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사전

검색
※ 단어, 외국어, 관련어, 문장으로 검색하세요. 예)부활,사순 시기, liturgy, Missa, 천사와 악마, 종부성사, 그리스도의 탄생, 어머니이신 성모 마리아 등

◆느헤미야서◆ 인쇄

한자 ~書
라틴어 Liber Nehemiae

   1. 예비지식 : 느헤미야서는 본시 에즈라서와 한 책을 이루고 있었는데, 희랍어 번역본인 70인역의 영향이 없지 않았지만 그보다는 주로 라틴어 번역본인 불가 타역의 영향을 받아 차츰 따로 떼어 취급하게 되었고 이름도 제2 에즈라라고 하는 경우가 생겼다. 불가타 구분에 따른 제1 및 제2 에즈라서란 히브리 성경인 마소라 텍스트의 에즈라서와 느헤미야서에 해당한다. 대부분의 희랍어 역본에는 이 두 책을 합하여 제2 에즈라라고 하였다. 희랍어역본의 제1 에즈라서불가타역의 제3 에즈라서에 해당한다. 불가타역의 제4 에즈라는 희랍어역본에는 ‘에즈라 예언자’ 또는 ‘에즈라 묵시록’으로 불린다. 제3 에즈라는 외경으로, 제4 에즈라는 묵시록으로 알려져 있는데 마소라 텍스트에는 물론 현대어 번역본에는 없다 - 에즈라서와 느헤미야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크게 보아 역대기와 함께 소위 역대기 역사서를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는 데 구약의 정경을 정하는 과정에서 지금과 같이 역대기와 분리된 것으로 보인다. 역대기는 고유의 신학적 시작을 갖고 있긴 하나, 역시 이스라엘의 바빌론 귀양(기원전 587년) 전까지의 역사를 다루기 때문에 사실 신명기학파 역사서와 중복되는데 반해 에즈라서와 느헤미야서는 귀양 후 기원전(538년)의 역사를 취급하기 때문에, 귀향전후의 역사를 연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역대기보다 먼저 그 필요성을 인정받았을 가능성이 많고, 따라서 보다 일찍이 정경으로 인정됐다고 본다. 이것이 히브리 성경에서 에즈라서와 느헤미야서가 역대기 앞에 놓이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2. 내용-구성 및 신학 : 에즈라서와 유기적 관계를 갖고 있는 느헤미야서를 따로 떼어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느헤 1~7장 아르닥사싸의 헌작 시종관인 느헤미아는 하갈랴의 아들로서 기원전 445년에 페르시아의 총독이 되어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성벽을 다시 세운다. 1:1~2:10은 도입 부분이랄 수 있다. 고향으로부터 예루살렘의 어려운 소식을 듣고 느헤미야가 휴가를 얻어 귀향하니 사마리아인들은 비웃는다. 2:11~6:19는 성벽을 쌓고 예루살렘의 외형을 재정돈한다. 산발랏과 토비아로부터 조롱을 당하고 내적 외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성벽 재건은 완성된다. 그러는 가운데 백성들의 불평을 보고 느헤미야는 자기 수입을 포기한다.

   7장은 귀향자들에 대한 인적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8~13장은 느헤미야의 12년간 통치 : 에즈라가 갖고 온 규범의 낭독과 초막절의 축제(8장), 보속기도(9장), 백성들의 규범에 대한 약속(10장), 여러 종류의 목록과 명단(11:3~12:26). 예루살렘 성곽의 축성(12:27-43), 공동체 안에 있던 여러 폐단의 시정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느헤 8~10장은 에즈라 7~10장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즉 에즈라 7장, 느헤 8장, 에즈 9~10장 느헤 9~10장 순서로 보는 것이 무리없는 견해라고 할 수 있다. 느해 8~10장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일인칭 주어가 강조되는 독특한 문체로 되어 있고, 역사 기록으로 상당히 신빙할 만하다. 역대기 역사서가 기본 방향, 표현 방식 및 문체에서 비교적 흡사한데 비해 느헤미아서는 8~10장을 제외하고는 그 독특한 일인칭표현 방식이 지배적이어서 학자들은 이 문헌의 양식을 일반적으로 ‘회상록’(Memore / Denkschrift)이라고 한다. 성전에 보전할 목적으로 이 책이 씌어졌다면 ‘기념문’(Gedenkschrift)이라고 해야 옳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이 문헌의 기본 성격은 주인공이 하느님 마음에 드는 위인인 점을 강조하는데 있다. 사건의 묘사나 다른 인물에 대한 언급은 이차적인 요소밖에 안된다고 할 수 있다. 1~2:11에는 느헤미야의 파견이 이야기체로 꾸며져 있는데 이 뒤에는 하느님이 오묘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신앙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역대기 역사서 전반에 걸쳐 이해돼야 하는 느헤미야서의 신학적 의미는 예루살렘의 복구로 유다의 정통성을 드러내고 유다 공동체의 복구는 예언의 이행이며 이것은 바로 하느님이 당신의 약속 말씀에 충실하시다는 것을 드러내는 데에 있다. 더구나 법을 선포하므로 새 세대가 열린다는 것을 일러 주고 있고 이로써 하느님약속은 미래를 향해 효과가 있음을 말해준다.

   3. 저자와 저술의 때 : 느헤미야서는 에즈라서와 함께 기원전 4세기 중반 또는 후반에 씌여졌다고 볼 수 있다. 더 후대에 첨삭이 되었을 가능성은 고려해 두어야 할 것이다. 저자는 꼭 느헤미야라고 할 수는 없고 그가 어떤 서기에게 쓰라고 위탁했을 법하다. (沈勇燮)

   [참고문헌] G. Holscher, Die Biicher Esra und Nehemia, in : HSAT II, Tubingen 1923(4) / S. Mowinckel, Erwagungen zum chronistichen Geschichtswerk, ThLZ 85, 1960; Die Nehemia-Denkschrift, SNVAO II. NS II 5, Oslo 1964 / G von Rad, Die Nehemia-Denkschrift, ZAW 76, 1964 u. Kellermann, Nehemia. Quellen, Uerliefernng und Geschichte, BZAW 102, Berlin 1967 / 야곱 M. 마이어스, 에즈라 느헤미아, 뉴욕 1981.
출처 : [가톨릭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