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약] 묵시사회를 살아가는 신앙인: 재앙의 정체(묵시 9,1-12)
-
7665 주호식 [jpatrick] 스크랩 2024-12-16
-
[묵시사회를 살아가는 신앙인] 재앙의 정체(묵시 9,1-12)
하늘에서 시작된 재앙의 다섯 번째는 ‘떨어진 별’의 등장으로 시작한다. 흔히 타락한 천사로 해석되거나 사탄이나 악마로 여겨지는 게 ‘떨어진 별’이다. 그 별에게 구렁의 열쇠가 ‘주어졌다.’ 별이 열쇠를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누군가 열쇠를 별에게 주었다. 학자들은 이런 수동태 형식을 ‘신적 수동태’라 부른다. 요한 묵시록은 악의 세력이 휘두르는 힘을 묘사하기 위해 대부분 신적 수동태의 형식을 빌려온다. 요한 묵시록의 악은 힘이 있어도 얼마 안가서 사라져 버리거나 무너져 버린다. 악은 그렇게 무능력하다. 달리 말하자면, 참된 권능과 능력을 소유하신 분은 오직 하느님이셔서 악은 하느님과 동등하거나 하느님을 대적할 힘 따위는 지니지 못한다는 것이다. 요컨대, 모든 권능은 하느님으로부터 나온다는 신념이 ‘신적 수동태’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만약 이렇다면, 하느님은 기쁨, 행복, 성공, 그리고 정의, 진리, 평화 등등의 단어들 틈에서만 사유되어서는 안된다. 재앙, 고통, 불행, 나아가 사탄과 악마의 틈바구니 안에서도 그분의 섭리에 대해 우리는 묻고 답해야 한다. 요한 묵시록의 재앙은 그러므로, 사탄이나 악마의 폭력이나 그것들에 대한 두려움을 논하는 자리가 아니라 하느님의 뜻을 다시 되새기는 메타포가 된다.
별이 구렁을 연다. 거기서 큰 용광로의 연기같은 것이 올라온다. 이 연기는 모든 것을 어둡게 만든다. 연기는 모든 것을 집어 삼켜 혼돈으로 만든다. 하느님이 세상을 만드시기 전, 그러니까 아직 질서가 잡히지 않은 혼돈의 상황과 정확히 일치하는 장면 서술이다.(창세 1,2 참조) 하느님의 손길이 빚어내는 모든 ‘있음’ 이전에 어둠이 있었다. ‘어둠’은 ‘없음’과 같다. 떨어진 별로 시작하는 재앙의 서사는 있는 것 같으나 실은 없는 것들의 이야기다. 없는 것들을 아무리 자세히, 기묘하게 묘사한들, 그것은 사탄과 악마를 그려내는 ‘수동태’의 힘처럼 하느님 앞에선 부질없는 것들일 뿐이다.
부질없는 것들은 메뚜기, 땅의 전갈과 같은 것들로 분화하여 서술된다. 이것들의 폭력은 땅의 풀과 푸성귀, 나무로 대변되는 ‘자연’도 아니고 하느님을 모시고 살아가는 믿는 이들도 아닌, '하느님의 인장이 찍히지 않은 사람’들을 향한다. 단번에, 그리고 습관적으로 우리는 이렇게 해석해 버릴 것이다. 요한 묵시록의 재앙은 하느님과 어린양이신 예수님을 따르지 않는 나쁜 이들을 향한 경고라고. 그러나 이런 선악 구도의 결과론적 징벌이 요한 묵시록의 재앙이라면 굳이 하느님과 어린양까지 언급하며 심판을 논할 필요가 있을까. 나쁜 일에 공분을, 선한 일에 기쁨을 지니는 건 인간 일반의 현상이므로.
우리의 이야기는 5절부터 재앙에 대한 자신의 논리를 차근차근 펼쳐 나간다. 다섯 달, 한계가 명확한 그 다섯 달 동안 하느님의 인장이 찍히지 않은 이들은 재앙의 희생자가 된다. 그사람들은 죽는 게 아니다. 메뚜기로부터 괴롭힘을 당할 뿐이다. 그러나 그 고통이 얼마나 대단했으면 사람들은 죽기를 바란다. 한낱 메뚜기가 사는 시간이 다섯 달이고, 신약 성경은 ‘다섯’을 ‘몇 안되는 것들’을 가리킬 때 사용하기도 했다.(1코린 14,19; 루카 12,6; 마태 25,2 참조) 그렇게 허무한 다섯 달인데, 그 짧은 시간을 버틸 재간이 사람들에겐 없다. 도대체 무엇이 사람들을 이토록 힘들게 만드는 것일까. 메뚜기, 그것이 그렇게 두렵고 무서운 존재인가.
