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21 01 30 토 평화방송 미사 70분 동안 새 생명을 주면서 침의 물질대사와 부비동의 나비 굴을 열어 연결하여 신경계를 다스려 왼쪽 귀 청력 회복시킴
작성자한영구 쪽지 캡슐 작성일2021-08-02 조회수3,770 추천수0 반대(1) 신고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흠숭 하올 우리 주 성체 예수 그리스도님,

오늘 1월 30일 연중 제3주간 토요일 평화방송 정오 미사를 선택하여 참례하였습니다. 미사가 시작되자 바로 저의 심장박동 안에서 창조주 성부 하느님의 심장박동이 고동쳐주시어 그 고동이 양쪽 허파의 윗부분 두 곳의 박동 안에서 그 고동이 퍼져나가 심장과 그 두 곳이 뻐근하고 화끈함을 느낍니다. 처음부터 새 생명을 주십니다. 이어서 저의 두 눈 사이 콧날에 양쪽 끝 뼈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저의 생명을 점검하십니다. 이어서 두정엽 정수리 가운데에서 약간 오른쪽 위치 역시 두정엽 안에서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빛의 생명을 주십니다. 이어서 저의 전두엽 우뇌 앞이마 살갗 가운데 위치에서 약간 왼쪽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코의 오른쪽 인두와 연결하여 다스려주십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저의 오른쪽 눈썹 오른쪽 끝부분 위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두정엽과 전두엽을 합쳐서 4곳에, 심장과 허파의 양쪽 윗부분 두 곳과 합치면 7곳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새 생명과 빛의 생명을 주시어 침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십니다. 침의 물질대사가 상처 치유에 큰 역할을 한다는 깨달음이 옵니다.

그리고 미사‘주님의 기도’에서 저의 심장박동 안에서 창조주 성부 하느님의 심장박동이 고동쳐주시어, 양쪽 허파의 박동 안에서 고동이 퍼져나가 새 생명을 주시고, 두 눈 사이 콧날 양쪽 뼈에 머물러 저의 생명을 점검하시고, 두정엽 정수리 가운데에 머물러 빛의 생명을 주십니다. 에펠탑 모양으로 빛의 생명을 주십니다. 저의 오른쪽 귀 안에서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활발하게 움직이는 큰 소리가 들립니다. 침의 물질대사뿐만 아니라 코의 부비동 이마뼈 굴 위치에 머물러주시어 이마뼈 굴을 열어 나비 굴과 벌집 굴을 연결하여, 숨을 들여 마실 때 산소를 혈관 안으로 흘러들게 하여, 그 산소가 혈관 속을 피와 함께 순환하여, 그 산소가 저의 오른쪽 귀 안에 내이의 조직의 기관 안에 들어가 그 산소의 기압으로, 저의 오른쪽 귀 안에 고막 안쪽을 울리는 소리가 크게 들립니다. 그러자 저의 기도의 창에 파란색과 우유 색깔이 혼합된, 우유 색깔이 파란색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그 모양의 색깔이 기도의 창에 나타납니다. 이는 아주 긍정적인 표시라고 생각합니다. 우유 색깔은 창조주 하느님이 사람을 창조하셨을 때의 색깔이고 파란 색깔은 성령님께서 저에게 긍정의 표시로 보여주시는 색깔이 합쳐져서 나타난 것입니다. 기도의 창의 색깔 표시를 보여주시어, 지금까지 다스려주신 내용이 아주 중요하다는 가르침을 주십니다.

미사가 끝난 후에 성령님께서 오늘 40분 동안이나 다스려주시었습니다. 미사 전에‘영성체기도’에서 역시 심장박동이 고동쳐주시고 허파의 박동에도 퍼져나가 뻐근함을 느끼게 하여줍니다. 이 새 생명을 오늘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주시면서 저의 두 눈 사이 오른쪽 코의 인두에 머물러주시고, 두정엽 정수리 가운데에서 가까운 위치에 머물러 수직으로 빛의 생명을 주십니다.

