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을 해주세요.

로그인
닫기
성경자료
크게 원래대로 작게
글자크기
[성경용어]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 다해 연중 제16주일 전례성경 공부/묵상

8429 소순태 [sunsoh] 스크랩 2025-07-27

+ 찬미 예수님!


1. (제1항) 다음의 바로가기... 에 접속하면, 위의 제목의 전례성경 공부/묵상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을 활용하여 필요시 언제든지  이 동영상 중의 콘텐츠들을 손쉽게 엑세스 할 수 있습니다[저작권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스마트폰용]

다해 연중 제16주일 전례성경 공부/묵상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으로 바로가기... <----- 여기!

 

[PC 혹은 노트북용]

다해 연중 제16주일 전례성경 공부/묵상 동영상 세부 내용 목록으로 바로가기... <----- 여기!

 

[더 상세한 세부 내용 목록] 

오늘의 전례성경 묵상 동영상에서 교재 본문 중의 특정 주제(topics)들에 대한 추가 설명들이 주어지고 있는 부분들:

 

* 시작 기도 및 복습 안내: 00:00-00:59-01:07

* 오늘의 독서들에서 발췌된 바들: 01:07-

* [꼭필청] 루카 복음서 10:38-42에서 '필요한 것은 한가지뿐이다???' 번역 오류: 01:48-03:40; 11:31-19:14; 23:56-27:09; 45:39-47:15; 49:04-49:41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contemplative_life_2576.htm <----- 여기!   

* 그리스도의 환난에서 모자란 부분???(콜로새서 1,24); '객관적 구속'(예수님의 몫)과 '주관적 구속'(그리스도교 신자 각자의 몫)의 커다란 차이점: 03:40-04:55; 20:01-21:34; 50:22-01:01:44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redemption_objective_vs_subjective_2576.htm <----- 여기!   

* 오늘의 독서들의 주제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03:40-04:55

* 오늘의 독서들의 주제: 환대: 04:55-07:38

* 오늘의 성경/교리 용어들: 07:49-29:32

* 모세 오경의 첫 번째 책의 이름 '창세기'에서 잘못 명명된 '창세'의 출처와 기원 - 'genesis'(생성)의 번역 오류인 '창세'는 개신교회 측 선교사 로버트 모리슨이 1823년경에 처음으로 도입하였을 것이다: 07:49-10:58; 29:35-30:04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genesis_2576.htm <----- 여기!   

* Saint Joseph 판 New American  Bible(NAB, 1970년)[주: 굿뉴스 제공의 영어 성경임.]의 앞부분에 있는 참고 자료들 안내: 10:58-11:31
%%%%%%%%%%

* (#) [꼭필청] 다해 연중 제16주일 복음 말씀인 루카 복음서 10,38-42트리엔트 전례력에서, 1950년에 이르기까지매년 동정 마리아 몽소승천 첨례일(8월 15일) 복음 말씀으로 미사 중에 봉독되었다; 매년 동일한 트리엔트 전례력 안내; 1969년부터 사용 중인 3년 주기의 주일 전례력 및 2년 주기의 주간 전례력 안내; 쿠플레 신부님의 '영첨례표' 안내; 1872년에 일왕 명치가 도입한, '명치유신'의 근간을 이루는, '요일' 접미사가 붙은 일본 달력 안내; 청나라 말기에 손문이 도입한 중국 달력 안내 등: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루카복음서10_38-42_in_트리엔트_전례력_안내_2576.htm <----- 여기!!

%%%%%%%%%%

* (#) [꼭필청요망A][꼭필독] 지금까지도 조선반도/한반도에서 사용 중인, '요일' 접미사를 사용하는, '명치유신'의 근간을 이루는 달력은, 일왕 명치가 자신의 통치력을 뻗치려고 1872년에 처음으로 도입한, 일왕(日王)을 말과 행동으로 통치하는 살아있는 신(神, god)으로 흠숭하는 신사신도(神社神道) 기반 통치체제의 근간인, 일본식 달력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요일-_접미사를_사용하는_지금의_달력은_일왕(日王)을_말과_행동으로_통치하는_살아있는_신(神)으로_흠숭하는_신사신도(神社神道)_기반_통치체제의_근간인_1872년에_일본에_처음_도입된_일본식_달력이다_2576.htm  <----- 여기!!

또한,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84.htm <----- 꼭 필청/필독 권고 

[본 졸고의 원 제목:  한 주의 일곱 날들을 나타내는 일,월,화,수,목,금,토, 일곱 曜日(요일) 용어들은 1872년(명치5년) 이전 일본에서 처음으로 도입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
* 사마리아인들과 유다인들 사이의 매우 나쁜 관계는 언제 구체적으로 시작되었을까?: 19:14-19:41; 42:36-43:09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Samaritans_2576.htm <----- 여기!   

* 예수님과 함께 파스카 식사의 네 번째 잔은 언제?: 19:41-20:01; 50:24-51:54-52:48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when_4th_cup_with_Jesus_2576.htm <----- 여기!   

* 콜로새서 1,24: '그리스도의 환난에서 모자란 부분을 ... 내 육신으로 채우고 있습니다' 에 대한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교황 교서 '구원에 이르는 고통'; 한스 우르 폰 발타살(Hans Urs von Balthasar) 추기경님: 21:34-22:49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Salvifici_doloris_2576.htm <----- 여기!   

