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목/복음/말씀 > 복음생각/생활

사랑의 행위는 인격적 자기완성 지향
[청년들을 위한 생명 지킴 안내서](14)

?????
제5장 그대만을 영원히
학습 목표
사랑의 행위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인격적 자기완성임을 알게 하고, 이는 혼인으로 결합한 부부의 진정한 사랑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깨닫게 한다.
도입
누군가를 인격적인 사람이라고 말할 때 그의 인격은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요? 인간관계에서 누군가의 인격은 그의 말과 행동을 통하여 드러납니다. 사람의 말과 행동에는 그의 생각과 의지 그리고 마음이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누군가를 인격적이라고 말할 때 성적인 요소는 빼고 그 사람을 인격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인격적이라는 말을 사용할 때는 그 사람의 인간적 특성 전체를 포함하기에 성적인 요소도 반드시 포함됩니다. 그렇기에 성적인 행동 또한 그 사람의 인격을 드러내는 요소입니다.
성적인 행동에는 직접적인 성적 행동도 있고, 성적인 행위와 연관된 행동도 있으며, 성적인 행위처럼 보이지 않음에도 성적인 행위의 의미와 가치를 보여 주는 행동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로 포옹하거나, 손등과 이마에 입을 맞추거나, 가벼운 키스를 하는 것이 그것입니다. 또한 성적 자극으로 애무하고 성교를 하기도 합니다. 다른 한편 사랑하는 마음으로 성교를 원하지만, 상대방의 의사를 존중해서 멈추기도 합니다. 반대로 원하지 않지만, 상대방의 의사를 존중해서 받아들이기도 합니다. 이 모든 것은 사랑의 행동입니다. 그리고 사랑의 결과로 이어지는 임신과 출산도 사랑의 행동입니다. 사람은 사랑으로 말미암은 성적 행동을 통해서 인격적 일치를 지향하는 동시에 고유하게 현존하며, 나아가 함께 충만함에 이릅니다.
어떤 행동은 과연 사랑의 행동인지 의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사랑의 행동에 충만함이 없다면, 고유하게 현존하지 못한다면, 일치하지 않는다면, 임신과 출산을 거부한다면, 상대방을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자신의 필요와 욕구를 멈출 수 없다면, 그리고 사랑 없이 성관계를 맺는다면 우리는 그런 행동을 사랑이라고 부를 수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누구도 그런 사랑을 원하지 않을 것입니다.
사랑의 행위는 사랑하는 정도에 따라, 관계의 특별함에 따라 그 표현 방법과 정도가 다릅니다. 그 안에는 사랑하는 마음뿐만 아니라 상대에 대한 태도와 의향 그리고 서로의 인격을 드러내는 성적 행동이 포함됩니다. 사랑의 행위는 부부 사랑의 결과로서 임신과 출산을 지향하는 생명에 대한 개방적 태도와 책임감을 담고 있습니다. 이렇듯 사랑의 행위가 담고 있는 내용과 결과는 그들의 미래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인격적 자기완성에 도달하게 합니다.
함께 나누어 봅시다
사랑의 행동과 성적 행동의 연속적 특성에 대하여 나누어 보세요.
전개 1.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요?
사랑의 행위는 혼자가 아니라 상대방과의 관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입니다. 그러므로 사랑의 행위는 누구와 어떻게 표현하는지가 늘 문제가 됩니다. 성인이라면 자기 결정력과 책임에 따라, 상대방과의 관계와 처지에 따라 성적 행동을 포함한 모든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사랑의 행위가 성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과연 우리는 상대방과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요?
사랑이 관계의 특성을 가지는 이상, 사랑하는 사람들 사이의 개인적 조건과 사회적 조건은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느냐는 문제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상대가 다른 사람과 혼인한 상태인지 아닌지, 상대가 나와 같은 성인지 아닌지, 상대가 임신과 출산을 지향하는지 아닌지, 그리고 상대와 나는 어떤 사회적 관계인지 등등의 문제들이 서로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는지를 한계 짓는 조건이 될 것입니다.
사람들은 친구에 대해서도 서로 사랑한다고 표현합니다. 그렇다면 친구와는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요? 그 친구가 이성이라면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요? 만일 그냥 사람 친구라면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요? 또 어떤 형태의 행위로 사랑을 표현하고 나눌 수 있을까요? 아마도 같은 ‘사랑한다’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친구 관계에서 보이는 사랑의 행동은 다른 내용과 의미를 지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일 서로 사랑하는 사이라면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요? 좋아하는 애인이라면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요? 혼인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요? 약혼한 사이라면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요? 그 관계를 통해서 자신과 상대방은 어떤 삶을 살아가게 될까요? 그리고 그 결과를 통하여 우리가 얻게 되는 선한 목적은 무엇일까요?
함께 나누어 봅시다
1. 인간관계에서 사랑의 행동을 한계 짓는 조건과 이유에 대하여 나누어 보세요.
2. 인간에게 담긴 성적 지향을 정의해 보고, 그 가치와 의미에 대하여 나누어 보세요.
교회 문헌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