그리고 이어서 저의 오른쪽 눈썹 왼쪽 끝부분 뼈에 머물러 꺾쇠 모양으로 연결하십니다. 이곳과 코의 인두와 두정엽 정수리 이 3곳이 꺾쇠 모양을 형성하여 머물러 만져주시며 다스려주십니다. 위의 눈썹 부위는 역시 코의 부비동 이마뼈 굴의 위치이므로 이마뼈 굴을 열어 나비 굴과 연결하여 다스려주십니다. 그러므로 신경계를 다스려주십니다.

그러자 미사 후부터는 왼쪽 귀 안에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그 산소 기압의 영향으로 저의 왼쪽 귀 안의 고막의 안쪽을 울리는 큰 소리가 들리게 다스려주십니다. 왼쪽 귀 안에도 역시 침을 보내고, 나비 굴의 신경계를 열어 다스리어 산소를 귀 안으로 보내 주시어 다스려주십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저의 오른쪽 눈썹 오른쪽 끝부분에 짧은 막대 모양으로 세로로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다스려주십니다. 이 역시 이마뼈 굴을 열어 나비 굴의 신경계와 연결하여 다스려주십니다.

그러자 이번에는 저의 오른쪽 물렁 코뼈 오른쪽 경사 끝 뼈 약간 위쪽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저의 오른쪽 눈의 왼쪽 끝부분 뼈에 머물러 눈꺼풀의 왼쪽 부위만 덮어 만져주십니다. 전에도 눈꺼풀을 덮어 만져주시어 시신경과 신경계를 연결하여 다스려주시는 경험을 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저의 오른쪽 눈의 왼쪽 끝 뼈의 오른쪽 눈알의 왼쪽 끝에서 수평선으로 오른쪽으로 일직선으로 뻗어 나가 끝에 머무르십니다. 일직선의 색깔이 약간 검푸른 색입니다. 그리고 저의 전두엽 우뇌 상단에서 오른쪽으로 역시 수평선으로 가로로 움직여 오른쪽 끝 가까이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그 위와 아래가 평행선이 되도록 다스려주십니다. 이 역시 과거에 그 신경계에 상처가 있고 거기에는 병의 마귀가 있어 검푸른 색깔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여주신 바가 있습니다. 오늘은 검푸른 색이 아니고 약간 약하게 푸른색입니다. 오늘도 이처럼 신경계를 다스려주십니다. 왼쪽 귀에서만 계속 내이의 조직의 기관 안에서 고막의 안쪽을 울리는 소리가 들립니다. 산소의 기압을 강하게 귀 안으로 보내어 움직이는 것이라고 경험한 바 있습니다.

심장의 박동은 계속 고동쳐주십니다. 허파의 박동 안에서 고동쳐주십니다. 그러자 이번에는 저의 오른쪽 측두엽의 관자놀이 위치에 잠깐 머물렀다가 나가십니다. 그리고 다시 저의 전두엽 우뇌 오른쪽 앞이마 살갗 아래 뼈의 오른쪽 눈썹 가운데 위치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이 역시 코의 부비동의 이마뼈 굴 위치이므로 이마뼈 굴을 열어 나비 굴과 연결하여 신경계를 다스려주십니다.

그리고 다시 저의 두 눈 사이 콧날 경사 양쪽 뼈에 머물러 저의 생명을 점검하시면서 심장박동은 계속 고동쳐주시어 새 생명을 주시고, 두정엽 정수리 가운데에 머물러 빛의 생명을 주십니다. 에펠탑 모양으로 주십니다. 두 눈 사이 콧날 경사 끝 뼈에 머물러 저의 생명을 점검하십니다.

