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공로◆ 인쇄

한자 功勞
라틴어 meritum
영어 merit

   인간관계에서 타인의 이익을 위하여 이행한 행위에 대하여 보답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 이는 정의의 관념에 기인한 적정공로(適正功勞, meritum de condigno)와 자유재량에 근거한 재량공로(merirum de congruo)로 구분된다. 인간관계에서 유효한 개념인 공로를 하느님에 대한 관계에 적용시킬 수 있는가가 문제된다. 왜냐하면 인간은 피조물이요 은총에 의하여 구속되고 양자(養子)가 되었을 뿐 하느님과 대등한 지위도, 독립한 당사자도 못 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인간선행하느님께 대한 의무이행에 불과하므로 그것이 하느님에게 이익이 될 수 없다. 바울로율법의 업적으로 구원받지 못한다고 한 것은(로마 3:9-20) 이 진리를 긍정한 것이다. 루터인간성의 원죄로 인하여 완전히 부패하여 의화에 의하여 본질적으로 변모될 수 없고, 공로개념은 하느님 홀로 구원자라는 신앙에 모순된다는 전제 아래, 하느님인간의 죄를 묻지 않으시고 공로와 무관하게 구원해 주신다는 신앙만이 인간을 비본질적으로(extrinsically) 의화시킨다고 함으로써, 인간행위가 의화되기 이전에 행해졌느냐 이후에 행해졌느냐를 불문하고 그 가치를 전적으로 부정하였다. 이에 대해 트리엔트 공의회인간행위의 가치를 검토하게 되었다.

   이 공의회에 의하면, 인간의화에 의하여 본질적으로 변화되며 의화된 자는 하느님 눈에 가치 있는 행위를 할 수 있고 따라서 공로를 쌓을 수 있다. 인간성화은총에 의하여 하느님의 상대자가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의화된 자의 행위가치를 적정공로라 한다. 이는 의화되지 않는 자의 자연적 행위가치를 의미하는 재량공로와 구별된다. 공의회에 의하면 공로는 먼저 은총과 선물로, 다음으로 선행에 대한 보답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하면서, 인간은 혼자 힘으로써가 아니라 그리스도구속공로에 참여함으로써 공로 있는 행위를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성서는 의덕과 은총, 신앙사랑 및 내적 인간의 진보와 성장을 언급한다(잠언 4:18, 루가 17:52, 고린 4:15-17, 에페 4:15 등). 영원행복은 보답으로(지혜 5:16, 이사 40:10, 마태 5:12, 1고린 3:8), 상급으로(1고린 9:24, 필립 3:14, 2디모 2:3), 보상으로(골로 3:23, 히브 10:35, 11:6) 제시된다. 인간선행으로 영원행복을 얻을 자격이 있다(지혜 3:5, 루가 20:35, 2데살 1:5). 보답은 악행의 형벌과 대조된다(마태 25:34-46, 요한 5:29, 로마 2:6-). 마태 6:20은 보화를 하늘에 쌓으라고 한다.

   인간공로를 이해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앞에서 언급했듯이 하느님 앞에 인간공로가 불가능한 영역과, 피조물의 공로는 유비적인 의미에서 공로라 칭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인간하느님 앞에 공로를 얻을 수 있는 근거는 인간하느님모상이며, 성화은총에 의하여 인간이 동등하지 못한 수준에서 유비적으로나마 하느님의 진정한 상대자라는 점에 있다. 물론 상대자가 된 것은 인간의 독립된 지위 때문이 아니고 하느님부르심에 의해서이다. 이로써 공로의 교리구속인간의 본질적인 가치를 긍정하는 셈이며 인간하느님의 도움으로 자신의 존재를 완성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Waldemar Molinski, Merit, Sacramentum Mundi, vol.2, Burns & Oates, London 1968 / C.S. Sullivan, Merit, New Catholic Encyclopedia, vol.9, McGraw-Hill, New York 1967.
출처 : [가톨릭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