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11월 1일 토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 양승국 스테파노 신부님
작성자노병규 쪽지 캡슐 작성일2008-11-01 조회수849 추천수16 반대(0) 신고

11월 1일 토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 마태오5,1-12ㄴ

 

 

“행복하여라,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 하늘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성인(聖人)이 되는 비결>


   성인(聖人) 하면 우선 드는 느낌이 무엇입니까? 저 같은 경우 일단 거리감부터 느껴집니다. 나와는 전혀 별개의 영역이나 세계에서 살아가신 분들, 나는 죽었다 깨어나도 도달할 수 없는 특별하고 비범한 인물들.


   성인 하면 떠오르는 단어들은 또 어떤 단어들입니까? 기도, 침묵, 관상, 탈혼, 고행, 극기, 오상, 단식, 거룩함, 엄숙함, 진지함, 기적, 치유, 제7궁방...


   책을 많이 읽는 편이지만 제 개인적으로 손이 별로 가지 않는 책들이 성인전입니다.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인지 도서관에 꽂혀있는 성인전들은 대체로 빛이 바래고 책장을 넘기면 케케묵은 먼지가 날립니다.


   그러나 최근 시성된 성인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다 그런 것이 아닙니다. 더 이상 성인품에 오르는 일은 성직자나 수도자들의 전유물도 아닙니다. 특히 제2차 바티칸공의회 정신에 따르면 성인의 길은 누구에게나 다 활짝 열려있습니다.


   성성(聖性)은 우리에게도 도달 가능한 보편적인 길이기에 어찌 보면 부족한 우리 모두도 다 시성시복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예비 성인들입니다.


   그러나 이 시대 성인들이 지닌 특성이 한 가지 있는데 그 특성을 우리가 염두에 두어야 할 것입니다. 그 특성은 다름 아닌 살아있을 때부터 성성이 드러난다는 것입니다. 이승에서의 삶이 전혀 아니었던 사람, ‘이건 아닌데’ 하는 사람이 죽어서 성인품에 오를 가능성은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돈보스코 같은 분, 마더 데레사 수녀님 같은 분,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 같은 분, 세상을 떠나기 전부터 이미 세상 사람들은 그들에게서 성성(聖性)을 확인했습니다. 살아계실 때부터 사람들은 그분들을 성인(聖人) 대하듯이 대했습니다.


   성인(聖人)이 되기를 꿈꾸는 사람은 죽고 나서가 아니라 이 세상에서부터 성인(聖人) 소리를 들어야만 합니다.


   저 분은 정말 법 없이도 살 사람이네, 성가정이 따로 없네, 날개만 없다뿐이지 천사가 분명해, 혹시 바보 아냐, 이 세상에 살 때부터 이런 소리를 듣는 사람들은 성인후보자가 확실합니다.


   오늘 모든 성인 대축일을 맞아 저는 확신합니다. 성인이란 우리와는 완전히 동떨어진 별세계에서 살다간 유별난 사람이 절대로 아니었습니다. 우리보다 한 3분 정도 더 인내한 사람, 우리보다 조금 더 친절했던 사람, 우리보다 조금 더 사랑했던 사람들이 분명합니다.


   우리보다 조금 더 따뜻함을 지녔던 사람들, 우리보다 조금 더 인간미를 풍겼던 사람들, 우리보다 조금 더 영적 생활에 투자했던 사람들이 성인들이었다고 저는 확신합니다.


   한때 어둠이었지만 지금은 주님 안에 머무는 빛인 사람들, 이제는 어둠의 세력과 결연히 단절하고 떳떳하고 당당한 빛의 자녀로 살아가는 사람들은 확실한 성인 후보자들입니다.


   어렵고도 어려운 길이 성화의 길이지만, 어떻게 보면 조금도 어렵지 않은 길이 성화의 길입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의무를 충실히 함을 통해서, 좀 더 기쁘게 살아감을 통해서, 조금만 더 기도함을 통해서, 조금만 더 양보하고 물러섬을 통해서 우리 역시 충분히 성인이 될 수 있습니다

 

               †살레시오회 수도원 수련원장  양승국 스테파노 신부†

          

 

                                            
                                                    가톨릭성가 294번/ 모든 성인 성녀시여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