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경] 성지에서 만나는 성경 말씀: 구원의 희망
-
7805 주호식 [jpatrick] 스크랩 2025-01-30
-
[성지에서 만나는 성경 말씀] 구원의 희망
이스라엘에 가면, 우리말 성경과 구성이 다른 히브리어 성경을 접하게 됩니다. 우리말 구약성경은 「말라키서」로 끝나지만, 히브리어 성경은 「역대기」가 마지막입니다. 우리는 구세사의 흐름에 따라 구약성경을 오경, 역사서, 시서와 지혜서, 예언서로 나누고, 예언서에서 예고한 메시아를 신약성경에서 증언하는 형태입니다. 그에 비해 유다교에서는 오경(토라)이 가장 신성한 권위를 지니고, 예언서는 토라를 해석합니다. 그리고 성문서는 오경과 예언서를 해석한다는 의미로 마지막에 위치합니다. 이 성문서의 마지막 책이 「역대기」입니다.
「역대기」는 오늘 제1독서인 느헤 8장의 시대적 배경과 밀접하게 연관된 책입니다. 「느헤미야기」는 이스라엘이 바빌론 유배 뒤 귀향하여 예루살렘 재건을 시작하던 당시의 이야기를 전하는데, 「역대기」의 저작 시기도 유배 이후입니다. 특히 「역대기」는 페르시아 임금 키루스의 칙령으로 끝납니다: “주님께서는 예레미야의 입을 통하여 하신 말씀을 이루시려고, 페르시아 임금 키루스의 마음을 움직이셨다. 그리하여 키루스는 온 나라에 어명을 내리고 칙서도 반포하였다. ‘··· 하느님께서 세상의 모든 나라를 나에게 주셨다. 그리고 유다의 예루살렘에 당신을 위한 집을 지을 임무를 나에게 맡기셨다. ··· 그들을 올라가게 하여라’”(2역대 36,22-23). 곧 히브리어 성경은 페르시아 임금의 칙령으로 유다인들이 귀향하고, 성전 재건도 허락되는 내용으로 끝나는 구조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 대목을 전체 성경의 마지막에 두었을까요?
이는 구약성경의 정경화 작업이 마무리되던 기원후 1세기의 상황과 관계됩니다. 기원후 66년 열혈당원들이 로마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이를 진압하던 로마 장군 티투스는 유다인들의 명예이자 자랑인 성전을 파괴합니다. 우리 민족 역사에서, 일본군이 쳐들어와 명성황후를 시해한 상황과 비슷하게 상상할 수 있겠습니다. 이런 암울함 속에서 백성이 절망하지 않도록, 역사는 되풀이된다고 알려주고자 한 것입니다. 유다 왕국은 기원전 6세기에도 바빌론에 무너진 적이 있습니다. 솔로몬이 봉헌한 제1성전도 파괴되고, 많은 백성이 바빌론으로 끌려갔습니다. 하지만 유다 왕국을 멸망시킨 대제국 바빌론은 이후 페르시아의 키루스 임금에게 정복당합니다. 키루스 임금은 바빌론에 끌려온 이스라엘과 여러 소수 민족에게 고향으로 돌아가 저마다 자기 신을 섬기고 신전도 지으라고 허가합니다. 히브리어 성경을 최종 편집한 사람은 이런 메시지를 전하려 하였습니다. 대제국 바빌론도 주님의 계획 아래 무너졌으니, 제2성전과 관련해서도 구원 사건이 일어나리라는 것입니다. 로마 역시 때가 되면 권세를 잃고, 이스라엘은 구원받으리라는 희망입니다. 역대기의 마지막 구절에는 “그들을 올라가게 하여라.”라는 키루스의 명령이 나오는데요, 이는 이집트 탈출기의 언어를 떠올리게 합니다(탈출 13,18; 33,1 등). 곧 과거에 주님께서 이집트 탈출을 이끄셨듯이, 이번에도 이스라엘 백성을 로마 종살이에서 해방해 주시리라는 메시지입니다. 히브리어 성경은 바로 이런 목적에서 역대기를 마지막에 배치해, 어떤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말 것을 당부합니다.
* 김명숙 소피아 -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박사, 광주가톨릭대학교 구약학 교수, 전 한님성서연구소 수석연구원. 저서 「에제키엘서」 「예레미야서 1-25장」 「예레미야서 26-52장」 「구세사 산책: 에덴에서 약속의 땅까지」
[2025년 1월 26일(다해) 연중 제3주일(하느님의 말씀 주일, 해외 원조 주일) 의정부주보 2면, 김명숙 소피아]
-
추천 0
-
- [신약] 묵시록으로 읽는 믿음과 삶5: 예언의 말씀을 지키는 일(묵시 1,3)
-
7807
주호식
2025-01-30
-
-
- [신약] 성경 속 인물57: 믿음으로 예수님께 치유받은 나병환자
-
7806
주호식
2025-01-30
-
-
- [성경] 성지에서 만나는 성경 말씀: 구원의 희망
-
7805
주호식
2025-01-30
-
-
- [성경용어] 사도가 아닌 루카 복음서의 인간 저자인 루카는 누구인가; 루카 복음서 입문
-
7803
소순태
2025-01-30
-
-
- [성경용어] 루카 복음서 및 사도행전의 저술 연대에 대한 교황청 성서위원회 교령
-
7802
소순태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