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9 등록
최근 30년간 북한의 기온변화는 남한의 1.3배 수준으로 남한보다 더 심각한 기후변화 위기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소외열대성 질환과 호흡기 질환 등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등 보건 시스템에도 큰 취약점이 드러났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훈상 연세대 보건대학원 겸임교수는 11월 27일 가톨릭대학교 한반도의료연구소가 마련한 ‘기후변화와 한반도 감염병 대응’ 주제 심포지엄에서 “1981년부터 2010년까지 30년간 남북한 기온변화를 보면 북한이 0.45도, 남한이 0.36도 올라 북한의 기온상승이 더 높았으며, 북한은 동일한 기후 충격이 취약한 시스템을 만나 이른바 ‘퍼펙트 스톰’으로 증폭될 소지가 많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구체적 사례로 “기온상승으로 말라리아 매개 모기 서식지가 북상하면서 2023년 북한의 말라리아 환자 수는 3160명으로 늘어났다"며 “세계보건기구(WHO)의 2025년 말라리아 퇴치 목표는 실패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남북 접경지역에서 방역 협력의 어려움은 더 이상 접경지역만의 문제가 아닌 남한 국민의 건강권과 연결된 보건 안보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또 “2023년 기준 북한의 결핵 환자 수는 13만 5000명으로 WHO에서 결핵 발생과 다제내성결핵 30대 고부담 국가로 지정됐다”며 “이는 기후 변화에 따른 에너지난 가중으로 실내 전파가 극대화됐고, 식량난으로 인한 영양실조가 만연하면서 결핵 발병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기후 변화로 인한 빈번한 홍수와 태풍, 가뭄은 북한의 취약한 상하수도 시설을 파괴했다”며 “오염된 물이 식수원을 오염시키면서 콜레라와 장티푸스 등 수인성 질병을 주기적으로 발병하게 했고, 가뭄은 안전한 식수 접근성을 악화시켜 주민들이 오염된 식수원에 의존하게 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북한에서는 구제역과 아프리카돼지열병, 조류인플루엔자 등 악성 가축전염병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식량난에 따른 소규모 텃밭이나 가정에서 가축을 사육하는 환경은 인간·동물 간 접촉을 빈번하게 해 각종 인수공통감염병을 인간에게 전파하는 환경을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끝으로 “북한의 감염병과 기후 재난은 휴전선으로 막을 수 없는 초국경적 위협”이라며 “산림협력은 단순한 녹화가 아니라 홍수 예방을 통한 수인성 질환 방지, 농업협력은 식량 증산보다는 영양실조 개선이라는 보건목표와 직접 연계하는 등 기후·보건 의제 협력을 주류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민창기 가톨릭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은 축사에서 “가톨릭대학교 한반도의료연구소는 매년 한반도 보건의료 심포지엄을 개최하며 남북 간 의료 교류와 학문적 협력의 장을 꾸준히 이어왔다”면서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한반도 감염병 대응 및 상호 연결성에 대한 깊이 있는 검토의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서울 가톨릭중앙의료원 옴니버스파크에서 열렸으며, 통일부 산하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가 공동 주최했다. 주제발표에 이어 고려대 한반도보건사회연구소 박한울 교수, 서울대 열대감염병제어실 여선주 교수, 서울대 보건환경연구소 김수연 교수 등이 참여해 활발한 토론을 벌였다.
이상도 선임기자 raelly1@cpbc.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