* [꼭필청][꼭필독] 'glorious'에 대응하는 번역 용어 '영광스럽다'매우 심각한 번역 오류: 22:49-23:56; 01:03:28-01:04:10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glory_2576.htm <----- 여기!   

* '거룩함', 즉, '애덕의 완미'; '성덕' 등의 용어들의 의미; 완미(perfection)와 완전(completeness)의 커다란 차이점; '애덕의 완미'에 도달하기 위한 충분 조건 한 개는 성경 본문 어디에 있을까?: 23:56-27:09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holiness_sanctitas_2576.htm <----- 여기!   

* '하느님, 나, 그리고 너'로 구성된 3자들 사이의 윤리적 처신에 있어 인과 관계를 기술하는 표현들 중의 하나가 바로 'so that ... may/might ...'이다: 27:09-29:04; 01:06:14-01:06:56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so_rhat_may_2576.htm <----- 여기!   

* 창세기 18,1-10ㄱ 및 루카 복음서 10,38-42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 29:04-29:26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나바르_성경_주석서_창세기18_1-10_및_루카10_38-42_2576.htm <----- 여기!   

* 오늘의 제1독서 입문: 창세기 입문; 창세기 11장까지는 고고학적 근거 유물들을 찾아 낼 수 없을 것이다: 29:32-33:53

'credere Deum'(신천주), 'credere Deo'(신뢰천주), 'credere in Deum'(신앙천주): 32:22-33:28

* 마므레(창세 18,1)헤브론 근처 지역; 이후에 유다 부족의 본거지(참조: 2사무엘 2,1-7)가 되는 헤브론 소재 동굴 무덤: 33:28-35:32

* 번역 용어 '나리'(Sir)[일상의 예의를 갖춘 존징]: 36:19-37:31

* 중동 지역의 한 여름 낮 기온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내내, 섭씨 50도 혹은 그 이상이 보통이다: 37:31-39:56

* '엉긴 젖'; 지난 주일의 제1독서내용 연결이 되고 있다: 39:56-40:59-42:36

* 오늘의 복음 말씀 입문: 42:36-43:59

%%%%%%%%%%

* (#) 신약 성경 중의 7명의 마리아들은 어떻게 구별될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신약_성경_중의_7명의_마리아들의_나열_2576.htm <----- 여기!!

또한,

http://pds.catholic.or.kr/Archives/300/1/gnattboard/2839/61/나해주님수난성지주일.mp4 <----- 여기 클릭 후, 신약 성경에 등장하는 7명의 마리아들의 나열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01:19:54-01:20:46 동안 필청 및 화면 필독 권고
%%%%%%%%%%

* (#) 우리는 기도 중에 무엇을, 어떤 것을, 하느님께 청하여야 할까?; 예를 들어, 카나의 혼인 잔치에서 성모님께서, 당신의 친자이신 그리고 강생하신 주님이신, 예수님께 어떻게 청하셨는지를 잊지 말라; 예를 들어, 수능 시험을 치르는 자녀의 어머니의 기도는 어떠한 내용의 기도이어야 할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무엇을_기도_중에_청하여야_할까_2576.htm <----- 여기!!

%%%%%%%%%%

* 미사의 전반부인 '말씀 전례'만이 우리들의 성화를 위하여 오로지 필요한 것아니다: 49:03-49:43

* 오늘의 제2독서 입문: '그리스도의 복음'의 선포에 있어 성 바오로의 역할: 49:43-50:22

* 콜로새서 1,24를 인용하는 성 아우구스티노의 강론: 52:48-54:04

%%%%%%%%%%

* (#) [꼭필청][꼭필똑] 콜로새서 1,24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양질의 해설[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ot_23_mon.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콜로새1_24에_대한_나바르_성경_주석서의_좋은_해설_2576.htm <----- 여기!!
%%%%%%%%%%

* '이방인들의 사도'이라고 불리는 성 바오로는, 부활 후 승천하신 예수님에 의하여'교회의 일꾼'으로 선택되었던 것이다: 01:01:46-01:03:28-01:04:13

* 그리스도의 신비에 대한 언급: 01:03:28-01:04:13-01:06:14

* 콜로새서 1,28 본문 중의 '그리스도 안에서'는 곧 '그리스도의 사랑(의 행위) 안에서'를 말한다: 01:06:14-01:07:24; 01:09:22-01:10:30

* 오늘의 3분 복음/교리 묵상: CCCC_541CCCC_542: 01:07:24-01:10:30

* 마침 기도: 01:10:30-01:10:53-01:11:06

 

2. (제2항)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341.htm <----- 필히 시청 요망

 

"KF94 마스크 미착용, 착용 시의 커다란 차이점을 잘 보여주는 실험 동영상들 - 오미크론 출현 이전인 2021년 10월 14일에 확보한 자료들임" 제목의 졸글에 추가된 중요한 방역 수칙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1: 위의 주소에 있는 글은, 예를 들어, 그 내용 보강(각주들의 추가 포함)이 추후에도 이루어지는 등, 저작권자에 의한 글의 지속적인 관리상의 문제로, 이곳에 본문을 게시하는 대신에 다음의 주소에 있는 한 군데의 장소로 독자들께서 직접 접속하여 읽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이 점을 널리 이해해 주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 제목, 내용 검색으로 다른 졸글들 찾아 읽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0 9 0

추천  0

TAG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로그인후 등록 가능합니다.

0 / 500

이미지첨부 등록

더보기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