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실재론◆ 인쇄

한자 實在論
라틴어 Realismus
영어 realism
독일어 Realismus
프랑스어 realisme

   의식이나 인식 주관으로부터 독립하여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실체(實體)를 인정하는 입장을 말하는 것인데, 다시 말하자면 실제(realitas)를 의식에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며, 이런 실재를 용인 또는 고려에 넣는 사고 경향을 지칭한다. 이론적인 실재론은 형이상학에 있어서는 일반적 또는 특수한 본체론적(本體論的) 실재론으로서 나타나거나 또는 인식론(認識論)에 나타난다. 실재론이란 간단히 요약해서 ① 인간의 지식과 소망과는 관계없이, 신과 우주라는 객관적인 존재와의 갖가지 관계, ② 신과 우주의 인식은 가능하다, ③ 인간행복하기 위해 또는 최종목적에 다다르기 위해서는, 이 객관적인 실재를 인정하며 이에 입각하여 행동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 등을 용인하는 모든 형태의 철학을 가리킨다.

   1. 본체론적 실재론 : 이데아를 참된 실재라고 생각한 플라톤의 사상을 이어 받아서, 보편(普遍, universalia)은 개개의(대상) 물에 앞서서 실재한다고 주장하는 중세의 스콜라학의 입장이다. 이런 경향의 대표자는 에리우제나(J.S. Eriugena, 810?~877?), 안셀모(Anselmus, 1033~1109) 등이다. 보편논쟁에 있어서 보편은 이름뿐이라고 주장하는 유명론(唯名論)에 대립하는 용어로서, 이 실재론은 ‘실념론’(實念論)이라고도 부른다. 인간의 일반적인 생활태도나 경험과학에 근대까지 철학상 우세하였던 이 입장은 걸맞는 것이었고, 당시 그리스도교 교의의 기초 확립문제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런데 이 본체론적 실재론에 대한 반대 입장은 본체론적 ‘관념론’(觀念論)이며, 의식에 있어서의 존재만을 인정하기 때문에 유아론(唯我論, solipsismus)이 되기 일쑤다.

   2. 인식론적 실재론 : 의식을 초월한 독립적인 실재를 인정하는 입장인데, 인식은 대상과의 일치이며, 이러한 실재를 받아들이려는 인식론상의 입장이다. 이와 반대되는 것이 인식론적인 의미에서의 관념론이며, 주관적 관념론에 따르면, 모든 것은 우리에게 있어 의식내용으로서 있다는 의식내재설인데 반하여, 고대 이래의 객관적 관념론은 대개가 인식론적으로는 실재론이다. '유물론'(唯物論)이 실재론이기는 하나, 실재론이 반드시 유물론은 아니다. 실재론의 입장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① 소박한 실재론은 일상 우리가 느끼거나 생각하거나 하는 대로의 세상이 있으며, 의식은 그것을 즉 실재를 모사(模寫)함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② 지각적인 실재론 : 빛깔이나 향기 같은 감각적인 성질은 주관적일지라도 과학에 의해서 밝혀질 수 있는 수량적인 성질은 객관적이라는 입장이며, 데카르트, 특히 로크의 경우가 그러하였고, 이는 반성적인 자연적 실재론에 속한다. ③ 철학적 실재론 : 칸트는 경험적인 인식의 모든 대상을 ‘현상’으로 보고, 그 배후에 인식의 가능성을 초월한 ‘물자체’(物自體, Ding an sich)를 상정(想定)하였다. 감관을 촉발하는 물자체의 존재를 일단 인정한 점에서 실재론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 존재방식의 인식은 불가능하다고 보았으며, 자신의 입장은 초월론적 즉 선험적(先驗的)으로는 관념론이며, 경험적으로는 실재론이라고 말하였다. ④ 신(新) 실재론 : 헤겔을 정점으로 하는 유럽의 다채로운 실재론 이외에, 마음도 자연의 일부에 불과하다는 입장에서 인식론을 해석하는 영미의 현대 실재론 및 신 실재론(new realism)이 대두하여, 무어(G.E. Moore), 알렉산더(S. Alexander), 화이트헤드(A.N. Whitehead), 러셀(B. Russell), 페리(R.B. Perry), 몬타규(W.P. Montague) 등의 제창이 잇달았다. 이상의 비판적인 실재론들의 입장은 실재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데 있어서는 경험의 주관적인 혼입을 먼저 비판적으로 격리시켜야만 옳다는 것이다. 이리하여 실재론 일반이 강화되었음과 동시에, 관념론에 의하여 저항을 받았다. ⑤ 경험적 실재론 : 프래그머티즘, 특히 케임브리지 플라톤학파의 영향을 받은 논리실증주의,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1889~1951)의 맥락에 서있는 영국 일상언어학파의 경향 등은 경험적 실재론으로서, 경험의 배후의, 원리적으로 비경험적인 실재와 경험과의 관계를 논한다는 전통적인 경향의 근본적인 난점을 배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H. Ostler, Die Realitat der Aussenwelt, 1912 / M. Frischeisenkohler, Das Realitatsproblem, 1912 / A. Messer, Der kritische Realismus, 1923 / E.H. Gilson, Le Realisme methodique, Paris 1936 / F.D. Wilhelmsen, Man's Knowledge of Reality, Englewood Cliff, N.J. 1956 / J. Maritain, Distinguish to Unite: The Degrees of Knowledge, tr. G.B. Phelan, New York 1959.
출처 : [가톨릭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