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사순 제4 주일
작성자조재형 쪽지 캡슐 작성일2024-03-09 조회수470 추천수6 반대(0)

짧지만 마음을 움직이는 글이 있습니다. “Life is not about waiting to pass the storm. It is about learning to dance in the rain." 참 멋진 말입니다. 인생은 폭풍우가 지나가기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그 폭풍우에서라도 춤추는 것을 배우는 것이라는 말입니다. 문학적으로 표현하면 새로운 삶으로 변화되는 지점입니다. 갈릴래아 호숫가에서 고기 잡던 어부들이 예수님을 만난 사건이 전환점입니다. 제자들은 이제 사람 낚는 어부가 되기 때문입니다. 교회를 박해하던 바오로가 예수님을 만난 사건이 전환점입니다. 바오로는 이제 이방인의 사도가 되기 때문입니다. '전환점(turning point)'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성경에서 전환점의 사례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그 시작은 아담입니다. 낙원에서 행복하게 살던 아담은 뱀으로 변한 사탄을 만났습니다. 하느님과 같아지고 싶었던 교만한 마음으로 하느님께서 금지했던 선악과를 먹었습니다. 우리 인간의 역사에서 의 역사가 시작되었습니다. 바오로 사도가 말했던 것처럼 죄가 있는 곳에는 은총도 함께 합니다. 자비로우신 하느님께서는 인간에게 늘 전환점을 마련해 주시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집트 땅에서 고통받고 있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울부짖음을 들으셨습니다. 하느님께서는 모세를 부르십니다. 양을 치던 모세는 이제 새로운 사명을 얻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인도하는 것입니다. 탈출기는 그렇게 시작됩니다. 파라오는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으로 떠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하느님께서는 모세를 통하여 10가지 재앙을 내리셨습니다. 그 마지막 재앙이 파스카입니다. 이집트의 모든 맏배가 죽는 재앙을 내리시는데 집 앞 문설주에 양의 피를 바른 이스라엘 백성의 맏배는 죽음을 면하였습니다. 파스카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파스카란 넘어간다. 건너가다, 지나간다.’라는 뜻입니다. 구약의 파스카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집트를 떠나 젖과 꿀이 흐르는 곳으로 넘어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그 파스카를 예수님을 통해서 볼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셨지만 3일 만에 부활하셨습니다. 이것이 신약의 파스카입니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따른다면 우리는 살아서도, 죽어서도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다는 믿음이 바로 신약의 파스카입니다.

 

저의 삶에도 몇 번의 전환점이 있었습니다. 19861월 저는 군에 입대했습니다. 훈련을 마치고 자대 배치를 받는데 인사 담당 장교가 저를 불렀습니다. 제가 신학생인 것을 알았고, 인사 담당 장교의 아들도 신학생이라고 했습니다. 저는 성당 군종병으로 선발되었습니다. 제 앞에는 꽃길만 펼쳐질 것 같았습니다. 성당에서 근무하니 매일 기도할 수 있고, 미사에 빠질 염려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다른 동료들은 인제 가면 언제 오나 원통해서 못 살겠네.’라고 하는 강원도로 갔는데 저는 경기도 용인으로 갔습니다. 꽃길만 같았던 성당 생활은 3개월 만에 끝났습니다. 잔디밭에 영양제를 주라고 했는데 대충 주었습니다. 성당 의자를 닦으라고 했는데 대충 닦았습니다. 결정적인 이유는 신부님께서 용산으로 출장 가면서 제게 부대로 들어가서 지내라고 했는데 제가 그것을 어겼습니다. 그렇게 해서 저는 성당 군종병 생활을 마치고 인사처에서 근무하게 되었습니다. 당시에는 부끄럽고, 속이 상한 일이었지만 돌아보면 제게는 참 잘된 일이었습니다. 저는 정신을 차리고, 남은 군 생활을 잘 마칠 수 있었습니다.

 

오늘 사순 제4주일은 장미 주일이라고 부릅니다. 오늘 성서 말씀은 우리에게 희망을 전하기 때문입니다. 오늘 제1독서는 바빌론에서 유배 생활을 하던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그리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는 희망이 선포됩니다. 페르시아 왕 키루스는 바빌론에서 유배 생활을 하던 이스라엘 백성들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칙령을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페르시아 왕 키루스는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키루스를 하느님께서 보내주신 메시아라고 생각했습니다. 오늘 복음도 우리에게 새로운 희망을 전하고 있습니다. 오늘 복음은 이렇게 선포합니다. “하느님께서는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 외아들을 내주시어, 그를 믿는 사람은 누구나 멸망하지 않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셨다.” 우리 신앙인들은 바로 예수님을 그리스도, 메시아라고 고백하는 사람들입니다. 오늘 하루 내 삶에 있었던 전환점을 떠올려 보면 좋겠습니다. 날마다 숨 쉬는 순간순간마다 하느님께서 함께하셨음을 느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나의 말과 행동이 지금 지치고 힘든 이웃에게 삶의 전환점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작품입니다. 우리는 선행을 하도록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창조되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선행을 하며 살아가도록 그 선행을 미리 준비하셨습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