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비교

성서해설 내용
이전글 느헤미야
다음글 유딧
제목 토비트 No17 성서구약성서해설 종류역사서
토비트는 어떤 책인가요?

토비트는 어떤 책인가요?

토비트란 성서 이름은?

토비트는 제2경전 중에서 첫번째로 나오는 성서입니다. “이 책은 토비트에 관한 이야기를 적은 것이다”(토비 1,1)고 책 첫머리에 밝혀져 있는 대로, 아시리아 왕에게 포로로 사로잡혀간 납달리 지파 사람 토비트를 둘러싸고 벌어진 이야기라 그 이름을 따서 책이름이 붙여졌어요. ‘토비트’는 ‘하느님은 나의 선하심’이라는 뜻입니다. 하느님을 믿는 신앙으로 고아와 과부와 이방인들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고 죽은 사람을 묻어주는 선한 행동을 해왔던 토비트의 성품과, 하느님의 선하신 배려로 눈을 뜨게 되었음을 잘 나타내 주는 이름이지요.

 누가 썼나요?

유다인 중의 한 사람이 썼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가 어떤 사람인지는 알 수가 없어요. 사마리아인이니, 사두가이파 사람이니, 꿈란공동체의 일원이니 하는 의견들이 나오기는 했지만, 학자들의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어요. 집필 장소에 대해서도 이집트, 페르시아, 메대, 아시리아, 팔레스티나 등 여러 가지 의견이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합의를 이루지는 못하고 있어요.

 언제 썼나요?

책 내용은 기원전 7세기의 일들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지리적인 위치나 역사적인 인물을 잘못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많아서, 기원전 7세기나 5세기경에 집필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워요. ‘모세 율법’이나 ‘모세의 책’(토비 6,13; 7,11. 12. 13)과 같은 구절은 역대기(2역대 23,18)가 작성된 이후에나 가능한 표현일 뿐만 아니라, 예루살렘 성전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을 보면(토비 13,9-18; 14,5-6) 토비트 저자가 기원전 1세기 말에 헤로데에 의해 완공된 화려한 예루살렘 성전을 알지 못한다는 뜻이기도 하거든요. 나아가 기원전 1세기에는 거의 통용되지 않았던 친족간의 결혼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개인적인 부활에 대한 신앙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기원전 3세기 말이나 2세기 초에 작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되어요.

 왜 썼나요?

올바른 신앙인으로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비록 어려움이 있다 해도 하느님께서 끝까지 돌보아 주심을 일깨우고자 했어요. 사람들의 흥미를 돋구기 위해, 죽은이들에게 선행을 베풀면 반드시 보답을 받는다는 민담서부터 악령에 사로잡힌 신부 이야기, 모함에 빠졌다가 헤쳐나오는 충신설화 등을 모티브로 삼아 어떠한 상황에서도 모세 율법에 기록된 대로 살아가는 것이 중요함을 계몽하고자 했어요. 모세 법전에 기록되어 있는 대로 명절마다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서 첫 수확물과 가축의 맏배와 수입의 십분의 일을 바쳤던 토비트를 본으로 삼아, 죽은 이들을 묻어 주고 고아와 과부와 이방인들에게 자선을 베푸는 일이 참 중요함을 일러주지요. 하지만 이렇게 올바른 삶을 살았다 해도 시련이 닥치지 않는 것은 아님을 보여줌으로써, 부유할 때나 어려울 때나 늘 한결같은 마음으로 하느님께서 기뻐하시는 일을 행하는 사람들이 참 신앙인임을 일깨우고 있어요.

 <새김과 나눔>

토비트는 부유할 때나 시련에 처했을 때나 늘 한결같은 믿음을 보여줍니다. 우리도 기쁠 때나 슬플 때나 늘 한결같은 믿음을 갖고 있는지 생각해 봅시다.

주님, 나를 돌보아 주소서

(토비 1-6장)

자선을 베풀며 살아온 토비트(토비 1,1-22)

토비트는 누구에게 돈을 맡겼습니까?(1,14)

아시리아로 귀양간 토비트는 명절마다 예루살렘에 올라가 경신례를 드리면서, 고아와 과부와 이방인들에게 자선을 베푸는 삶을 살아요. 왕에게 필요한 물건을 사들이는 일을 하면서 메대에 사는 친척 가바엘에게 은 십 달란트를 맡길 정도로 풍족한 생활을 하지요.

맹인이 된 토비트(토비 2,1-3,6)

토비트는 무엇 때문에 눈이 멀게 됩니까?(2,10)

토비트는 장터에서 살해된 동족을 묻어 준 날 저녁에, 담 옆에서 누워 자다가 참새 똥이 눈에 떨어져서 실명해요. 그 바람에 아내가 품을 팔아서 생활하게 되면서, 괴로운 마음을 하느님께 털어 놓아요.

남편을 일곱이나 잃어 버린 사라(토비 3,7-15)

하느님께서는 토비트와 사라의 기도를 듣고 누구를 내려보내시나요?(3,17)

메데의 엑바타나에 사는 라구엘의 딸 사라는 일곱 번이나 결혼을 하였지만, 아스모데오라는 귀신 때문에 남편을 잃는 슬픔을 맛보아요. 하느님께 자신의 목숨을 거두어 달라는 소원을 드리는 사라의 기도가 응답되어, 하느님께서는 천사 라파엘을 내려보내기로 해요.