점검하신 후에 다시 또 저의 오른쪽 전두엽 우뇌 상단에서 수평으로 옮기어 가시면서 만져주시고 다시 저의 아래의 오른쪽 눈 위 왼쪽 끝에서 시작하여 가로로 옮겨가시면서 그 신경계를 만져 다스려주십니다. 신경계를 다스려주시자 저의 기도의 창에 노란색 구름이 나타났습니다. 그 노란색 안에는 신경계의 말초신경과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도 다 포함되어 있음을 전에 보여주신 바가 있습니다. 미사 끝 무렵에 제 생각으로는 교감신경이 방광의 수축을 억제하지 못하여 결국은 소변을 참지 못하므로 화장실에 가서 소변을 보고 왔습니다.

그러므로 오늘도 신경계를 보다 전체적으로 다스려주시어 그 효과를, 새 생명을 주시어 아담에게 최초에 주었던 생명인 그 태초의 생명으로 새 생명을 주시어 점진적으로 되돌려주십니다. 기도의 창에 노란색 구름이 한참 동안 나타났습니다.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님,

오늘도 이처럼 1시간 10분 동안 저에게 새 생명을 주시는 신기록을 세우신 것 같습니다. 이 못난 작은 이를 이처럼 사랑하여주시어 새 생명을 미사 처음부터 끝까지 주시는 은총을 베풀어주시니 감사합니다. 성장하고 발전한 저의 영혼과 몸과 오늘 또 새롭게 다스려주신 그 생명 지식을 조금 제가 더 알게 하여주신 것과 이 모두를 주님께 바칩니다.

지극히 높으시고 지극히 거룩하신 주님의 뜻으로 이처럼 다스려주시고, 이 못난 작은 이를 더욱더 사랑하여주시니 감사합니다. 이 못난 작은 이도 하느님 뜻의 지극하신 사랑으로 주님을 더욱더 사랑합니다. 아멘.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 와 항상 영원히 아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코의 부비동 나비 굴 사진. 출처 : Pinterest

Nasal Cavities 비강(鼻腔) 

Frontal sinus 이마뼈 굴, 전두동(前頭洞). 

Sphenoid sinus 나비 굴, 접형동(蝶形洞)

Nasal concha 비갑개(鼻甲介) 

Middle nasal concha 중비갑개(中鼻甲介)

Inferior nasal concha 하비갑개 (下鼻甲介)

Internal naris 내부 비공(鼻孔), 안쪽 콧구멍

Nasopharynx 비인두(鼻咽頭) 코의 인두: 직접 비도(鼻道)로 이어져 있는 인두부, 연구개(軟口蓋)의 뒤와 위에 해당. 

 

교감신경·부교감신경 작동시켜, 호흡 ·소화 분비 등 생명 활동 조절

입력 2015.02.08 10:00

 

몸속 13개 장기 지배하는 ‘작은 뇌’

어두운 곳에 들어가면 동공이 커지고, 달리는 차와 마주하면 심장이 빨리 뛴다. 성관계를 할 때 오르가즘을 느끼고, 맛있는 음식을 보면 입에 침이 고인다…. 우리가 평소 당연하게 여기는 신체 반응은 모두 자율신경의 작용이다. 의식할 수 없고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지만 상황에 맞춰 독립적으로 움직이며 신체가 적절히 긴장·이완할 수 있게 만든다. 자율신경은 무엇이며, 몸속에서 어떻게 기능할까?

 

교감신경ㆍ부교감신경의 역할

Part1. 자율신경이란 무엇인가

 

자율신경은 호흡·소화·순환·흡수·분비·생식 등 사람의 생명 유지에 직접 필요한 기능을 무의식적으로 조절하는 몸속 컨트롤 타워다. 스스로 활동하는 13개의 기관 및 장기(눈, 침샘, 폐, 심장, 위, 췌장, 간, 신장, 소장, 대장, 방광, 생식기)를 지배한다.

