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12월4일(수) 聖女 바르바라 님♥
작성자정유경 쪽지 캡슐 작성일2013-12-03 조회수503 추천수1 반대(0) 신고


 

12월4일(수) 음11/2
聖女 바르바라
 

 

 

   

      바르바라 (12.4 )

 

    성인명 바르바라(Barbara)
    축일 12월 4일
    성인구분 성녀
    신분 동정 순교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306년?
    같은이름 발바라

                
성녀 바르바라(Barbara)

 

 

 

 


 

그녀의 출생과 생애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전설에 의하면,
이교도인 디오스코루스(Dioscorus)의 딸로서 뛰어난 미모를 지니고 있었다.
성녀의 부친은 수많은 청혼자들을 물리치고 세상에 의해
딸이 더럽혀지는 것을 막기 위해 높은 탑 속에 그녀를 가두었다고 한다.
어느 날 부친은 성녀 바르바라가 세례를 받고 그리스도인이 된 것을 알고는
격분한 나머지 그녀를 죽이려고 하였다.
그녀는 다행히 아버지의 분노를 피해 기적적으로 도망치는데 성공하였다.
그녀는 숨어 지내면서 일꾼에게 은신처에
삼위일체를 상징하는 세 개의 창문을 만들도록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 은신처 또한 발각되었다.
그녀는 아버지가 도착하기 전 기적적으로 거처를 다른 곳으로 옮겼지만
결국 붙잡혀 아버지에 의해
재판관 막시미누스 다자(Maximinus Daja)에게 넘겨져 모진 고문을 당하였고,
배교하라는 요구를 끝까지 거부하여 결국 사형 선고를 받았다.
이때 아버지 디오스코루스가 직접 성녀 바르바라를 참수했는데,
그는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번개에 맞아 죽었다고 한다.
그녀는 306년경에 순교한 것으로 여겨지며,
순교 장소는 이집트, 니코메디아(Nicomedia), 헬리오폴리스(Heliopolis),
토스카나(Toscana), 로마(Roma) 등 여러 곳으로 전해져 정확하지 않다.


                             
성녀 바르바라(Barbara)의 순교

성녀 바르바라는
번개나 광산과 포탄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죽음을 맞이하는 이들의 수호성인이었다.
이는 그녀의 아버지가 번개에 맞아 죽음을 당한 것에 근거하며,
이러한 공경이 더욱 확산되어 후에 성녀 바르바라는 영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의 포병대의 수호자로서 공경을 받았다.
또한 15-16세기에는 플랑드르의 작가와 이탈리아의
많은 건축가들의 작품 소재가 되기도 했다.
그래서 성녀 바르바라는 포병, 건축가의 수호성인으로 공경을 받고 있다.

성녀 바르바라의 상징물은 탑이며,
그녀의 상본에는 왕관, 종려가지와 칼, 탑과 공작,
그리고 그녀의 행복한 죽음을 상징하는 성작이 함께 그려져 있다.
성녀 바르바라는 중세 시대에 가장 인기 있던
14명의 수호성인 중 한 명으로 대중적인 성녀이다.

 


*굿뉴스 자료집에서 발췌

 



 

 

 

누구나 천상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고귀한 영혼인데
세속 아버지의 몰이해로 희생당한
성녀 바르바라 님이시여

주님의 고귀한 자녀들이

언제 어디서나 존경과 사랑 안에 성장할 수 있도록
천상 기도의 축복을 보내주옵소서!...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