등이 뒷받침되었기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비록 33인 민족 대표가 독립선언문을 서명ㆍ발표했지만 전 국민적인 공감대가 없었다면 3·1 운동의 확산은 불가능했다는 것이다.

김 대주교는 "11일 가진 3ㆍ1 운동 100주년 기념 대표자 간담회에서 모든 성당과 교회, 사찰에서 3ㆍ1절 정오에 3분 동안 일제히 타종하기로 한 것도 3ㆍ1 운동 당시 모든 국민의 열망이 함성으로 드러난 것을 재연하자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김 대주교는 그러면서 독립운동 전후 역사를 보면 천주교 신자들도 많이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고 소개했다. 안중근(토마스) 의사와 안 의사 동생 공근(요한)ㆍ정근(치릴로), 서간도에서 의병을 조직하고 독립군에게 자금을 제공한 수많은 평신도, 특히 자선과 교육사업을 실천하며 국채보상운동을 이끈 서상돈(아우구스티노) 선생, 제주지역 3·1 운동에 앞장섰던 최정숙 (베아트리체) 교육감 등을 그 대표적인 예로 들었다.

교회사학자인 김 대주교는 일제강점기와 5ㆍ18 역사 왜곡이 끊이지 않고 있는 데 대해 "잘못에 대한 철저한 자기 반성과 그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는 사회가 될 때 이러한 반역사적인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김 대주교는 한국종교인평화회의 대표회장으로 지난 12~13일 금강산 일대에서 열린 남북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2019 새해맞이 연대 모임에 참가해 "염수정 추기경을 비롯한 주교들의 평양 방문 계획을 세울 것을 북측에 제안했다"고 밝혔다. 또한, 북측 인사들에게 "핵 폐기 혹은 핵무기 감축을 하는 데 있어 국제사회가 공평해야 한다는 것이 교황청의 기본 자세이며, 교황과 북측의 생각이 다르지 않다는 점을 설명했다"고 소개했다. 이는 "북측이 프란치스코 교황을 초청하게 된다면 어떤 결과를 가져다줄지를 염두에 두고 한 발언"이라고 김 대주교는 덧붙였다.

아울러 "아무리 국제사회가 우리를 돕는다더라도 당사자들이 준비돼 있지 않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며 "그러기 위해선 남북 당사자들이 신뢰를 깨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북측 인사들에게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남북 공동선언 합의를 충실히 이행하기 위한 민간 차원의 남북 공동행사가 열린 것은 2008년 6월 공동행사 이후 11년 만이다.

윤재선 기자 leoyun@cp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