자율신경은 뇌간과 시상하부에서 시작돼 척수신경을 따라 뻗어 있다. 자율신경은 교감신경, 부교감신경으로 나뉜다. 교감신경이 자동차의 엑셀레이터라면 부교감신경은 브레이크에 해당한다. 두 신경이 시소처럼 길항(拮抗)작용을 하면서 균형을 맞춰, 몸이 늘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래서 어느 한쪽이 과하거나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면 땀이나 눈물을 흘리고, 정상적 심장 박동을 유지하는 등 기본적인 신체 반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

 

 

교감신경・부교감신경 균형 깨지면 건강 위협

 

교감신경은 놀라거나 무서운 상황이 오는 등 신체가 위기에 처할 때 흥분된다. 체내 각 조직에 저장된 에너지원(포도당과 산소)을 분해해 인체 곳곳으로 보내 신체가 빠르게 대처할 수 있게 만든다. 순환계 기능이 촉진되고 근육이 수축하며, 홍채의 동공확대근이 움츠러들어 동공이 커진다. 폐와 기관지가 확장돼 호흡이 가빠진다.

 

부교감신경은 이완·억제의 효과를 낸다. 급박한 스트레스 상황이 끝난 후 활성화돼 비상사태였던 신체를 안정시킨다. 뇌간에서 뻗어 나온 부교감신경이 장기로 이르는 중간에 있는 미주신경과 연계해 기도를 수축시키고, 심장 박동을 느려지게 하며, 소화효소를 많이 만들어 소화를 촉진한다. 신장에서 소변이 많이 만들어지도록 하고, 소장에서 음식물의 소화가 활발하게 이뤄지도록 한다. 동공을 축소시키거나 수정체의 초점을 가까이에 맞추고, 눈물샘과 코샘, 침샘을 자극해 눈물·콧물·침을 만들어 낸다. 예를 들어 보자. 추운 겨울날 집에 밖으로 실외로 나가면 교감신경이 수축하면서 몸이 비상사태로 바뀐다. 외출을 끝내고 따뜻한 실내에 들어가면 교감신경이 안정화되고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된다.

 

Part2. 자율신경 균형 깨져 생기는 질환

 

자율신경의 균형이 깨져 교감 또는 부교감신경계 중 한쪽이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혈압과 심박수를 정상으로 맞추고 땀을 신경내는 등의 적절한 상황별 대처가 어려워진다.

 

교감신경 우위 때 생기는 질환

동공이 커진 상태에서 줄지 않는다. 큰 동공으로 자외선이 과도하게 들어와서 눈부심이 심해진다. 녹내장이나 백내장 같은 질환이 생길 수 있다. 급성 심근경색 위험도 커진다. 늘 심장이 빨리 뛰기 때문이다. 안구건조증·입냄새·충치가 생길 수 있다. 교감신경에는 침샘, 귀밑샘, 턱밑샘에서 점액 분비를 막는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소화불량도 잘 생긴다. 위액과 침 분비가 억제돼 소화가 잘 안 되기 때문이다. 변비와 요실금 위험도 크다. 장·방광 운동이 제대로 안 돼 변이 항문으로 이동하기도, 방광에 소변이 찼는데도 소변을 보기도 어렵다. 성생활에도 안 좋은 영향을 끼친다. 남성은 발기가 잘 안 되고, 여성은 질 분비액이 잘 안 나와서 원활한 성관계가 어렵다. 심리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늘 불안하고 초조한 상태를 유발한다.

 

부교감신경 우위 때 생기는 질환

부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항진되면 동공이 늘 밝은 곳에 있는 것처럼 수축돼 있어 어두운 곳에 들어가도 잘 보이지 않는다. 체온 조절도 어렵다. 부교감신경은 본래 땀 분비를 억제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기립성저혈압도 유발한다. 누워 있다 일어설 때 부교감신경이 항진된 탓에 교감신경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면서 피가 뇌로 잘 공급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설사형 과민성장증후군 위험이 커진다. 장 운동이 늘 지나치게 활발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과민성방광증후군도 마찬가지다. 부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항진된 탓에 방광에 소변이 충분히 차지 않아도 소변을 보게 된다. 성생활에도 문제가 생긴다. 부교감신경의 기능이 과도하면 방광근육이 제대로 수축되지 않는다. 이는 정액이 방광으로 들어가는 역행성 사정을 유발한다. 매사에 무기력하고 우울해지기도 한다.

