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산 이와 죽은 이 구별없이
작성자노병규 쪽지 캡슐 작성일2010-11-02 조회수469 추천수5 반대(0) 신고

산 이와 죽은 이 구별없이  


        우리의 전례는 모든 성인의 날이나 위령의 날이나
        “행복 선언”이라는 같은 복음을 듣습니다.

        적어도 죽은 사람은 불행하다는

        그런 편견을 가져서는 안 되고
        하느님께로 간 그들이

        오히려 행복하다는 뜻이겠지요.
        어제 보았듯이 하느님과 함께만 있으면 그것이 행복이기에
        삶도 죽음도 문제가 아니고
        영원 안으로 들어가면 시간이 사라지기에
        이 세상도 저 세상도 문제가 아닙니다.

        그래서일까요?
        행복선언을 보면 두 가지 시제가 나옵니다.
        현재 시제와 미래 시제이지요.
        첫 번째 행복선언인

        “행복하여라, 영으로 가난한 사람들”과
        마지막 여덟 번째 행복선언인

        “행복하여라, 의로움 때문에 박해를 받는 사람들”은
        둘 다 모두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로 현재 시제입니다.
        지금 이 세상에서 하느님 나라를

        소유하여 행복하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두 번째부터 일곱 번째까지 다른 행복선언은
        모두 “-할 것이다.”로 미래 시제입니다.
        미래에 실현될 행복이라는 뜻입니다.

        그러니 행복의 조건인 하느님 나라를 소유하기만 하면
        지금 여기서부터 행복하지만
        죽은 다음 완성된다는 뜻이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죽은 다음 행복이 완성된다면
        위령, 즉 죽은 영혼을 위로한다는 것은 무슨 뜻입니까?

        우리가 미사 지향으로 많이 바치는

        불쌍한 연옥 영혼을 위한 기도이겠지요.
        어제 우리가 기념한 모든 성인들을 제외한 죽은 영혼들,
        아직 하느님과 함께 있지 못하는

        영혼들을 위한 기도입니다.

        그것은 이 세상에서와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이 세상에서 이미

        하느님 나라를 소유하는 행복을 살 수 있는데
        이 세상에 집착하여

        하느님 나라를 소유하지 못하는 것처럼
        죽은 뒤에도 이 세상에 대한

        미련이 남아있어 떠나지 못하고
        하느님께 나아가지 못하는 영혼들이 있을 것입니다.

        오늘 우리는 이 영혼들을 위해서 기도하는 것입니다.
        하느님 안에서 우리가 산 이들을 위해서 기도하는 것처럼
        하느님 안에서 우리는 죽은 이들을 위해서도 기도합니다.
        이것이 통공의 교리입니다.
        산 이도 죽은 이도 모두 하느님 안에 있기에 우리는
        세상의 경계를 넘어
        시간의 경계를 넘어
        죽은 이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입니다.

        어제는 마라톤 준비삼아 오랜만에 밤 등산을 하였습니다.
        오르면서 50년도 더 전에 돌아가신

        아버지 생각을 내내 하였습니다.
        아주 어렸을 때는 아버지가 없는 지도 모르고 살았습니다.
        그래서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이 없었습니다.
        10대 때 철이 들면서

        저만 아버지가 없는 것이 인식되면서
        아버지가 그리워 산소에도 가고
        보지도 못한 아버지를 자주 기억했습니다.
        그리고 오랫동안 기억에서 사라졌고

        기도도 하지 않았었습니다.
        그러다가 올해 들어와서 나이를 먹어서인지
        아무 추억도 없는 아버지 생각이 가끔 나고
        아버지란 분이 나와 함께 있고
        나를 든든하게 감싸주고 계시다는 느낌이 들곤 합니다.
        그 아버지가 하느님 아버지인지,
        저를 낳아준 육신의 아버지인지 모르지만 말입니다.

        50년도 더 전에 돌아가신 아버지를 위해 지금도 기도하고
        아버지가 지금 저와 함께 계시고 감싸주심을 느끼는데,
        이것이 바로 하느님 안에서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넘어

        하느님 안에서 통공하는 것이겠지요.

        위령성월인 11월 한 달

        우리는 돌아가신 분들을 위해 기도하고
        그들이 또한 우릴 위해

        하느님 면전에서 기도해주기를 청합시다.

         

             - 김찬선(레오나르도)신부 작은형제회 -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