힘닿는 데까지 자선을 베풀어라(토비 4,1-21)

토비트는 친척 가바엘에게 돈을 맡겨 주었다는 사실을 누구에게 일러줍니까?(4,2. 20)

토비트는 아들 토비아에게 어머니 마음을 슬프게 해드리지 말고, 재산 정도에 맞게 자선을 베풀라고 이야기합니다. 동족 중에서 아내를 얻고, 지혜로운 사람에게 조언을 구하라고 당부하죠. 아울러 메대에 사는 가바엘에게 돈을 맡겨 두었음을 알려 주어요.

메대로 가는 길(토비 5,1-6,1)

천사 라파엘은 누구의 이름으로 토비아의 길동무가 되나요?(5,13)

토비아는 맡겨둔 돈을 찾을 수 있는 증서를 아버지한테서 받고는, 메대로 가는 길을 안내해 줄 길동무를 찾아요. 이 때 천사 라파엘이 동족 아자리아의 이름으로 다가와서, 토비아의 여행길을 동반하게 됩니다.

여행 중에 생긴 일(토비 6,2-18)

토비아는 어느 강가에서 약효가 있는 물고기를 잡습니까?(6,2)

토비아는 티그리스강 가에서 커다란 물고기를 잡아요. 악마를 퇴치하는 효과가 있는 염통과 간이며, 시력이 회복되는 쓸개를 따로 보관해요. 그리고는 메대에 도착해서,귀신에 시달리는 사라의 남편이 될 사람은 토비아밖에 없다는 라파엘 천사의 말을 듣고 그리로 향해요.

<새김과 나눔>

토비트와 사라는 고통을 겪는 가운데서도 하느님께 탄원하며 기도하기를 잊지 않습니다. 나는 어느 때 주님께 기도드리는지 함께 이야기해 봅시다.

자선은 사람을 죽음에서

건져냅니다 (토비 7-14장)

무사히 결혼하는 토비아와 사라(토비 7,1-8,21)

토비아와 사라는 신혼방에서 어떤 기도를 드립니까?(8,5-7)

토비아는 메대의 라구엘의 집에 가서, 사라를 아내로 달라고 간청합니다. 토비아는 라구엘로부터 결혼 허락을 받고는 사라와 함께 신방에서 물고기 간과 염통을 태워 귀신을 쫓아내고는, 하느님께 자비를 베풀어 주시길 간구해요. 이어 열나흘 동안 혼인잔치가 벌어져요.

가바엘에게서 돈을 되찾음(토비 9,1-6)

메대의 가바엘 집에 증서를 넘겨준 사람은 누구입니까?(9,1. 5)

토비아는 라파엘에게 돈을 찾을 증서를 넘겨주고는, 자기 대신 메대의 가바엘 댁에 가달라는 부탁을 드려요. 가바엘은 증서를 보고 토비트가 결혼했다는 소식을 듣고는, 잔치집에 와서 돈주머니를 넘겨주면서 축복해요.

시력을 되찾게 되는 토비트(토비 10,1-11,18)

토비트는 무엇으로 눈을 뜨게 됩니까?(11,8. 11-12)

토비트는 아들의 여행 날수가 다 차도 아들이 돌아오지 않자, 근심에 사로잡혀요. 안나 또한 날마다 길을 살펴보면서 밤새 흐느껴 울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나날을 보내요. 한편 14일 간의 혼인잔치를 끝낸 토비아는 장인에게 가서, 부모님이 걱정하실 거라면서 집으로 돌아가야겠다고 이야기해요. 라구엘 부부의 축원을 받으며 출발한 토비아 일행은 걸음을 재촉해서 니느웨에 도착해요. 토비아는 어머니와 재회하는 기쁨을 나누면서, 물고기의 쓸개를 아버지의 눈에 넣어서 시력을 되찾게 해요.

정체를 드러내는 라파엘(토비 12,1-22)

라파엘은 황금을 쌓아두는 것보다 무엇을 행하는 것이 더 좋은 일이라고 이야기합니까?(12,8)

라파엘은 가져온 재산의 절반을 보수로 드리려는 토비비트와 토비아에게, 자선은 사람을 죽음에서 건져내고 모든 죄를 깨끗이 없애버린다고 일러주어요. 그리고는 토비트와 사라가 기도할 때 그 기도를 하느님께 전해 드린 사람이 바로 자기였으며, 자신은 주님을 시중드는 일곱 천사 중의 하나인 라파엘이라고 밝혀요. 이 말을 듣고 겁에 질려 엎드리는 토비트와 토비아에게, 라파엘은 하느님을 찬양하라고 일러요.

토비트의 유언과 죽음(토비 13,1-15)

토비트는 토비아에게 어디로 피신하라고 당부합니까?(14,4))

토비트는 시력을 되찾은 후에도 자선을 행하면서 112세라는 수를 누려요. 그리고 죽기 전에 토비아를 불러 니느웨가 멸망하리라는 나훔의 예언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므로, 메대로 피신하라고 일러요. 토비아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에 메대로 가서 장인 장모를 모시고 살아요. 117세까지 살면서 니느웨가 멸망하였다는 소식을 듣고는 하느님을 찬양합니다.

<새김과 나눔>

토비아와 사라는 신혼 첫날밤에 하느님께 기도드리기를 잊지 않습니다. 우리 부부는 어떤 기도를 드렸는지 한 번 생각해 봅시다.

성서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