 

Part3. 자율신경 균형 유지 방법

자율신경 균형이 깨졌다면 우선 원인 질환이 있는지 확인해 봐야 한다. 당뇨병이나 파킨슨증후군이 원인일 수 있다. 당뇨병이 있으면 높은 혈당에 의해 자율신경계가 손상돼 당뇨병성 신경병증이 잘 생긴다. 파킨슨병이 있으면 자율신경을 지배하는 뇌하수체가 망가지기 쉽다. 따라서 이런 질병이 있다면 자율신경 기능을 검사해 보는 게 좋다.

 

특별한 질환이 없는데 자율신경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으면 자율신경의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되는 생활습관을 지켜야 한다. 자율신경 균형을 맞추는 데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약은 없기 때문이다.

 

몸이 차갑거나 흥분했다면 요가・족욕이 좋아

 

교감신경이 지나치게 활성화됐다면 부교감신경을 활성시키는 생활습관을 지키면 된다. 체온을 늘 따뜻하게 유지해서 몸과 마음이 이완되는 상태를 만드는 게 좋다. 몸이 차가우면 교감신경이 활발해지기 때문이다. 조울증 환자가 추운 겨울에 조증을 보이는 것과 연관있다. 기온이 낮은 아침·저녁으로 따뜻한 물을 한 잔 마시거나 외출 후 집에서 10~15분 반신욕이나 족욕을 하면 체온을 올리는 데 도움이 된다. 운동할 때는 요가, 태극권 같은 정적인 운동을 하는 게 좋다.

 

식사할 때 마그네슘이나 비타민B 영양소가 든 음식을 하루 한 번 정도 챙겨 먹으면 교감신경을 안정화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마그네슘은 녹황색 채소(브로콜리·시금치 등)에, 비타민B는 생선, 닭고기 등에 풍부하다.

 

교감신경ㆍ부교감신경 조절 음식 섭취로도 가능

과도하게 활성화된 부교감신경을 안정시키려면 활력 넘치고 분주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게 좋다. 운동할 때는 땀에 등이 젖을 만큼 활동량이 큰 종목을 선택하자. 빠르게 걷기, 수영, 등산 등이 좋다. 카페인이 들어 있는 홍차나 커피를 하루 2~3잔 정도, 차가운 물을 수시로 마셔서 신체에 적당한 흥분을 주는 게 좋다. 인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을 챙겨 먹자. 만약 자율신경 기능 검사 결과 아무 이상이 없거나, 생활습관 개선으로도 증세가 호전되지 않으면 정신건강의학과의 도움을 받는 게 좋다. 우울증, 불안장애, 수면장애가 있으면 자율신경 균형이 깨졌을 때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자율신경계 개요

작성자: Phillip Low, MD, Professor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Mayo Clinic; Consultant, Department of Neurology, Mayo Clinic

 

자율신경계 장애

자율신경계 개요

자율 신경병증

호르너증후군

다계통 위축

순수 자율신경 부전

자율신경계는 혈압, 호흡수 등의 특정 신체 작용을 조절합니다. 이 시스템은 개인의 의식적 노력 없이 자동적으로(독자적으로) 작동합니다.

 

자율신경계 장애는 신체 각 부위 또는 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자율신경계 장애는 자율신경에 손상을 주는 다른 장애(당뇨병 등)로 인해 발생하거나, 자체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자율신경계 장애는 가역적이거나 진행성일 수 있습니다.

