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천주교용어자료집 (총 10개 검색)

개신교 (改新敎) [라]Protestantismus [영]Protestantism
...톨릭 교회에 대항하여 ‘오직 성경, 오직 신앙, 오직 은총’이라는 기본 원리를 주장하며 형성된 그리스도인 공동체. ‘대항하는 사람들’이라는 뜻으로 프로테스탄트라고도 한다. 기독교(基督敎)는 그리스도의 한자어 음역인 ‘기리사독(基利斯督)을 믿는 종교’의 준말로, 말뜻으로는 개신교뿐 아니라 가톨릭과 동방 교회를 모두 가리킨다. 기독교 (基督敎) [영]Christianity
 [참조] : 개신교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를 한자로 음역한 말로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종파(가톨릭, 개신교, 그리스 정교)를 통틀어 표현한다. 개화기에는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개신교)를 구분하지 않고 야소교(耶蘇敎, 예수교)라고 부르기도 했다. 개신교 측에서 가톨릭과 구분해 스스로를 기독교라고 부르면서 이 용어가 오늘날 개신교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통...
신교 (新敎) [라]Protestantismus [영]Protestantism
 [관련] : 개신교 가톨릭 교회 [라]Ecclesia Catholica [영]Catholic Church
 [참조] : 그리스도교 로마 교회
... 교회’ 또는 ‘개별 교회’라고 한다. 가톨릭 교회 안에도 로마 전례와는 구분되는 동방 전례의 전통을 계승하는 동방 가톨릭 교회가 있다. 그러나 그리스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 성공회, 프로테스탄트(개신교) 등은 가톨릭 교회에 속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가톨릭 교회와 함께 천주교, 천주교회라는 말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第二次- 公議會) [라]Concilium Vaticanum II [영]Vatican Council II
...인류 문명 전반에 혁명적 영향을 끼쳤다. 이 공의회는 교회의 자각과 쇄신, 신앙의 자유, 종교와 정치의 제 역할 찾기, 개별 민족과 사회 존중, 세계 평화, 개신교를 포함한 그리스도 교회의 일치, 다른 종교와의 대화, 전례개혁을 비롯한 교회의 현대화 등을 촉구했다. 한국 가톨릭의 조상 제사 수용, 각국의 토착화된 성모... 외경 (外經) [라]Apocrypha [영]Apocrypha
..., 제3마카베오기 등이, 신약 외경으로는 에피온인, 히브리인, 이집트인, 니코데모, 야고보, 베드로 등의 복음서와 각종 사도행전, 서간, 묵시록 등이 있다. 개신교는 천주교와 달리 유다교처럼 히브리어 성경만을 정경으로 인정하므로, 칠십인역(그리스어 성경)에는 수록되어 있지만 히브리어 성경에는 없는 토빗기, 유딧기, 마카... 공동 번역 성서 (共同飜譯聖書) [라]Interconfessionalis editio Sacrae Scripturae [영]Common Translation Bible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교회 일치 운동에 따라 교황청 성서위원회와 개신교 측 세계성서공회연합회의 합의로, 세계 여러 곳에서 공동으로 번역하여 펴낸 성서. 우리나라에서는 한국 성서공동번역위원회가 1977년 4월 간행한 한글판 신·구약 성서. 2005년 『성경』이 한국 천주교 공식 성경으로 발행되기 전까지 천주교 전례에서... 떼제 공동체 [영]Taize Community [프]la communaute de Taize
가톨릭과 개신교를 아우르는 국제 공동체. 1940년 로제 수사가 동부 프랑스의 작은 마을 떼제에 정착하면서 시작했다. 떼제의 형제들은 평생 영적 물적 재산을 공유하며 독신생활과 단순 소박한 삶에 투신한다. 하루 세 차례 드리는 공동 기도가 떼제 생활의 중심이며, 매주 이곳에서 열리는 청년 모임에는 수천 명이 참가해 기... 하느님 [라]Deus [영]God
 [참조] : 주님 천주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믿는 신.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이신 성부. 유일하신 절대자 창조주. 개신교에서는 ‘하나님’으로 쓰고 있다.
구교 (舊敎)
개신교 일부에서 가톨릭을 개신교(신교, 新敎)와 대비하여 이르는 말. 그러나 가톨릭에서는 가톨릭과 대비하여 갈라져 나간 그리스도교에 대해 ‘프로테스탄트’ 또는 ‘개신교’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구교’ 또는 ‘신교’라는 말은 쓰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