이제 메뚜기를 적확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람들을 해치는 메뚜기는 그야말로 전투에 임하는 장수와 같다. 종말의 위기를 다루는 요엘서의 서술과 흡사하여(요엘 2,4 이하 참조) 메뚜기를 종말론적 형상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메뚜기의 서술은 허망하다. 메뚜기에 관한 모든 서술은 실재하지 않는, ‘~같은 것’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금관 같은 것’, ‘머리털 같은 것’, ‘사자 이빨 같은 것’, ‘마차들의 소리 같은 것’, ‘전갈 같은 것’. 이런저런 같은 것들’은 실은 무엇 하나라도 제대로 인식될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마치 9장이 시작될 때 구렁에서 나온 연기와 같다. 모든 것을 어둠 속에 집어삼켜 무엇 하나라도 제 본연의 모습을 뚜렷이 드러나지 못하게 만드는 연기 말이다. 금관이든, 사자 이빨이든, 떠들썩한 마차 소리든, 모든 것은 메뚜기를 향하지만 메뚜기를 비켜가서 메뚜기가 도대체 무엇인지 모호하게 만든다. 그러니 메뚜기는 히브리 말로 ‘아바똔’, 그리스말로 ‘아폴리온’이라 부르는 ‘지하의 천사’(우리말 번역은 ‘지하의 사자’로 되어 있다.)를 임금으로 모실 수밖에. ‘아바똔’은 ‘파멸의 공간’이란 뚯이고, ‘아폴리온’은 파괴자란 뜻이다. 두 단어 모두 생명에 반하는 ‘죽음’을 가리키기도 한다.
메뚜기를 소재로 서술된 재앙과 고통의 끝이 죽음이라니. 전투사의 모습으로 꾸며진 메뚜기가 전투 한번 해 보지 않은 채, 죽음의 메타포 ‘지하의 천사’를 제 임금으로 섬겨 버렸으니, 잔뜩 긴장한 채, 이를 깨물며 재앙과 고통의 끝을 탐험하고 그 정체를 묻는 우리의 읽기는 허무하다. 그럼에도 우리가 건질 것은 명확하다. 죽음은 대결과 극복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 다섯 달로 한계 지워진 시간, 사람들이 그토록 죽고 싶어 하는 그 시간의 주인공 메뚜기는 사람들을 해치고 죽일만큼 대단한 힘이 없다는 것. 모든 재앙의 끝은 죽음을 향하고 있어 재앙은 그렇게 허무하다는 것.
재앙과 고통의 끝에서야, 그 허무함의 민낯이 드러난 후에야 우리는 비로소 하나의 희망을 발견할지 모른다. 하느님의 인장이 찍히지 않은 그 사람들에게조차 죽음 같은 재앙은 징벌이 아니라는 희망 말이다. 견디기 힘든 순간을 맞닥뜨릴 때마다 사람들은 자신의 못남을 탓하며 죄책감에 빠질 때가 많다. ‘내가 부족해서 그런 일이 벌어졌어’, ‘나는 늘 왜 이럴까’ 하는 좌절과 패배의 소용돌이, 그 안에서 우리는 죽을 것 같은 고통을 겪겠지만 우린 다시 한번 그 고통의 정체에 대해 최대한 섬세하게 물어야 한다. 그 고통의 끝은 아무것도 아니다. 그것은 허무한 두려움이 아닐까. 우리가 겪는 모든 고통은 우리의 부족함 때문이 아니라, 고통에 주눅들어 미리 단정짓고 후회하는 우리의 두려움 때문이 아닐까.
요한 묵시록이 정겨운 건, 유다의 묵시문학들처럼 달콤하고 화려하며 그래서 언제든 달려들어 경배하고자 하는 것들로 독자들을 현혹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삶은 하느님께서 우리 편이어서 살아가는 데 안녕과 평화만 존재할 수 없는, 그리하여 삶은 죽도록 고생하고 죽고 싶을만큼 힘든 일을 끝내 허락하기 마련이다. 그때 비로소, 요한 묵시록의 재앙은 우리에게 이렇게 속삭인다. 삶이 아름답고 고귀한 건, 기쁘고 행복한 것들을 찾아내어서가 아니라 허무한 것에 저항하며 끝끝내 살아 내려는 생명에 대한 의지와 열정과 노력 때문이라는 것. 우린 그런 삶을 하느님과 함께 살아 내고 있다. 그러므로 고통에 대한 공부는 우리 삶의 여정 안에 여전히 남아 있다. “첫째 불행이 지나갔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두 가지 불행이 더 닥칠 것입니다.”(묵시 9,12)
[월간 빛, 2024년 12월호, 박병규 요한보스코 신부(월간 <빛> 편집주간 겸 교구 문화홍보국장)]
-
추천 0
-
- [성경용어] ‘심장/염통(心臟, heart)’과 ‘마음(mind)’의 커다란 차이점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졸고들
-
7667
소순태
2024-12-17
-
-
- [신약] 마르코와 함께 떠나는 복음 여행: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선포하여라(마르 16,15)
-
7666
주호식
2024-12-16
-
-
- [신약] 묵시사회를 살아가는 신앙인: 재앙의 정체(묵시 9,1-12)
-
7665
주호식
2024-12-16
-
-
- [성경용어] 다해 대림 제3주일 전례성경 공부/묵상 동영상 자료
-
7661
소순태
2024-12-14
-
-
- [성경용어]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12월 8일) 전례성경 공부/묵상
-
7660
소순태
2024-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