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실학◆ 인쇄

한자 實學
[참조단어] 한국 천주교회

   1. 의의 : 실학이란 실사 구시지학(實事求是之學)의 약칭이다. 이 말은 중국 후한 헌왕의 수학 호고(修學好古) “실사 구시하였다”는 말에서 유래한다. 헌왕은 비현실적인 황노의 학문을 배척하고, 수신 제가 치국의 도(道)와 예악(禮樂), 행정의 법 같은 현실적인 학문을 연구하고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결국 실사 구시란 공허한 사변(思辨)만을 일삼지 말고, 사실에 입각한 현실에 실제로 접하여, 진리를 탐구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 사상은 17~19세기 조선조 전반의 전통적인 유학(성리학, 예학 등)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새로운 방향을 찾고자 하는 범 유학적인 개혁 사상으로 자리 잡아 갔다.

   2. 조선 사회 : 이는 낡은 봉건적 전근대적인 의식에 저항하는 근대 지향적 의식이었다. 당시 조선은 정치적 대립과 분열이 심화되고, 유교의 학풍도 사회 체제 개편이나 혁신에 도움을 주지 못하였으며, 임란의 피해로 사회 체제의 붕괴가 가속화되어 갔다.

   이때 뜻 있는 관료나 학자들은 보다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로써 서양 학술에 관한 견문이 넓혀지고, 과학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자, 실학자들 중 일부에게 천주교 사상이 그들의 이념적 근거를 제공해 주는 신념 체계로 받아들여졌다.

   3. 서학 : 당시 천주교에 대한 반응은 서학의 이질성을 위험스럽게 보는 경우, 서학이 갖고 있는 과학이나 기술 분야는 수용하되 종교 분야는 배척하는 경우, 서학을 전면으로 받아들이는 경우 세 가지가 있었다. 그중 마지막의 경우에는 주로 남인파의 젊은 학도 이벽, 정약전, 정약용 등이 속해 있었다.

   이들은 서학유교주의의 부족한 점을 극복해 줄 수 있다고 여겼다. 그래서 1770년 교리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회를 갖게 되었고, 문헌과 자료를 구하기 위해 1783년 이승훈이 동지사 일행에 끼여 북경에 가게 되었으며, 거기서 세례도 받고 성물도 구해 오게 되었다. 이로써 1784년 한국 교회가 시작된 것이다.
출처 : [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