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참 안식(安息) -온유와 겸손의 열매- 2013.7.18 연중 제15주간 목요일, 이수철 프란치스코 성 요셉 수도원 원장신부님
작성자김명준 쪽지 캡슐 작성일2013-07-18 조회수529 추천수6 반대(0) 신고

2013.7.18 연중 제15주간 목요일 탈출3,13-20 마태11,28-30

 

 


참 안식(安息)

 

-온유와 겸손의 열매-

 


값싼 은총은, 축복은 없습니다.

값비싼 은총이요 축복입니다.

 

천재는 99%노력과 1%의 영감으로 이루어진다는 말 역시
99% 노력이 있어 1%의 값비싼 은총의 영감임을 깨닫습니다.

100% 내 손에 달린 듯이 일하고 100% 하느님 손에 달린 듯이 기도하라는 말씀
역시 값비싼 은총임을 말해 줍니다.

 

야곱이 목숨을 건 하느님과 치열한 씨름 끝에 이스라엘이란 이름과 더불어
축복을 받아낸 사실 또한 값비싼 은총임을 가르쳐 줍니다.

저 역시 매일 새벽마다 주님과의 끈질긴 씨름 후에 축복을 받아 내 강론을 씁니다.

 

어제 어느 궁중무용가(박은영)로부터 받은 공연을 알리는 안내 책자의 주제가
특이했습니다.

이미 공연은 끝났지만
심무도(尋舞圖)란 주제로 불가의 심우도(尋牛圖)에서 착안한
무용을 통한 도를 깨달아 가는 과정을 무용으로 재현한 것입니다.

 

-

1심우(尋牛;자기의 본심은 소를 찾음).

2견적(見跡;소의 발자취를 봄)

 


3견우(見牛;소를 발견함)

4득우(得牛;소를 붙듬)

 


5목우(牧牛;소를 길들임)

6기우귀가(騎牛歸家;소를 타고 깨달음의 세계인 집으로 돌아옴)

 

7망우존인(忘牛存人;소를 잊고 안심함)

8인우구망(人牛俱忘;사람도 소도 공이라는 사실을 깨달음)

 


9반본환원(返本還源;있는 그대로의 전체 세계를 깨달음)

10입전수수(入廛垂手;복과 덕을 담은 포대를 메고 중생제도를 위해 길거리로
나감)

 

 

 

 

 


시 안식의 귀향에 이르는 각고의 수행과정을 보여줍니다.

역시 값비싼 깨달음의 은총임을 보여줍니다.

오늘 말씀도 이런 관점에서 보면 그 의미가 확연히 들어납니다.
값비싼 은총, 값비싼 축복의 안식임을 깨닫습니다.

 

탈출기의 ‘젖과 꿀이 흐르는 땅(a land flowing with milk and honey)'이 상징하는바 안식처의 본향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끌고 안식의 땅으로 들어갈 소명을 부여 받은,
귀향(Home coming)의 여정이 시작된 모세입니다.

 

“ ‘있는 나’께서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I AM sent me to you) 하여라.”

 

주님의 모세를 향한 격려 말씀을 통해 하느님의 정체가 환히 드러납니다.

시공을 초월하여 영원히 현존하시는,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사악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
지금 우리의 하느님이신, ‘I AM(나다)’인 하느님이라는 말씀입니다.

바로 이 하느님이 우리의 본향이요 영원한 안식처이자 정주처입니다.
바로 복음에서 이 진리가 명확히 들어납니다.

 

“고생하며 무거운 짐을 진 너희는 모두 나에게 오너라.
내가 너희에게 안식을 주겠다.”

 

예수님을 통해 우리를 초대하시는 하느님이십니다.
우리가 찾을 영원한 안식처는 주님뿐임을 깨닫습니다.

그러나 주님의 초대에 응했다 하여 저절로 안식이 아닙니다.
결코 값싼 은총은 없습니다.

평생 졸업이 없는 삶의 배움터인 공동체에서
주님의 평생학인이 되어 주님의 온유와 겸손을 배워야 안식의 열매입니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배워라.
그러면 너희가 안식을 얻을 것이다.  정녕 내 멍에는 편하고 내 짐은 가볍다.”

 

우리 삶은 온유와 겸손의 예수성심을 배워가는 배움터입니다.

끊임없이 ‘하느님의 일(opus Dei)’인 찬미와 감사기도로 하느님을 섬길 때
찬미는 차고 거친 마음을 온유한 마음으로,
감사는 교만한 마음을 겸손한 마음으로 바꿔줍니다.

하느님의 은총입니다.

저절로 우리의 불편한 멍에와 무거운 짐은
서서히 주님의 편한 멍에와 가벼운 짐이 되어 비로소 참 안식입니다.

 

‘그러면 너희는 안식을 얻을 것이다.’ 라는 대목의 번역에 문제가 있습니다.

 

영어를 보니
‘…and you will find rest for yourself(그러면 너희는 안식을 발견할 것이다.)로
되어 있습니다.

 

안식을 발견하기 위해 지난한 수행의 과정이 필요함을 깨닫습니다.

눈만 열리면 주님 계신 지금 여기가 안식처(安息處)요 정주처(定住處)인데
눈이 가려있어 보지 못합니다.

 

온유와 겸손의 수행이 깊어가면서 눈이 열릴 때
지금 여기서 체험하는 참 안식임을 깨닫습니다.

 

또 여기서 주목할 요소가 하나 더 있습니다.
위 대목에서 ‘너희’는 셈족 말식의 표현으로 ‘너희의 영혼들’이라 합니다.

그러니 바로 우리 자체가 영혼임을 깨닫습니다.

우리가, 우리 영혼이 안식을 누릴 때 우리 안에 머물고 있는 육신의 손님도
비로소 안식을 누림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당신의 온유와 겸손을 배우게 하시고
당신의 편한 멍에와 가벼운 짐으로 바꿔주시며 참 안식을 주십니다.

 

“주님이 얼마나 좋으신지 너희는 맛보고 깨달아라.
행복하여라. 주님께 바라는 사람!”(시편34,9참조).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