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을 해주세요.

로그인
닫기
크게 원래대로 작게
글자크기
  • 1136 전례는 온전한 그리스도(Christus totus)의 ‘행위’이다. 이 세상에서 표징들이 암시하는 전례를 거행하는 사람들은 이미 천상 전례에 참여하고 있다. 그곳의 전례는 충만한 친교와 축제이다.
  • 천상 전례의 거행자
  • 1137 교회의 전례 중에 봉독되는 요한 사도의 묵시록은 무엇보다도 먼저 “하늘에는 어좌 하나가 놓여 있고 그 어좌에는 어떤 분이 앉아 계셨습니다.”라고(1) 계시한다. 그분은 “주님”(이사 6,(1) 이시다.(2) 그분께서는 “살해된 것처럼 보이는” 어린양(묵시 5,(6) ,(3)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셨다가 부활하신 그리스도, 참지성소의 유일한 대사제,(4) “봉헌하고 봉헌되며, 주고 또 주어지는”(5) 분이시다. 마지막에는, 성령에 대한 가장 아름다운 상징 하나가 계시된다. “생명수의 강……그 강은 하느님과 어린양의 어좌에서 나왔다”(묵시 22,(1) .(6)
  • 1138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여 완전히 하나가 된 이들’(recapitulati)은, 하느님을 경배하는 예식에 봉사하고, 하느님 계획의 성취에 참여한다. 이들은 하늘의 천사들,(7) 모든 피조물(네 생물), 구약과 신약의 봉사자들(스물네 명의 원로), 하느님의 새 백성(십사만 사천 명),(8) 특히 “하느님의 말씀 때문에”(묵시 6,(9) 죽임을 당한 순교자들, 그리고 천주의 성모(여인,(9) 어린양의 신부(10) ), 끝으로 “아무도 수를 셀 수 없을 만큼 큰 무리, 모든 민족과 종족과 백성과 언어권에서 나온 이들”(묵시 7,(9) 이다.
  • 1139 우리가 구원의 신비를 성사 안에서 거행할 때, 성령과 교회는 우리를 이 영원한 전례에 참여하게 한다.
  • 성사 전례의 거행자
  • 1140 성사는 그리스도의 신비체로서 그 머리와 결합되어 있는 공동체 전체가 거행하는 것이다. “전례 행위는 사적인 행위가 아니라 ‘일치의 성사’인 교회, 곧 주교 아래 질서 있게 모인 거룩한 백성인 교회의 예식 거행이다. 그러므로 이 행위는 교회의 몸 전체에 관련되고 그 몸을 드러내며 영향을 끼친다. 교회의 각 지체는 위계와 임무와 실제 참여의 차이에 따라 각기 다른 모양으로 관여한다.”(11) 이러한 까닭에 “예식이 그 고유한 본질에 따라 많은 신자들의 참석과 능동적인 참여와 더불어 공동 거행으로 이루어질 때마다, 될 수 있는 대로, 이 공동 거행이 개별적이고 거의 사적인 거행보다 낫다는 것을 강조하여야 한다.”(12)
  • 1141 전례를 거행하는 회중은 “새로 남과 성령의 도유를 통하여 신령한 집과 거룩한 사제직으로 축성되었기 때문에, 그리스도인들은 인간의 모든 활동을 통하여 신령한 제사를 바치는”(13) 세례 받은 이들의 공동체이다. 이러한 ‘보편 사제직’은 유일한 사제이신 그리스도의 사제직이며 그분의 모든 지체들이 이 사제직에 참여한다.(14)
  • 어머니인 교회는 모든 신자들이 전례 거행에 의식적이고 능동적으로 완전히 참여하게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이와 같은 참여는 바로 전례의 본질이 요구하는 것이며, 또 “선택된 겨레고 임금의 사제단이며 거룩한 민족이고 그분의 소유가 된 백성”(1베드 2,9)인(15) 그리스도인은 세례의 힘으로 그 참여에 대한 권리와 의무를 가진다.(16)
  • 1142 그러나 “지체가 모두 같은 기능을 하고 있지 않다”(로마 12,4). 어떤 지체는 교회 안에서, 교회를 통하여, 공동체를 위하여 특별히 봉사하도록 하느님께 부름을 받는다. 이러한 봉사자들은 선택되고 성품성사로 축성된다. 이 성사를 통하여 성령께서는 그들이 교회의 모든 지체들에게 봉사하도록 머리이신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행동하기에 적합한 사람들이 되게 하신다.(17) 성품을 받은 봉사자는 말하자면 사제이신 그리스도의 표상(icon)이다. 성사인 교회는 성찬례에서 충만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성찬례를 주례할 때에 주교의 직무가 가장 분명하게 드러나고 또 주교와 일치한 사제들과 부제들의 직무가 잘 드러난다.
  • 1143 신자들의 보편 사제직을 수행하는 다른 특별한 직무들이 있는데, 성품성사로 축성되지 않는 이 직무들은 전례 전통과 사목적 필요에 따라 주교가 정한다. “복사, 독서자, 해설자와 성가대원 들은 진정한 전례 봉사 직무를 수행한다.”(18)
  • 1144 그러므로 성사를 거행할 때 온 회중은 모든 사람 안에서 일하시는 “성령으로 하나 되어” 각자의 임무에 따라 ‘전례 거행자’(liturgus)가 된다. “전례 거행에서는 누구나 교역자든 신자든 각자 자기 임무를 수행하며 예식의 성격과 전례 규범에 따라 자기에게 딸린 모든 부분을 또 그것만을 하여야 한다.”(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