 

자율신경계 해부학

자율신경계는 신경계의 일부로서 혈관, 위, 장, 간, 신장, 방광, 생식기, 폐, 동공, 심장, 땀샘, 침샘 및 소화샘 등의 내부 기관으로 공급됩니다.

 

자율신경계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부분이 있습니다.

교감부

부교감부

 

자율신경계에서 신체 및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뒤, 신체 작용을 자극하여 반응하는데, 보통 교감부를 통하거나 부교감부를 통해 교감부를 억제합니다.

 

자율 신경 경로는 두 개의 신경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 세포는 뇌간 또는 척수에 있습니다. 이 세포는 신경 섬유를 신경 세포 클러스터(자율 신경절)에 있는 다른 세포와 연결합니다. 이 신경절에 있는 신경 섬유는 내부 기관과 연결합니다. 교감부의 신경절 대부분은 척수 양쪽 바로 바깥쪽에 있습니다. 부교감부의 신경절은 이들이 연결되어 있는 기관 근처 또는 내부에 있습니다.

-----------------------------------------------------------------------

자율신경계 기능

자율신경계는 다음과 같은 신체 내부 작용을 조절합니다.

 

혈압, 심박수 및 호흡수, 체온, 소화, 대사(체중에 영향을 미침),수분과 전해질(나트륨, 칼슘 등)의 균형, 체액(침, 땀 및 눈물) 생성, 배뇨, 배변

 

성적 반응

 

대부분의 기관들이 기본적으로 교감부 또는 부교감부의 제어를 받습니다. 간혹 교감부와 부교감부가 동일한 기관에 반대되는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 교감부가 혈압을 높인다면, 부교감부는 낮춥니다. 전반적으로 이 둘은 신체가 각기 다른 상황에 적절히 반응하도록 하기 위해 협동합니다.

일반적으로 교감부는 다음 기능을 수행합니다.

 

공격 또는 회피 반응, 즉 스트레스가 크거나 긴급한 상황에 신체를 대비시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감부는 심박수와 심장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기도를 넓게(확장)하여 호흡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이는 신체가 저장된 에너지를 배출합니다. 근력이 증가합니다. 교감부에서는 손바닥에 땀이 나고, 동공이 확대되고, 머리가 쭈뼛 서게 합니다. 소화 및 배뇨 등 긴급 상황에서는 중요하지 않은 신체 작용을 느리게 합니다.

 

교감 신경지배 교감 신경지배 교감 신경지배

부교감부는 다음 기능을 수행합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신체 작용을 제어합니다.

 

일반적으로 부교감부는 보호 및 회복 기능을 수행합니다. 심박수를 줄이고, 혈압을 낮춥니다. 소화관을 자극하여 음식을 처리하고, 배설물을 배출하게 합니다. 음식을 처리하여 발생한 에너지는 저장하여 조직을 구축합니다.

 

부교감 신경지배 부교감 신경지배 부교감 신경지배

교감부와 부교감부 모두 자율적 활동을 제어하고 피부의 감각을 전송하는 신경계(체신경계)의 일부로써 성적 활동에 관여합니다.

두 가지의 화학 메신저(신경전달물질)가 자율신경계와 소통하는 데 사용됩니다.

 

아세틸콜린

 

노르에피네프린

 

아세틸콜린을 분비하는 신경 섬유는 콜린성 섬유라고 합니다. 노르에피네프린을 배출하는 섬유는 아드레날린성 섬유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아세틸콜린에는 부교감(억제) 효과가 있으며, 노르에피네프린에는 교감(자극)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세틸콜린에는 일부 교감 효과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땀흘림을 자극하거나 머리가 쭈뼛 서게 하기도 합니다.

 

증상

남성에게서, 발기 및 유지에 있어 어려움(발기 부전)은 자율신경계 장애의 초기 증상일 수 있습니다.

