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묻고답하기

제목 Re:파스카의 단어가 라틴어인가요 그리고 정확한 뜻이 카테고리 | 천주교
작성자이정임 쪽지 캡슐 작성일2014-09-09 조회수1,467 추천수0 신고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파스카 ◆   
라틴어 Pascha
출처 : [용어사전]

   이는 오순절(五旬節 : 파스카 후 50일), 초막절(草幕節: 밀 추수 감사)과 함께 이스라엘의 의무적인 순례 대축제이다. 원래 근동의 유목민들은 봄에 어린 짐승을 잡아 제사를 지내며 가축 번성을 기원하였다. 따라서 이스라엘 민족도 이집트 탈출 전부터 이 민족적인 축제를 지내고 있었다.

   그런데 이집트를 탈출한 후, 이스라엘 사람들은 극적인 민족 해방을 기념하는 해방절(또는 무교절)을 바로 이 민족의 고유한 축일에 지내기 시작하였다(출애 12장). 따라서 해방절은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에서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유다의 가장 크고 기쁨에 넘치는 장엄 축일이 된 것이다.

   파스카란 ‘거르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히브리 민족이 이집트를 탈출(출애급)할 때, 일어난 사건에서 유래한 말이다. 그 후 히브리인들은 이를 ‘해방절’이라고 불렀으며, 교회에서는 이 해방절을 부활절의 뜻으로 ‘파스카’라 하였다. 예수님 시대부터 해방절이 부활절에 흡수 통합된 것으로 보고 있다.

 

과월제 ◆   
한자 過越祭
라틴어 Pascha
영어 passover
히랍어 Pesah
출처 : [가톨릭대사전]

   과월제, 유월제(逾越祭), 혹은 빠스카라고 한다. 과월제는 유태인들의 3절기(節氣) 중 봄의 철기[春節]인 과월절에 지내는 축제, 혹은 제사를 말한다. 과월제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Pesah는 '통과하다'(보고도 그냥 지나치다)라는 동사에서 유래된 말이다. 처음에는 가축의 맏새끼를 잡아서 바치던 유목민족의 축제였는데, 여기에 가나안 농경민족의 축제 풍습인 누룩 넣지 않은 빵을 먹는 관습이 결합하였다는 것이 출애급 이전의 과월제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이다. 여기에 다시 출애급의 과정을 거치면서 의미가 부과된다. 즉 야훼이집트민족의 모든 장자(長子)들을 멸하실 때 이스라엘 민족의 집을 통과했다는 역사적 의의가 첨가되면서 이집트에서 해방된 출애급을 기념하는 중요한 축제로 되었다. 니산(nisan, 정월)의 10일에 그 해 태어난 흠 없는 양을 고르고 14일에는 그것을 잡아 그 피를 문설주와 인방(引枋)에 바른다. 고기는 수족(手足)과 내장까지 모두 구워서 누룩 없는 빵, 쓴 나물과 함께 먹는다. 그리고 식탁에 앉은 사람은 모두 허리띠를 두르고, 신을 신은 채, 지팡이를 가지고 급히 음식을 먹는다. 아침이 될 때까지 집안에서 한 발짝도 나가지 않는다. 식사 도중 지명된 아들이 의식상 질문을 한다. “왜 오늘 밤은 다른 밤과 구별되는가”라는 물음에 이집트에서 해방되던 이야기와 현재의 로마 지배하에서 해방되어야 함을 기도형식으로 대답한다. 즉 과월제는 하느님구속사업에 대한 거룩한 축하행사다. 또 해방을 기념하는 동시에 해방을 염원하는 행사이기도 하다. 예수는 제자들과 함께 과월제를 지키고, 이날에 성찬식을 거행하기로 결정하였다(마르 14:10-16). 이와 함께 과월제 양은 그리스도구속을 나타내는 전조(前兆)로 되고, 이것은 그리스도희생을 통하여 성취되고, 성체제정(聖體制定)의 만찬과 과월제는 결합(요한 19:36)하게 된다. 그리스도는 진실한 과월제의 고양(羔羊)이 되었다(1고린 5:7).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