 

자율신경계 이상은 보통 환자가 일어섰을 때 과도한 혈압 저하(기립성 저혈압)로 인해 어지러움이나 어찔함을 초래합니다.

 

환자는 땀이 덜 나거나 전혀 나지 않아 열기를 참을 수 없게 됩니다. 눈과 입이 마를 수도 있습니다.

 

자율신경계 장애 환자는 위가 매우 느리게 비워지기 때문에(위마비), 식사 후 빨리 포만감을 느끼거나 구토를 할 수도 있습니다. 일부 환자는 모르는 사이에 소변을 보게 되는데(요실금), 보통 방광이 과활동을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환자들은 방광의 활동이 부진하여 방광을 비우는 데 어려움(소변 정체)이 있습니다. 변비가 발생하기도 하고, 배변 제어를 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빛 변화에 따라 동공이 확장 및 수축(위축)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

미주신경(Vagus nerve)

출처 : 서울아산병원

 

부위 : 전신

질환 : 뇌신경정신질환

 

정의

12쌍의 뇌신경 중 열번째에 해당되는 뇌신경으로, 심장, 폐, 부신, 소화관 등의 무의식적인 운동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의 부교감 신경 가지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목 부근에서 결장의 일부까지 운동 부교감신경 섬유를 제공하며, 골격근의 운동 조절, 심박수 조절, 장의 연동운동 등에 관여합니다.

 

위치

뇌간의 연수에 위치하여 흉강과 복강으로 줄기가 이어져 있습니다.

 

구조

뇌신경 중 가장 길고 복잡하게 분포하는 신경으로, 연수로부터 나온 신경섬유가 흉강과 복강의 기관들(위, 장, 폐)로 가지가 연결됩니다. 다른 뇌신경과는 달리 신체 전반으로 뻗어 나갑니다. 신경의 분포 범위가 광범위하여 미주신경으로 불립니다.

 

기능

신경섬유는 인후, 후두와 복부, 흉부의 내장으로부터의 감각 정보와 운동 흥분을 전달합니다. 미주신경의 감각신경섬유는 혈압 조절 및 일부 미각을 담당하며, 대부분의 운동신경섬유는 소화기계 활동과 호흡 활동, 규칙적인 심장 활동에 관여합니다. 경부에서는 목구멍 안의 후두와 샘을 조절하고, 흉부에서는 위장관에 관여하여 소화액이 분비되도록 합니다. 특히 미주신경 분지는 식도 주위로 내려오면서 복강의 각 장기에 분포하여 골반강 내의 장기를 제외한 모든 복강 내 모든 장기에 분포합니다.

 

헬스팁

미주신경 자극술 (VNS, Vagus nerve stimulation)

미주신경을 전기로 자극하였을 때 뇌전증 발작의 횟수와 정도가 현저히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기존의 수술이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환자에서 뇌전증을 조절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전신 마취 후 왼쪽 목부위에 미주신경 자극 전극을 삽입하고, 전기자극 발생 장치를 왼쪽 가슴 피하 부위에 넣어 서로 연결합니다. 전기자극 발생 장치는 리모콘을 통해 몸 밖에서 조절합니다.

삽입 후 1주일 후부터 미주신경을 자극하기 시작하며, 각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자극 방법을 찾아 조절합니다. 주로 자극 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되지만, 환자가 발작의 전조를 느낄 때에는 수동으로 자극을 줄 수도 있습니다.

전극 삽입 후 환자에 따라 목의 통증, 쉰 목소리, 연하 곤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면 자극의 정도를 낮춥니다. 몸 안에 삽입한 자극기의 밧데리 수명은 자극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약 10년 정도입니다.

 

기립경사검사(Tilt test)

원인불명의 어지러움증이나 실신을 경험한 환자에게 주로 시행하는 검사로 미주신경성 실신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환자를 침대에 눕히고 침대를 70도 각도로 세워 25분간 혈압, 맥박, 심전도 등을 관찰합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